▲ 남북통일운동국민연합(회장 설용수)이 국회의원 연구단체인 통일미래포럼(공동대표 주호영·조명철)과 함께 11일 오전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한반도 통일과 DMZ 세계평화공원 실현을 위한 ‘한민족 평화통일 심포지엄’을 열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천지일보=명승일 기자] DMZ(비무장지대) 세계평화공원 조성을 실현하기 위해선 제3차 남북 정상회담에서 논의와 합의를 거친 이후, 당국 실무회담 차원에서 구체적으로 추진해야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윤황 선문대 동북아학과 교수는 11일 “박근혜 대통령은 지금 당장 북한에 밀사를 파견해서라도 3차 남북 정상회담의 개최를 제안하고 이를 성사시키는 게 급선무”라고 주장했다.

‘남북통일운동국민연합(회장 설용수)’이 국회의원 연구단체인 ‘통일미래포럼(공동대표 주호영·조명철)’과 이날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공동으로 개최한 ‘한민족 평화통일 심포지엄’에서 윤 교수는 이같이 말했다.

그는 평화와 경제의 선순환을 지향하는 ‘DMZ 평화지대’를 만들어 한반도 통일의 미래발전 동력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교수는 “남북의 분단 해소와 상호이익을 확인하는 게 평화와 경제의 선순환을 지향하는 평화경제”라며 “하지만 2008년 이후 이명박 정부의 출범 이후 박근혜 정부가 출범한 2014년까지 개성공단을 제외한 금강산관광과 철도도로 연결은 중단된 상태”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3차 정상회담을 통해 (북한에) DMZ 세계평화공원의 조성에 대한 자신의 구상을 설명하고 설득하는 과정을 통해 그 회담의 합의서에 공원 조성 합의를 담아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심포지엄에 앞서 한반도 통일과 DMZ 세계평화공원 실현의 소망을 담아 일본 최북단인 훗카이도를 출발해 한국의 임진각까지 5000㎞를 자전거로 종주한 ‘평화의 자전거 통일 대장정’ 종주단을 환영하는 행사가 열렸다.

설용수 회장은 “한국과 일본을 넘어 세계 14개국 젊은이들이 한반도 평화와 통일이라는 대의 아래 형제가 된 자전거 종주단의 모습을 보면서 ‘이미 종주단의 가슴 속에서 통일은 시작됐다’는 점을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