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석기~삼국시대 고인돌 발견
[천지일보=박선혜 기자] 강원도 춘천시 중도동 중도 유적에서 신석기시대부터 삼국시대에 이르는 집터와 고인돌 등 선사시대 유적이 대거 발견됐다.
재단법인 한강문화재연구원(원장 신숙정) 등 5개 조사기관은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의 허가를 받아 지난해부터 강원도 춘천시 중의 레고랜드 개발 예정지에서 조사활동을 벌인 결과 이런 발굴성과를 나타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조사 구역은 ‘중도 레고랜드 조성계획 부지’ 내 1차 발굴조사 지역(12만 2025㎡)으로 총 1400여 기의 청동기시대 유구가 확인됐다. 이번 발굴은 1980년 국립중앙박물관이 처음 발굴한 이후 8차에 걸친 시·발굴조사를 통해 이뤄진 것이다. 이에 따라 레고랜드 개발사업 지속 여부가 관심사로 떠올랐다.
이번에 확인된 유구는 고인돌 101기, 집터 917기, 구덩이 355기, 바닥 높은 집터 9기, 긴 도랑 등이다. 청동기시대와 삼국시대 이후의 밭도 일부 확인됐다. 고인돌이 강원도 지역에서 대규모로 무리 지어 발굴된 것은 처음이다.
고인돌은 석재를 이용해 원형 또는 장방형의 묘역 시설을 갖추고 그 중심에 시신을 안치한 돌널무덤(석관묘) 위에 상석을 올린 구조이다.
재단법인 한얼문화유산연구원 조사 구역에서는 비파형동검과 청동도끼 등이 집터(40호·37호) 내부에서 각각 1점씩 출토됐다. 이 유물은 남한 지역의 집터에서는 출토된 예가 없다. 청동도끼는 함경남도 북청군 토성리 출토품과 유사해 양 지역 간의 비교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전체 둘레 약 404m에 이르는 네모난 대형 환호(環濠, 마을 주변에 도랑을 파서 돌리는 시설물) 내 집터와 출입구 시설이 확인됐다. 이 유구는 청동기 시대 마을 유적의 구조와 성격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로 분류된다.
재단법인 예맥문화재연구원 조사 구역의 20호 집터에서 출토된 ‘둥근 바닥 바리모양토기’는 신석기 시대에서 청동기 시대로 넘어오는 전환기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돋을띠 새김무늬토기’가 출토된 집터는 기원전 11세기 이전 청동기 시대의 가장 이른 단계에 속한다.
발굴조사단은 “강원도 춘천시 중도 유적에서 확인된 시기별 변화 양상과 특징을 보여주는 집터와 고인돌, 다양한 종류의 석기와 토기 등이 강원도 지역은 물론 우리나라 청동기 시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고 평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