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내 25개 실시간 측정농도에 따라 권역별 예보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햇빛이 강해지면서 대기 중 오존 농도도 함께 높아지는 봄여름철에 극심해지는 오존으로부터 시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서울시가 915일까지 오존경보 상황실을 운영한다고 지난달 30일 밝혔다.

오존경보 상황실은 서울시가 시 보건환경연구원, 25개 자치구 환경부서와 공동으로 주말과 공휴일을 포함해 매일 12시부터 18시까지 운영한다.

오존 측정은 서울시내 25개 도시대기 측정소에서 실시간으로 이뤄지며, 시내를 5개 권역으로 나눠 예보와 경보를 발표한다.

예보는 매일 권역별로 오존 농도를 예측해 전날 18시와 당일 7시에 서울시 대기환경정보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다.

경보는 대기 중 오존 농도에 따라 단계별로 주의보(0.12ppm/hr 이상), 경보(0.3ppm/hr 이상), 중대경보(0.5ppm/hr 이상) 순으로 발령된다.

오존주의보가 발령되면 과격한 실외 운동은 삼가고 호흡기 환자와 노약자, 어린이는 외출을 자제해야 한다. 또 자동차 운행을 자제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페인트칠, 시너 등을 사용하는 작업을 중단해 오존 생성물질 배출을 줄인다.

오존 경보가 발령되면 발령 지역 내 주민은 외출을 삼가고 유치원과 학교는 실외학습을 중단해야 하며 비사업용 승용차승합차화물차 등은 운행이 제한된다.

중대경보 시에는 발령 지역 내 실외활동 및 과격운동이 금지되고 발령 지역 내의 학교와 유치원은 휴교를 해야 한다. 자동차 통행도 금지되며 대형공장은 조업을 단축해야 한다.

오존주의보는 지난 2012년에는 3개 권역에서 36회 발령됐고 작년에는 4개 권역에서 918회 발령됐다. 경보와 중대경보는 서울시에서 오존경보를 시작한 1995년 이후 아직까지 한 번도 발령된 적이 없다.

오존은 크게 성층권 오존과 지표면 오존으로 구분되는데, 태양으로부터 오는 자외선을 흡수해 지구 생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성층권 오존과는 달리 지표면 오존은 주로 대기오염에 의해 생겨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준다.

특히 운동, 나들이 등 실외활동이 잦은 5~9월은 기온이 25도 이상으로 높고 햇빛 양이 많아 대기 중 오존 농도가 높아지는 시기로, 이때 오존에 많이 노출되면 눈과 호흡기에 자극을 주기 때문에 시민의 주의가 요구된다.

오존경보가 발령되면 팩스와 음성동보를 통해 관계 기관, 언론사 등 640개소와 아파트, 백화점, 고궁, 공원, 지하철 등 22466개소 다중이용시설에 발령 상황을 신속 전파한다.

대기 전광판 13개소, 버스 정보 안내 전광판 729개소, 교통정보 전광판 26개소 등 총 768개 전광판을 활용해 발령 상황과 시민 행동요령을 전달하고, 외출이동 중인 시민을 위해 서울시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해서도 알린다.

아울러 각 자치구를 통해 각종 사회복지시설 관리자와 홀몸노인 돌보미(676) 15만 명에게 문자메시지로 통보해 노약자 등 건강취약계층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오존주의보가 발령되기 전이라도 오존 농도가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면 대형 대기배출사업장과 자치구, 교통방송, 교육청 등에 사전 공지해서 해당 기관이 미리 대비할 수 있도록 조치한다.

최영수 서울시 기후대기과장은 오존주의보가 발령되면 노약자나 어린이 등은 실외 활동을 자제하고 자가용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오존의 원인물질인 질소산화물이나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배출을 줄이는 데 동참해주길 당부한다실시간 대기측정을 통한 신속하고 정확한 오존 예경보 시스템을 9월까지 상시 운영해 시민 건강을 보호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