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리 사의표명에도 성난 민심 진정 안돼 전전긍긍
대통령 하야론엔 경계심 “더 큰 갈등·분열로 몰아”
[천지일보=임문식 기자] 세월호 침몰 사고에 따른 전면 개각론이 새누리당 안에서도 힘을 얻고 있다. 정홍원 국무총리의 사의 표명에도 불구하고 대통령 하야 주장이 나오고 대통령 퇴진 청원 운동까지 시작되는 등 성난 민심이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2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세월호 참사 원인과 관련해 “모두가 각자의 역할을 책임감 있게 수행해 내지 못한 결과”라며 “국가 대개조에 준하는 인적쇄신과 국가전반의 시스템 개혁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기득권의 사슬을 끊어내는 대대적 혁신이 필요하다. 돈과 효율성의 논리가 우리 생명과 인권의 가치에 우선했던 의식의 대전환이 필요하다”며 “우리 새누리당은 죄인이 된 심정으로 이 일을 앞장서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홍문종 사무총장 역시 “사고원인 및 책임소재 규명은 분명하고 확실하게 해야 된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며 “책임질 사람은 확실하게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했다.
같은 당 홍일표 의원은 이날 ‘KBS1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에서 “당연히 총리만 책임지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며 “이번 사건으로 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크게 떨어졌기 때문에 정부가 전면 개각이라는 국정쇄신 의지를 표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애초 새누리당 지도부는 전면적인 개각에 부정적이었다. 야당에서 내각 총사퇴론이 제기됐을 때도 실종자 수색과 구조가 우선인 상황에서 개각이나 인책론을 이야기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논리로 반박했다. 하지만 희생자 조문 행렬이 계속되고, 온라인상에서 정부 책임론과 박 대통령에 대한 비난 여론이 커지면서 이처럼 개각론이 탄력을 받는 모양새다.
임시 합동분향소 조문객 수는 일주일 만에 20만 명 가까이 누적됐다. 다음 포털사이트의 이슈 청원 게시판엔 ‘박근혜 대통령 하야를 청원합니다’라는 제목으로 서명 운동이 진행되고 있다. 백만 명이 최종 목표인 서명인원은 29일 현재 6만여 명에 달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그러나 정부에 대한 비난 여론이 박 대통령의 퇴진 요구로 이어지는 것에는 경계심을 드러내고 있다.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권퇴진론이 야권에 의해 정략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우려로 해석된다. 홍 사무총장은 청와대 홈페이지가 대통령 비판 글로 논란이 된 것을 두고 “대통령의 입장 표명 여부를 놓고 하야까지 운운하는 것은 세월호 참사로 상처받은 국민을 더 큰 갈등과 분열로 몰아넣는 것”이라고 했다.
새누리당은 야당이 요구하고 있는 국회 국정조사에 대해서도 “정쟁에 치우칠 수 있다”며 반대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