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품안전상생협회 현판식 모습 (사진제공: CJ제일제당)

[천지일보=김지연 기자] CJ제일제당(대표이사 김철하)이 국내 최초의 식품안전 관련 비영리법인 ‘재단법인 식품안전 상생협회’를 설립하고 60년간 축적한 식품안전 노하우를 중소식품기업에 전수한다고 11일 밝혔다.

회사 측은 “대기업이 자사의 식품안전 노하우와 기술력을 협력업체가 아닌 일반 중소기업까지 전해주는 첫 CSV(공유가치창출) 사례”라며 “식품안전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나온 상생모델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고 설명했다.

이는 국내 2만 3000여 개의 식품기업 중 90% 이상이 종업원 20명 이하 규모로 사실상 식품안전 역량을 높이기 쉽지 않다는 판단을 기반으로 했다.

CJ제일제당의 ‘식품안전상생협회’는 앞으로 연간 20여 개 내외의 중소기업 품질안전 지원을 시작으로 5년간 100개 이상의 식품중소기업을 돕게 된다. CJ제일제당이 초기 재단기금 및 연간 운영비(약 12억 원)을 전액 출연했으며, 향후 다른 식품대기업의 참여를 유도해 국내 식품산업의 전반적인 역량강화를 이루는 진정한 ‘상생협회’로 운영할 계획이다. 

CJ제일제당에 따르면 130여 개 회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중소 식품기업이 품질안전에서 가장 힘들어하는 부분은 ‘위해물질분석’과 ‘자가품질검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생협회’는 이를 돕기 위해 자가품질검사 비용 및 분석인프라 구축지원을 위해 한 기업당 연간 2000만 원까지 지원한다. 또 위해물질 분석의 경우 전문인력을 직접 생산현장으로 파견해 분석에 필요한 기자재를 갖추고도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 기기 사용법이나 기술을 전수하는 한편, 인프라가 부족한 경우에는 외부 공인기관 의뢰를 통합관리해 체계적인 검사체계를 갖출 수 있게 도울 예정이다.

재단법인 식품안전상생협회 이사장을 맡은 CJ제일제당 김철하 대표이사는 “이번 식품안전상생협회 출범은 일방적인 지원보다 중소기업이 식품안전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기술과 정보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했다”며 “이 같은 CSV 모델이 국내 전 산업분야로 확산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품질안전 관련 지원이 필요한 중소기업은 서울시 구로구 경인로에 위치한 식품안전상생협회를 직접 방문하거나 우편을 통해 요청할 수 있으며, 협회는 요청내용에 대해 내부 심의를 거쳐 지원을 결정할 예정이다. 이밖에 공신력 있는 외부기관의 추천을 통해서도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