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몽준-김황식 셈법 엇갈려
[천지일보=임문식 기자] 경선이냐 추대냐. 새누리당 서울시장 후보를 둘러싼 셈법이 복잡하다.
화제의 중심엔 유력 후보로 거론되는 정몽준 의원과 김황식 전 국무총리가 있다. 새누리당 내부에서 나오는 목소리는 크게 두 갈래다. 추대론과 경선론이다. 추대론은 외부인사인 김황식 전 총리에 집중되는 분위기다. 서울시장 후보로서 경쟁력이 충분하다는 평가다. 김 전 총리는 이명박 정부 후반에 임명돼 총리직을 잘 수행했다는 평이 많다. 그가 호남 출신이라는 점도 호남표 흡수 차원에서 매력적으로 여겨지는 대목이다.
하지만 김황식 추대론에 대한 내부 반발도 감지된다. 당내 인사 중에서도 경쟁력이 충분한 인물이 있는데, 왜 굳이 외부 인사로 추대하느냐는 것이다. 이 때문에 당내 인물을 먼저 띄운 뒤 상황에 따라 김 전 총리를 ‘마지막 카드’로 활용하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경선론 역시 만만치 않다. 승리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이기려면 경선을 통한 흥행이 필수라는 얘기다. 특히 서울시장 선거는 지방선거의 최대 승부처로 반드시 승리해야 하는 만큼 김 전 총리와 정 의원이 경선으로 힘을 모아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여기엔 민주당 소속의 박원순 현 서울시장이 여전히 강세라는 점도 깔렸다.
절차적인 문제도 제기된다. 당헌·당규상 시도지사 복수 후보 출마 시 ‘국민참여선거인단대회’ 실시가 원칙이기 때문. 현재로선 서울시장 출마 의사를 밝힌 이혜훈 최고위원이 변수다. 그가 후보 등록을 하면 경선이 불가피하다. 이 경우 서울을 취약지역으로 지정하고 전략공천을 하는 방안도 있지만, 논란은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당사자들의 셈법도 엇갈린다. 김 전 총리는 출마 여부에 입장을 명확하게 밝히진 않았지만, 급할 게 없다는 태도로 보인다. 당내 세력이 약한 만큼 경선보다는 추대를 바랄 것이란 관측이 많다. 당 관계자는 “김 전 총리가 경선을 하면 당내 기반이 없어 절대적으로 불리하다고 생각할 것”이라고 했다. 추대 불발 시 대권으로 직행하는 길도 김 전 총리의 선택지 중 하나로 거론된다.
정 의원도 출마를 놓고 저울질이 한창이란 분석이다. 그는 지난 17일 열린 서울시당 송년회에서 “나에게 주어진 어떤 선거도 마다하지 않겠다”고 말해 서울시장 출마 의지를 간접적으로 드러낸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이번 서울시장 선거는 잠룡으로 불리는 그의 정치적 진로와 맞물릴 수 있다는 점에서도 눈길을 끈다. 서울시장 후보로 나갔다가 패배하면 정치적 타격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