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동욱 전 검찰총장 ⓒ천지일보(뉴스천지)

[천지일보=장수경 기자] 채동욱 전 검찰총장 혼외아들 채모(11) 군의 개인정보 유출 논란과 관련, 청와대 총무비서관실 조오영(54) 전 행정관과 조 전 행정관이 정보조회를 부탁받았다고 지목한 전 청와대 비서관 신모 씨가 대질 신문을 받았다.

지난 20일 검찰 등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형사3부(장영수 부장검사)는 전날 조 전 행정관을 5번째로 소환하고 이명박 정부 시절 민정비서관을 지낸 신 씨도 함께 소환 조사했다.

검찰은 이들을 상대로 한 대질신문에서 채 군의 가족정보를 실제 요구한 사실이 있는지, 서울 서초구청 팩스를 통해 정보를 전달받았는지, 채 군의 정보를 필요로 한 이유와 사적인 용도로 썼는지 등을 캐물었다.

조 전 행정관은 당초 검찰에서 안전행정부 김모(49) 국장이 자신에게 채 군 가족관계등록부의 열람·조회를 부탁했다고 진술했다가 이를 번복, ‘제3의 인물’로 신 씨를 지목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진술을 번복해 온 조 전 행정관이 다른 ‘윗선’을 숨기기 위해 과거 정부의 인사를 지목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판단, 구체적인 경위를 캐고 있다.

앞서 청와대는 조 전 행정관이 김 국장의 요청에 따라 채 전 총장 관련 개인 신상정보를 요청했다고 발표했지만 김 국장은 조 행정관과의 대질조사까지 요구하며 의혹을 강하게 부인했었다.

또 검찰은 이날 조이제(53) 서울 서초구청 행정지원국장도 소환해 조 전 행정관이 김 국장을 관련자로 지목했다가 “잘 기억나지 않는다”고 진술을 일부 바꾼 부분 등에 대해 조사를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조 국장은 지난 6월 11일 행정지원국 산하 ‘OK 민원센터’ 팀장을 통해 채 군의 가족관계등록부를 조회했고, 조 전 행정관에게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관련 내용을 전송했다. 그는 “조 전 행정관이 채 군의 주민등록번호와 본적 등을 문의해 확인해 줬을 뿐”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조사를 마치는 대로 조 전 행정관 등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구속영장 청구를 포함한 처벌 수위를 검토할 계획이다.

조 전 행정관은 지난 4일, 6일, 8일, 11일 네 차례에 걸쳐 소환조사를 받았다.

경북 포항 출신인 신 씨는 2010년 이후 이명박 전 대통령 청와대 총무비서관, 민정1비서관 등을 지냈다. 신 씨는, 2000년 이 전 대통령의 형 이상은 씨가 회장인 ㈜다스에서 일한 경력이 있으며, 2002년 당시 이명박 서울시장후보 캠프의 총무팀장으로도 근무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