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도 농기원·국제벼연구소 공동개발… 도복에 강하고 수량성 높아
[천지일보 충남=김지현 기자] 충남도에서 혼반용으로 일품인 흑향찰벼 ‘충남2호’를 개발했다.
충청남도 농업기술원(원장 김영수)은 국제벼연구소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흑미이면서 찰기가 있고 누룽지향이 나는 ‘충남2호’를 육성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에 육성된 충남2호는 지난 2005년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서 분양받은 ‘중국흑찰(IT1096)’과 ‘상해향혈나와’의 교배조합을 통해 탄생한 24개의 우량계통 중 가장 우수한 특성을 보인 ‘CN236’에 부여된 계통명이다.
충남2호는 흑진주벼같이 색깔이 짙은 흑미는 아니나 현미의 수량성이 10a당 600㎏를 상회하는 다수성벼이다.
또 출수기가 8월 16일로 중만생종이며 키가 69㎝인 단간으로 도복에도 강한 특성을 가졌다. 현미천립중이 26.2g으로 쌀알이 굵고 찰성을 가져 혼반용으로 이용할 경우 씹힘성이 우수하다.
충남도 농업기술원 식량자원연구과 정종태 박사는 “지방의 농업연구기관에서도 벼 품종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지역의 쌀산업 특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 박사는 또 “충남2호는 기존 유색미 품종의 단점인 수량성과 도복안전성을 크게 개선한 벼로서 앞으로 소정의 시험을 거쳐 품종 등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김지현 기자
kjh@newscj.com
다른 기사 보기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