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과 따라 입지 갈릴 듯
[천지일보=명승일 기자] 민주당 내 친노(친노무현)세력이 수세에 몰린 형국이다. 지난 2007년 남북 정상회담 대화록 미(未)이관과 관련해 검찰이 민주당 문재인 의원에게 소환 통보를 하면서다.
일단 문 의원은 “검찰 수사에 당당히 임하겠다”며 정면돌파를 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문 의원은 6일 오후 검찰 조사를 받는다. 그러나 수사 결과에 따라 문 의원을 중심으로 하는 친노의 입지는 달라질 전망이다. 대화록 미이관의 책임이 있다는 수사 결과가 나올 경우 친노는 정치적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친노 책임론의 목소리가 커질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그동안 대화록 정국을 주도해 왔던 문 의원은 지난달 10일 “나를 소환하라”면서 승부수를 던진 바 있다.
이와 달리 대화록 미이관과 무관하다는 결과가 나오면, 검찰의 ‘편파수사’라는 점을 들어 역공에 나설 수 있는 기회를 잡게 된다. 이 같은 이유 때문에 친노 인사들은 검찰의 소환 통보와 관련해 “국면전환용, 정치보복”이라면서 강한 반발심을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당내에선 친노를 향한 불편한 시선이 적지 않다. 문재인 대선 후보 선대위 종합상황실장이었던 민주당 홍영표 의원이 최근 단일화 비화를 담은 비망록을 내놓으며 무소속 안철수 의원 측과 불편한 기류가 형성되는 분위기다. 문재인 후보를 지원하는 대신 미래대통령과 신당 창당의 전권을 요구했다는 주장에 대해 안 의원 측은 언급할 가치가 없다고 분명히 했다.
이를 두고 당내에선 우려의 목소리를 제기한다. 당장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야권연대 차원에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우원식 최고위원은 “안 의원과는 지방선거를 두고 공존하기도 하고 경쟁하기도 하는 상황에 있다. 반드시 꺾어야 할 대상으로 봐선 안 된다”면서 “(비망록의) 내용도 그렇고 시점도 그렇고 매우 부적절했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친노를 향한 불편한 시선은 이뿐만이 아니다. 민주당이 10.30 재보궐선거에서 패배한 데 대해 국가기관의 대선 개입 의혹 등을 앞세운 강경투쟁으로 일관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민생현안에 집중하지 못해 민심의 흐름을 잡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는 친노 진영이 강경투쟁을 주도했다는 ‘책임론’과도 무관치 않다. 이처럼 갈림길에 선 친노 진영의 앞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