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영덕 인근 해역에서 또 지진이 발생했다. 지난 11일 발생한 지진은 영덕군 동북동쪽 22㎞ 해역(북위 36.46, 동경 129.61)에서 발생한 리히터 규모 3.6으로 대구 기상대는 “사람이 직접 느낄 수 있는 진도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그날 영덕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대구지역이나 영남권 주민들이 지진 현상을 감지했고, 수많은 사람들은 SNS상에 “아파트 무너지는 줄 알았다”거나 “짧지만 센 지진이었다”는 글을 올렸다.

기상청은 이번 지진 피해는 없는 것으로 발표했다. 그러나 한반도는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다. 올해 9월 현재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지진 건수는 76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55% 증가했다. 특히, 영덕 앞바다는 지금까지 자주 지진이 발생했던 상습 지역으로 확인된바, 지난 1월 한 차례, 4월 네 차례 등 이번을 합쳐 올 들어 모두 6번이나 지진이 발생했다.

지진 발생과 함께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정부의 안일한 태도다. 하필이면 지진 상습지역인 영덕지역에 정부와 한수원의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원자력발전소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에서는 지난해 9월 14일 신규 원전 예정지로 영덕읍 석리·노물리·매정리와 축산면 경정리 일대 324만 2332㎡를 지정 고시하고, 140㎾급 원전 4기가 건설될 예정으로 있다.

영덕지역 원전 건설계획은 입지 선정의 기본조차 간과하고 있다. 정부가 건립하기로 한 정부통합전산센터 입지 선정 작업에서 부산 송정지역이 우선시됐지만 ‘원자력발전소에서 30㎞ 이상 벗어나야 한다’는 정부 입지 조건에 못 미쳤다. 송정 지역은 고리 원자력발전소 바로 옆 동네로 이는 정부 역시 원전의 위험성을 잘 알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 입지 사정에서 영덕은 지진 상습지역임에도 원전을 짓겠다고 하는 발상은 한심하고 국민안전을 무시한 기망이다.

포항환경운동연합 등 시민단체들은 “영덕에서 발생한 규모 3.6의 지진은 영덕 앞바다에 활성단층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 준 것”이라 주장했다. 따라서 정부는 영덕지역 원전 건설 계획을 즉각 중단하는 것은 국민안전을 위한 당연한 조치다. 가장 안전하다고 알려진 일본 후쿠시마 원전이 결국 지진 사고가 발생한 교훈을 우리는 잊어서는 결코 안 될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