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지도부, 전략공천·상향식 방식 놓고 고심 거듭

▲ 4·24 재·보궐선거 사전투표가 시작된 4월 19일 오전 서울 노원구 상계3,4동주민센터에서 마련된 부재자투표소에서 유권자들이 투표를 하고 있다. (사진출처:연합뉴스)

[천지일보=임문식 기자] 포항 남․울릉 재선거의 선거 레이스가 불붙은 가운데 새누리당의 공천 방식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새누리당의 당선 가능성이 큰 선거구인 만큼 새누리당의 공천 방식에 따라 후보 간 명암이 엇갈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새누리당은 일단 전략공천 쪽으로 무게를 싣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당 지도부 사이에선 이 같은 논의가 물밑에서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김 전 의원이 도덕성에 큰 타격을 입고 물러난 지역구인 만큼 ‘하자’ 없는 후보를 내야 하는 절박한 상황이다. 새누리당은 10월 재보궐선거의 전략적 중요성과 이명박 전 대통령의 출신지라는 상징성 등을 놓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김형태 전 의원의 당선무효형으로 재선거가 치러지는 포항 남․울릉은 여당 강세 지역으로 이상득 전 의원이 내리 6선을 한 곳이다. 지난 4.11 총선 때는 새누리당에서 사실상 전략공천을 받았던 김형태 전 의원이 야당 후보를 큰 표 차로 누르고 승리한 지역구이기도 하다. 여당 예비후보 사이에서 포항 남․울릉 공천장은 곧 당선증으로 통한다.

새누리당이 전략공천으로 방침을 정할 경우 예비후보들의 반발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김 전 의원의 낙마로 공천 실패에 대한 책임론과 비판 여론도 커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새누리당이 전략공천보다는 지역 여론을 반영한 상향식 공천 등으로 후보를 결정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또 하나의 공천 방식으로는 경선이 거론된다. 공정한 경쟁에 따라 후보를 선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과열 경쟁과 후보 간 갈등에 따른 후폭풍으로 부작용이 크다는 게 단점이다. 새누리당 지도부도 이 같은 경선은 다른 공천 방식에 비해 선택하기 어려울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당 지도부가 공천 방식이나 시기 등을 아직 결정하지 못한 가운데 후보들이 난립하고 있다. 예비후보자 등록기간인 6일부터 9일까지 새누리당에서 박명재 전 행정자치부 장관, 이춘식 전 의원, 조재정 전 고용노동부 노동정책실장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박명재 전 장관은 노무현 정부 당시 2006년부터 2008년까지 행정자치부 장관을 지냈다. 차의과대학교 총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지난 19대 총선을 앞두고는 새누리당 포항시 남․울릉 선거구에 공천을 신청했다가 입당이 받아들여지지 않아 무소속으로 출마한 바 있다. 그러다가 지난해 7월 중앙당에 제기한 이의신청이 받아들여져 입당이 허가됐다.

이춘식 전 의원은 새누리당 복지통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포항 출신으로 이 지역의 연고성이 크기도 하다. 지난 18대 국회에서 외교통상통일위원회와 보건복지위원회에서 활동했다. 포함 남․울릉 재선거 출마를 선언한 그는 지난 7일 오후 기자회견을 열고 “포항시민과 함께 포항을 발전시키기 위해 출마했다”고 밝혔다.

조재정 전 고용노동부 노동정책실장은 새누리당 정책위원회 수석전문위원을 지내기도 했다. 그는 1962년 포항 남구 청림동 태생으로 포항고와 부산대 경영학과, 서울대 행정대학원을 졸업했다. 1984년 행정고시에 합격했으며, 노동부 행정사무관, 중앙노동위원회 사무국장, 17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전문위원 등을 지내기도 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