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쟁 중단하고 경제·민생현안 처리 강조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2007년 남북 정상회담 회의록 행방으로 인한 여야 간 책임공방이 연일 지속하는 가운데 정치권 일각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한 달째 계속되고 있는 정쟁으로 인해 경제·민생 현안이 실종된 것을 의식하는 분위기다. 정치권 내에서도 피로도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정쟁을 중단하고 주요한 민생현안을 처리하자는 주장이 나온다.
실제로 여야는 지난달 6월 국회에서 국가정보원이 대통령선거에 불법적으로 개입한 것을 두고 국정조사를 실시 여부를 놓고 첨예하게 대립했다. 그러다가 갑자기 노무현 전 대통령이 2007년 남북정상회담에서 NLL을 포기했느냐를 두고 진실공방이 벌어지기 시작했다.
새누리당 홍문종 사무총장은 지난 22일 오후 CBS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에 출연해 “여러 가지의 이것들(NLL 공방) 때문에 국민이 짜증스러워한다. 이쯤에서 그만둬야 한다”고 말했다.
홍 사무총장은 “이 문제를 아주 클리어하게 할 수 있는, 국회에서 정쟁거리로 삼지 말고 이제는 민생경제를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신경민 최고위원도 같은 방송에 출연, NLL 논란을 종식해야 한다는 데 한목소리를 냈다. 신 최고위원은 “끝없이 진위공방을 하는 것보다는 어느 수준에서 이 논란을 종식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했다.
민주당 김영환 의원도 자신의 홈페이지에 ‘무능한 정치와 위대한 국민’이란 제목의 글에서 NLL 대화록 실종 사태를 조선 중기의 예송논쟁과 비교하며 정치권을 싸잡아 비판했다.
김 의원은 “우리 정치의 고질병인 진영논리와 대결주의에서 비롯된 이 지긋지긋한 (NLL 대화록) 논쟁에 종지부를 찍자”며 “언제까지 국민이 정치를 걱정하는 나라를 계속 할 것인가. 지금 우리가 벌이는 이 굿판은 조선시대의 예송논쟁보다 더 저급하다”고 맹비난했다.
여야가 NLL 수호 의지를 공동으로 발표하고 덮어두고 가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대통령 소속 국민대통합위원회의 한광옥 위원장은 23일 PBC라디오에 출연해 “NLL은 우리 영토로서 국민의 생명선이라는 원칙을 여야 간에 합의하고 이 문제를 더 이상 논쟁의 대상으로 삼지 않는 게 좋지 않나 생각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NLL 정국을 벗어나기 위한 여야의 입장이 엇갈리고 있어 논란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새누리당은 검찰 수사를 요구하는 있는 반면 민주당은 정치권 내에서 해결하거나 특검 실시 등을 출구전략으로 모색하고 있기 때문이다.
새누리당 이인제 의원은 23일 TBS 라디오 ‘열린아침 송정애입니다’에 출연, 민주당 일각에서 특검 실시의 주장과 관련해 “검찰이든 특검이든 큰 문제는 없다”며 “민주당이 당론을 모아서 특검을 실시하자고 한다면 피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여야 모두 내심 출구전략을 고심하고 있는 만큼 그 어느 때보다 여론의 향배가 주목된다.
- 서상기 “국정원 녹음파일 공개 입장 변함없어”
- 서상기 “국정원 음모론은 소설… 음원파일 공개 안 하는 게 맞다”
- 대화록 유무 ‘D-day’ 여의도 초긴장
- “불씨 살렸는데…” 된서리 맞은 국정원 국정조사
- 여야, 대화록 재검색… ‘아직 발견 못한 듯’
- 여야 ‘NLL 대화록’ 이틀째 검색 진행
- 여야 ‘NLL 대화록’ 재검색 돌입… 22일 최종 판가름
- 친노 결집 양상… 계파갈등 또다시 분출
- 오바마, 현직 대통령 최초 정전 60주년 기념행사 참석
- ‘대화록 실종’ 여야 책임공방
- 최경환 “문재인, 무책임하고 뜬금없어”
- [포토] ‘회담록 실종’ 검찰 수사 촉구하는 새누리당 열람위원들
- [포토] 김한길 “NLL 논란 당대표인 내 책임”
- 새누리 ‘손톱 밑 가시’ 제거 특위 구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