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박수란 기자] 서울시가 검토 중인 ‘대형마트 품목제한’에 대해 찬반 의견이 분분하다. 서울 시민들은 장보기가 불편하다는 이유로 70% 이상이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조사전문업체 (주)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대형마트 매장 방문객 53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74.3%가 대형마트 품목제한은 “부작용이 더 크기 때문에 추진돼서는 안 된다”고 응답했다. 품목제한에 찬성하는 응답자는 25.4%였다.
또 전통시장을 주 1~2회 정도 찾는 시민들의 49.5%가 품목제한에 반대했다.
품목제한 시 예상 부작용에 대해서는 ‘장보기가 불편해지는 소비자 피해(85.3%)’가 가장 많았고 ‘납품 농어민·중소기업의 피해(9.3%)’ ‘관련 종사자 피해(4.2%)’ 등의 순이었다.
제도가 시행될 경우 전통시장에 가는 횟수를 늘릴지에 대한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의 46.8%가 ‘변화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약간 늘어날 것’은 42.8% ‘약간 줄어들 것’은 3.5%로 조사됐다.
전경련 관계자는 “품목제한은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활성화라는 좋은 취지를 가지고 있으나 또 다른 사회적 약자의 피해를 유발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예상되는 부작용을 충분히 검토해 접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달 골목상권을 보호한다는 이유로 담배, 소주, 콩나물, 두부 등 51개의 품목을 대형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 판매제한 가능 품목으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의 상인들은 환영하는 분위기이지만, 대형 유통업체와 여기에 납품하는 농어민들은 매출 감소 등을 우려하며 반대하고 나섰다.
시는 오는 4월 말 유통업계·골목상권 관계자, 학계, 시민 등이 참석하는 공청회를 열어 51개 판매제한 권고항목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기준의 활용방안과 적용범위 등을 논의, 최종 방안을 결정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