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김일녀 기자] 주유소 업주들이 정부의 알뜰주유소 정책에 반대해 대규모 궐기대회를 벌인다.
한국주유소협회는 오는 24일 경기도 정부과천청사 앞에서 대규모 궐기대회를 연다고 11일 밝혔다. 정부가 무분별하게 알뜰주유소 확산 정책을 추진함에 따라 주유소 영업환경이 악화하고 있다는 게 협회의 지적이다.
협회는 지난달 20일에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공기관 주차장 내 알뜰주유소 설치와 석유제품 용기판매 계획을 철회하지 않으면 동맹휴업을 포함한 어떤 단체행동도 불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협회는 정부가 포화 상태인 시장에 인위적으로 개입해 새로 주유소를 설치하는 것은 업계의 상황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전시행정이라고 비판했다.
실제 전국에서 문을 닫는 주유소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일 협회에 따르면 올 들어 5월까지 전국에서 폐업한 주유소 숫자는 128곳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84곳에 비해 50% 이상 증가했다.
협회의 비판에도 정부는 현재 전국적으로 554개가 운영 중인 알뜰주유소를 연말까지 1000곳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알뜰주유소로 전환하는 사업자에게는 시설개선자금을 지원하고 세제 혜택도 주고 있다.
협회는 특히 공공기관 주차장에 알뜰주유소를 설치하는 정책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공공기관 주차장은 전국에 무수히 많고 지방정부에서 산하기관 주차장에 주유소를 세우면 자영 주유소들의 위기감은 매우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게 협회의 주장이다.
폐업 주유소가 늘어나는 것 외에도 국내 주유소의 월평균 판매량은 유가 자유화 이전인 1991년에는 1973드럼이었으나 지난해에는 987드럼으로 절반가량으로 줄었다. 휘발유 매출 이익률도 2008년 8.1%에서 올 1분기엔 4.3%로 떨어졌다.
게다가 적자규모가 늘어도 폐업조차 쉽지 않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폐업하려면 건물 철거비용과 토양정화비용 등 1억 원이 넘는 자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때문에 휴업을 하는 주유소가 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