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주유소협회는 지난 15일 정부가 발표한 ‘공공기관 주차장 알뜰주유소 신규설치와 휘발유 용기판매 정책’에 대해 “이는 매출이익률이 4%도 안 되는 유사 이래 최악의 경영난에 직면한 주유소 업계를 외면하는 정책”이라고 비판하며 이 정책을 즉각 중단하지 않으면 생존권 사수를 위한 동맹휴업 등 어떠한 단체행동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석유제품 용기(캔) 판매정책에 대해서도 “석유제품 용기 판매는 주유소업계의 상황뿐 아니라 소비자의 안전마저도 안중에 없는 전형적인 탁상행정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협회에 따르면 전국 주유소 수는 지난해 1만 3003개에서 알뜰주유소 설치 시작 이후 2012년 4월 현재 1만 2907개로 사상 처음 감소했다.
주유소는 100개 남짓 줄었지만 사실 폐업을 원하는 주유소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업계는 추측하고 있다. 게다가 자금이 없으면 폐업도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폐업 시 1억 5000만 원을 들여 오염된 토양을 복원해 놓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협회는 “소비자에게 더 많은 혜택을 줄 수 있는 것은 국민의 혈세로 일부 주유소에만 특혜를 주는 알뜰주유소보다 석유유통시장 전반의 공정한 경쟁을 촉진시키는 정책”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부당한 전량구매계약 개선과 혼합판매 및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적극 추진한다면 공급자 간 경쟁을 유도해 정부가 의도했던 유가 인하 효과를 충분히 달성될 수 있다는 게 협회의 주장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김일녀 기자
kone@newscj.com
다른 기사 보기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