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국민권익위원회(권익위)가 발표한 ‘2011년도 부패방지 시책평가’에 따르면 중앙행정기관 중에서 총리실과 법제처, 외교부, 환경부, 문화체육관광부(문화부)가 최하위 등급을 받았고 공정거래위원회와 통계청, 관세청, 소방방재청은 최고등급 기관으로 평가됐다.
이는 권익위가 지난 2010년 11월부터 1년간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공직유관단체 등 208곳을 대상으로 부패방지 활동과 성과를 평가한 결과다.
또 충북도와 전남도, 강원도교육청, 한국관광공사,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여수광양항만공사 등이 부패방지 노력이 미흡한 기관으로 선정됐다. 반면 전북도와 경기도, 대전교육청, 경북도교육청, 한국전력공사 등은 최상위 기관에 이름을 올렸다.
3년간 연속해서 ‘미흡’ 평가를 받은 곳은 외교부와 문화부,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충북도, 강원도교육청 등이 이름을 올렸다.
반면 서울시는 최근 3년 연속 우수 등급을 받았다. 부패공직자에 대한 ‘원스트라이크 아웃제’와 업무상 과오나 비리를 스스로 인정하면 징계 수위를 낮춰주는 ‘플리바게닝 제도’ 등 새 제도 도입에 적극적인 것으로 평가됐다.
한국전력공사는 공기업 최초로 외부 감찰전문가를 영입해 암행감찰을 실시하는 등 부패예방 및 적발 노력이 좋은 평가요소로 적용됐다.
적극적인 감찰활동을 전개해 부패공직자 자체 적발률이 48.4%로 타 기관보다 높은 경찰청을 비롯해 인천시과 문화재청, 우체국예금보험지원단은 전년도보다 3개 등급 이상 상승했다.
이밖에 관세청과 병무청, LH공사, 한국수자원공사 등도 3년 연속 우수 기관에 선정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