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부터 월간 글마루에서 연재하고 있는 ‘남한지역 고구려 유적 답사’ 시리즈를 천지일보 온라인을 통해 선보입니다. 우리의 역사를 알고 더욱 깊이 이해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과거 연재시기와 현재 노출되는 기사의 계절, 시간 상 시점이 다소 다른 점을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망이산성의 ‘치(雉)’는 모두 돌로 쌓은 외성에 구축돼 있으며, 네모꼴이다.
망이산성의 ‘치(雉)’는 모두 돌로 쌓은 외성에 구축돼 있으며, 네모꼴이다.

글 이재준 역사연구가·칼럼니스트 사진 글마루

고구려의 전형적인 ‘치’

망이산성에서는 치(雉)가 5군데나 확인되었다. ‘치’란 성벽에서 적이 접근하는 것을 사면에서 관측하고, 전투를 할 때 성벽으로 오르는 적군을 측면에서 공격할 수 있는 이점을 지니고 있다. 통상 각(角)을 이루고 있는 것을 치성(雉城), 둥근 모양을 곡성(曲城)이라고 부른다. 치성을 잘 활용한 주인공들은 고구려였다.

망이산성 치는 모두 돌로 쌓은 외성에 구축되어 있으며 모두 네모꼴이다. 이 치는 고구려식으로 중국 지안과 경기도 일원에 찾아지는 많은 고구려성의 치와 비슷하다. 단양 온달산성, 포천 반월성, 충주 장미산성 오산 독산성 등 글마루 취재반이 조사한 고구려성에서는 모두 완벽한 치가 확인되었다.

중원문화재연구원의 종합 조사보고서에는 망이산성의 ‘치’를 다음과 같이 고찰하고 있다.

“망이산성은 체성이 능선과 만나 회절하는 지점에 방어력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체성에서 바깥쪽으로 돌출시켜 축조한 구조물인 치성을 조성하였다. 1차 발굴조사에서 북치성이, 3차 발굴조사에서 서치성이 조사되었으며, 이번 조사에서 서남치성과 남치성이 확인되었다. 서남치성은 체성의 서벽과 남벽이 회절하는 저점으로 평면 형태는 정방형이다. 체성 접합부에 대한 조사결과 서남 치성은 면석이 서로 엇물려 쌓아가고 있어 초축시 계획 하에 축조하였던 것을 알 수 있다. 서남치성 규모는 길이 6.7~7m, 너비 7~7.6m 이다. 기저부는 생토면을 ‘L’자형으로 굴착하여 정지한 후, 기단석을 놓고 그 위로 면과 모를 다듬은 화강암의 가공석을 이용하여 성벽을 쌓아올렸다. 남치성은 외성 초축 이후 개축 과정에서 체성에 덧붙여 축성하였다. 평면 형태는 사다리꼴이다.

남 치성 규모는 길이 6.5m, 너비 8.6~11.25m이다. 기저부는 체성에 접합되는 지점은 기반암 또는 생토면을 ‘L’자형으로 굴착한 후 성벽을 쌓아올렸으며, 치성의 돌출된 바깥쪽 낮은 지점은 잡석과 갈색 사질토로 수평을 맞추어 다짐하여 기초를 조성한 후 그 위로 성벽을 축조하였다. 잔존하고 있는 치성의 성벽 면석은 위로 올라가면서 5~10㎝ 이상 퇴축(들여쌓기)하여 굽도리 형태의 층단식을 이루고 있다.”

좌)개원시 용만산성 출토 와편, 우)망이산성 출토 적색 사격자문 평와편
좌)개원시 용만산성 출토 와편, 우)망이산성 출토 적색 사격자문 평와편

시루 토기편은 고구려 것이 아닌가

단국대박물관 중원문화재연구소에서 성안 유적을 발굴하면서 내성을 중심으로 한 주변지역에서 굽다리 접시, 격자문이 타날된 항아리 등 고대 토기들이 많이 수습되었다. 이 토기를 만든 장본인들은 누구일까. 조사보고서는 백제인들로 보았지만 필자는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

판축토성을 구축한 이들은 백제계로 보인다. 그러나 이 성은 5세기 후반 고구려 군사들에 의해 지배되어 대규모 석성으로 보축되었을 것으로 상정된다. 토기 가운데는 고구려, 신라계 토기편까지 다양하다. 서울 아차산성 발굴시 고구려계 토기들이 많이 출토되었다. 이 산성에서 나온 토기 가운데는 아차산성 출토 토기를 닮은 것이 여러 점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보고서에는 통일신라시대 것으로 보이는 주름무늬병, 파상문이 새겨진 목항아리, 대호 등은 후대에 덧대어진 외성석축의 보축 연대를 가늠케 하는 자료라고 설명하고 있다.

망이산성 출토 갑주
망이산성 출토 갑주

철제 갑주 주인공은 누구인가

망이산성 출토품 가운데 주목되는 것이 철제 갑주다. 이 갑주는 지난 2001년 12월 충북 음성군 삼성면사무소가 망이산성(望夷山城) 내 봉수대 남쪽 경사면에 자리한 약수터 인근 지역을 휴식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공사를 벌이던 중 지하에서 발견된 것들이다. 당시에 처음 충북지역에서 출토된 것으로 언론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고구려 군사들은 어떤 갑주를 착용했을까. 평안남도 남포시에 있는 덕흥리 고분벽화를 보면 기마(騎馬)의 무장은 괘갑(挂甲)을 착용하였다. 걷고 있는 모습의 병졸은 짧은 갑옷에 허리받이를 두르고 맨손에 칼과 방패를 쥐고 있다.

철갑기병의 일종을 개마무사(鎧馬武士)라고 한다. 전사는 물론 타고 있는 말까지 철갑으로 무장했다. 개마무사는 장창(長槍)을 주 무기로 사용했으며 허리에는 환두대도를 착용했다. 신라와 가야에도 개마무사가 있었으나 고구려와는 달리 찰갑이 아닌 판갑을 써서 기동성과 유연성이 몹시 떨어졌다고 한다.

투구는 주발을 엎어 놓은 형상인데 앞에는 차양이 있고 후두부(後頭部)는 목의 둘레를 싸게 되어 있으며, 정수리 부분에 술같이 생긴 장식 또는 깃털 모양의 장식이 달려 있다. 보고서에 나오는 갑주에 대한 보고서는 다음과 같다.

“망이산성 출토 갑주는 높이 45㎝, 폭 46.2㎝로 가야계 고분 출토품의 철제 갑옷과 비슷하다. 보존처리 결과 흉부 3단, 복부 4단의 총 7단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밝혀졌다. 개폐 장치를 갖추었으며 각 판은 못을 박아 고정시키는 이른바 횡장판정결판갑(橫長板釘結板甲)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키워드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