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부터 월간 글마루에서 연재하고 있는 ‘남한지역 고구려 유적 답사’ 시리즈를 천지일보 온라인을 통해 선보입니다. 우리의 역사를 알고 더욱 깊이 이해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과거 연재시기와 현재 노출되는 기사의 계절, 시간 상 시점이 다소 다른 점을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강서구 공암나루… 고구려의 ‘제차파의현’

글 이재준 역사연구가·칼럼니스트 사진 글마루  

약사사에서 바라본 개화산
약사사에서 바라본 개화산

고구려 ‘제차파의현’

서울 아리수가 흐르는 강서, 양천구에 작은 규모의 고구려 산성 유적이 산재해 있다. 양천 허씨의 고향이라고 전해 내려오는 공암(孔巖). 공암은 본래 한강변 나루터였다. 지금은 강서구청이 근린공원으로 조성하여 놓았다.

이 일대의 고구려성 유적은 본래 구축되었던 백제 식 판축성 위에 고구려 식으로 다시 개축 한 것이다. 한강 유역 백제성의 규모가 작았으므로 본성의 규모도 그리 크지 않다. 그러나 주변의 지형을 이용하여 포곡식으로 재구축한 사례도 찾아진다. 이 같은 경우는 고구려 노은홀차 땅인 강원도 양구 비봉산성의 예와 매우 흡사하다.

그리고 주변에 있는 가까운 산에다 유사시 지원이 가능한 소규모 석성을 구축했다. ‘공암’의 역사부터 살펴보자. <동국여지승람> 기록을 보면 공암은 본래 고구려의 ‘제차파의현(齊次巴衣縣)’이었는데 통일 신라 경덕왕 때 공암(孔巖)으로 고쳐 율진군(栗津郡: 지금의 과천)의 영현(領縣)으로 삼았다고 되어 있다.

언어학자들 사이에도 제차파에 대한 해석이 다르다. 제차(齊次)라는 이름이 이두문자로서 ‘제의 처’ ‘파의(巴衣) - 바위’ 즉 제사를 지내는 바위라는 뜻이다. 또 제차(齊次)라는 말은 지금의 김포군 양천의 고명(古名)으로 잿(城)의 음차(音借)라고도 본다. 재차를 ’갯가‘로 해석하기도 한다.

조선고지도와 경기 양천지도를 보면 ‘공암’은 한강의 북쪽을 왕래하는 나루로 표기 되어있다. <광여도>에는 공암진(孔岩津)과 양화진(楊花津)과 같이 한강을 넘나들던 나루로 표시되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공암진을 북포(北浦)라 하기도 한다. 현 북편 1리 지점에 있다. 바위가 물 복판에 세워져있고 구멍이 있으므로, 이것이 이름으로 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공암 나루터에는 투금탄(投金灘)이란 전설이 전해져오고 있다. 공민왕 때 형제가 함께 길을 가다가 우연히 황금 두 덩이를 주워 나눠가졌다. 그런데 공암 나루터에서 배를 타고 가던 중 갑자기 동생이 물속에 황금을 던져 버렸다. 형이 동생에게 놀란 얼굴로 황금을 버린 이유를 물었다.

동생이 “혼자 왔더라면 금덩이 두 개 모두를 내가 차지했을 텐데 하는 사특한 마음이 생겨 우리의 우애를 깨뜨리는 액물이라 버렸습니다”라고 말했다. 곰곰이 생각한 형도 금덩이를 물속에 던져 버렸다는 것이다. 바로 교과서에 나오는 그 유명한 투금탄 설화장소가 바로 공암이다.

이곳의 고구려 유적은 어떤 모습으로 남아있을까. 한국역사문화연구회 회원들과 글마루 답사반은 혹한의 1월 초순 공암과 고구려 성의 흔적인 남아 있는 개화산 봉수를 찾았다. 그리고 발굴로 드러난 궁산 양천 고성지를 답사했다.

겸재 정선의 '개화사'
겸재 정선의 '개화사'

개화산은 주룡산

‘개화산’은 서울의 서쪽 끝 강서구 개화동에 위치해 있다. 표고 128.4m의 높지 않은 산으로 산 정상에는 봉수터가 있다. 꽃이 만발하였다고 해서 이 같은 이름을 얻은 것일까. 개는 ‘川’의 ‘개’, 꽃은 ‘串’의 차음으로 해석하면 ‘江串’이 된다. 바로 한강 나루라는 뜻이다.

이 산은 조선 후기 천재 화가 겸재 정선의 <열수팔경도(洌水八景圖)>에 나온다. 열수는 한강의 별칭으로 다산 정약용은 자신의 아호를 열수라고 짓기도 했다. 중국 고기록을 보면 열수에 대한 내용이 보인다.

“조선의 음(音)은 조선(朝鮮)이니, 강에서 온 이름이다. 또 선(鮮)은 밝다는 말이니, 땅이 동쪽에 있어 해가 먼저 밝아오기 때문에 생긴 이름이다.”라고 했다. <산해경(山海經)>에는 “조선은 열양(列陽)에 있다.”라고 하였는데, <주(註)>에는 “열(列)은 물 이름이다.”라고 하였고, 양웅(楊雄)의 <방언(方言)>에 “조선 열수(洌水)의 사이”라는 말이 있다. 장화(張華)가 말하기를 “조선에는 천수(泉水)·열수(洌水)·선수(汕水)가 있는데 세 물이 합하여 열수(洌水)가 된다”라고 하였으니 아마 낙랑 조선(樂浪朝鮮)이 여기에서 이름을 딴 것인 듯하다.

겸재의 그림은 한강 건너편에서 그린 탓인지 개화사가 높게 그려져 있다. 산 정상에는 봉수는 그려지지 않았고 사찰만 있다. 이 그림은 겸재가 양천현감으로 재직하였을 당시 한양도성을 오가면서 그린 그림이 아닌가 생각된다.

경기도 포천에 살았던 사천 이병연(槎川 李秉淵)은 조선 문사 가운데 가장 많은 시를 남긴 겸재의 둘도 없는 친구였다. 그가 겸재가 양천 현감으로 있을 당시 찾아와 멋진 시를 지었다. <공암삼층탑>이란 시다.

孔岩多古意 공암에는 옛 사람들 뜻 많이 서려있네

一塔了洪蒙 탑 하나가 아득하구나.

下有滄浪水 아래로는 창랑수가 흐르는데

漁歌暮影中 석양에 들려오는 고기 잡는 노래여

(意譯)

양천읍지를 보면 개화산의 산경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동해의 산경은 백두산을 조종(祖宗)으로 하여 태백산에 이르고, 서쪽으로 굽이쳐 속리산이 된 다음, 북행하여 청계산이 된다. 여기서 맥을 나누어 일맥은 북쪽으로 관악산을 이루고, 다시 북쪽으로 떨어져 양화도 선유봉이 되며, 일맥은 서북을 향하여 안산의 수리산·인천의 소래산으로 이루어져 북행해 와서 본현에 이르러서는 증산(甑山)이 된다. 증산은 산 모습이 예뻐서 군자봉이라고도 하니, 이것이 한 고을의 조봉(祖峰)이 되며, 일맥이 북향하여 주룡산(駐龍山)이 된다. 일명 개화산이라고도 하는데, 코끼리 형상으로 사자 형상인 행주산과 더불어 한강 하류의 양쪽 대안에 포진하여 서로를 바라보며 서해안을 통해 들어오는 액운을 막고, 한성에서 흘러나오는 재물을 걸러서 막아주는 ‘사상지형(獅象之形)’이라고 한다.

개화산은 일명 ‘주룡산’으로 불렸다. 전설에는 신라 때 주룡선생(駐龍先生)이라는 도인이 이 산에 숨어 살았다고 한다. 그는 도를 닦으면서 세상을 등졌는데 이곳에서 목숨을 다했다는 것이다.

주룡선생이 매년 9월 9일이면 동자 두 세 명과 더불어 술을 마시고 놀았다. 도인은 술에 취하면 <구일용산음(九日龍山飮)>을 애송 하였는데 주룡산이 이 풍류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다.

본래 <구일용산음>이란 당나라 주선(酒仙) 이백의 시다.

九日龍山飮 중양절에 용산에 올라 술을 마시는데

黃花笑逐臣 노란 국화꽃이 귀양 온 나를 보고 웃네

醉看風落帽 술 취해 바라보니 바람에 모자도 떨어지고

舞愛月留人 밝은 달빛이 춤추는 나를 머물게 하네

주룡이란 이름을 달리 해석 할 수도 있다. 용은 왕, 황제에게만 쓰여 진 글자다. 즉 용을 왕으로 해석한다면 삼국시대 이 성에 왕이 일시 머물다 간 것은 아닐까. 그렇다면 그 왕은 백제왕일까 아니면 고구려나 신라의 왕일까. 개화산의 지리적 중요성을 감안하면 충분히 짐작이 가능한 일이다.

그런데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 문자왕 15년(506)조>에 주목할 만한 기록이 나온다. 당시 고구려와 백제는 지금의 수원 이북 지역에서 첨예하게 각축하는 형국이었다. 이미 장수왕대 백제로부터 빼앗은 성들을 다시 잃으면서 왕까지 참전하는 일대 결사전이 벌어진 것이다.

문자왕은 직접 남하하여 용산 양에서 사냥을 하고 5일 만에 돌아왔다. (十五年 秋 八月 王獵龍山之陽 五日而還)

‘용산’은 어디이며 여기서 양(陽)이라고 지명은 어디를 가리키는 것일까. 한강 일대까지 남하한 문자왕이 일시 거처를 삼은 행궁 용산은 어디인가. 주룡산은 왕이 일시 거주했다는 뜻이 담겨 있다. 개화산- 주룡산이 문자왕이 일시 내려와 주둔했던 곳은 아닐까.

고려 태조는 견훤의 후백제군과 전쟁하면서 공암에서 묵은 적이 있었다. 왕건도 주룡산에서 며칠을 묵은 것으로 상정 할 수 있다. 이때 공암의 토호세력이었던 허선문은 왕건에게 많은 군량미를 제공했다. 그는 가락국 수로왕과 왕비 허황옥의 후손이었다.

이 공으로 왕건은 허선문에게 ‘공암촌주(孔巖村主)’를 제수했다. 허선문은 90세를 넘긴 고령에도 고려 태조에 충성을 다했다는 것이다. 그가 바로 양천을 본관으로 하는 허씨의 중시조가 되는 것이다.

개화산
개화산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