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호규 대중문화평론가(동아예술전문학교 예술학부 교수)

김성수 감독의 영화 ‘서울의 봄’이 개봉했다. 영화는 집단 속에서 권력을 위해 배신하고 사리사욕과 야심을 채우려는 인간의 본성, 특히 잠재된 악을 드라마틱하게 그려냈다.

1979년 10.26 사건 이후 긴 겨울이 가고 서울에도 봄이 찾아오는가 했다. 그런데 잠시 후 12.12 사태가 이어졌다. 영화 ‘서울의 봄’은 그 짧은 순간에 급작스럽게 닥치는 다양하고 새로운 인물, 사건으로 더욱 큰 혼란 속에 관객들을 밀어 넣는다.

‘서울의 봄’은 1979년 12월 12일 수도 서울에서 일어난 신군부 세력의 반란을 막기 위한 일촉즉발의 9시간을 그린 영화다. 특히 한국 영화 최초로 12.12 군사반란을 다뤄 주목받고 있다. 반란군과 진압군이 직면한 1분 1초의 급박한 순간들을 정교한 편집과 플롯으로 빠르게 교차시키며 마치 관객들을 그 당시 역사 속 현장에 있는 것처럼 몰입하게 만들었다. 서로 물어뜯는 캐릭터 구축과 섬세한 인물 구성, 그 시대를 그대로 재연한 영화적 미장센과 색감은 영화를 더욱 돋보이게 했다.

영화는 12.12 당일까지의 시간을 빠르게 조명한다. 격전 속의 육군본부, 보안사, 광화문 한복판 등을 카메라 앵글에 담아내고 행주대교에서 반란군의 서울 진입을 필사적으로 저지하는 장면 등도 인상적이다.

영화 속에서 전두광(황정민) 보안사령관은 호랑이 같고, 다혈질이고 거침이 없다. 이태신(정우성) 수도경비사령관은 점점 고립돼 혼자만 남는 외톨이 신세가 된다. 전두광과 달리, 목소리가 크지도 않고 마스큘린 같은 큰 남성미가 있지도 않다. 조용하지만 올곧은 신념으로 팽팽한 대립을 그려가며 진압군을 이끈다. 스토리 구조 안에서 미드포인트를 지나 피치로 넘어가는 지점에 반란군과 진압군의 등장인물들은 놀라운 속도감으로 긴장감을 극대화한다. 이태신도 미드포인트 지점에서는 조용히 자기주장만 내세우다, 피치II에 도달했을 때는 점차 발톱을 드러내며 반란군을 온몸으로 막으려 한다.

지금까지 10.26 사태나 민주항쟁 등을 다룬 영화들은 있었다. 10.26 사태를 다룬 영화 ‘그때 그 사람들’ ‘남산의 부장들’, 5.18 민주화운동을 다룬 ‘택시운전사’ 등은 캐릭터 중심의 드라마에 초점을 맞췄다면, ‘서울의 봄’은 그 현장 속 수많은 군인의 인간군상을 그려내고 목적을 위해 방전되지 않는 강한 에너지도 뿜어냈다. 특히 신군부 세력이 당시 최규하 대통령의 재가 없이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을 연행시키면서 군 내부의 주도권을 장악한 일촉즉발의 거대한 스케일의 군사 반란도 생생히 담아냈다.

김성수 감독은 7년 전 영화 ‘아수라’를 내놓으며 한국 사회의 기득권과 공권력이 부패와 기회주의로 얼룩져 있는 상황을 그려냈다. 영화 내내 음침하고 어두운, 음울한 에너지는 현재 사회의 상황을 그대로 드러낸다. ‘아수라’에서는 악덕 시장 박성배와 부패한 강력계 형사 한도경 캐릭터를 맞붙게 했다. 탐욕과 이기심을 가진 이들은 끊임없이 서로의 목을 잡고 비틀며 이익만을 좇는 틈바구니에서 생존하기 위해 발버둥 친다.

이번 영화에서는 반란군 전두광과 진압군 이태신의 혈투를 그리며 그들의 정체성과 상대성을 리얼하게 보여준다.

관객들은 ‘서울의 봄’을 통해 당시 역사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내놓을 것이다. 갑론을박을 통해 자신의 철학들도 쏟아낼 것이다. 분노나 씁쓸함도 있을 것이고 억울함이나 무언가 해냈다는 희열도 있을 수 있다. 관객들은 140분이라는 러닝타임 내내 손에 땀을 쥐며 당시 역사 속 현장에 주목하고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