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 2020.9.5
ⓒ천지일보 2020.9.5
ⓒ천지일보 2020.9.5
ⓒ천지일보 2020.9.5
ⓒ천지일보 2020.9.5
ⓒ천지일보 2020.9.5
ⓒ천지일보 2020.9.5
ⓒ천지일보 2020.9.5
ⓒ천지일보 2020.9.5
ⓒ천지일보 2020.9.5
ⓒ천지일보 2020.9.5
ⓒ천지일보 2020.9.5
ⓒ천지일보 2020.9.5
ⓒ천지일보 2020.9.5
ⓒ천지일보 2020.9.5
ⓒ천지일보 2020.9.5

‘종교 속 궁금증’은 우리 삶에서 흔히 가질 수 있는 종교와 관련된 상식과 궁금증을 해결해보는 코너입니다. 매주 일요일 연재됩니다.

[천지일보=박선아 기자] 스님이 입는 옷을 법복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보는 법복에서 회색 부분은 ‘장삼’ 어깨에 걸친 붉은색이나 갈색처럼 된 것은 ‘가사’라고 부릅니다. 장삼은 본래 낡고 오래돼 색이 바래서 회색인데, 이 시대에 와서는 회색으로 대신하게 된 것이죠.

이 법복을 분소의라고도 하는데 이는 똥 묻은 헝겊 조각을 주워 모아서 지은 옷이라는 의미입니다. 탐심을 삼가고 검소함을 닦으라는 뜻으로 입는 법복이죠.

불교의 계율 중 수행자의 옷에 대해 다룬 ‘의건도’에는 시체를 싸서 화장터에 내다버린 ‘총간의’를 분소의로 이야기합니다. 이를 비구(남자 승려)들이 서로 다투어 가져갔기 때문에 공평하게 나누어 입었다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또 비구들에게 “분소와 시장에 떨어져 있는 헝겊은 원하는 만큼 갖도록 하라”고 한 기록도 있습니다. 이는 상점의 문밖에 버려진 헝겊도 분소의와 같은 범주에 속한다는 의미로 볼 수 있겠죠.

분소의는 원래 조각조각 찢어진 천을 붙여서 만든 것입니다. 긴 헝겊과 짧은 헝겊으로 잘라서 서로 잇대어 깁는데 이렇게 만들어진 옷은 조각의 수에 따라서 몇 조라고 칭합니다. 예를들어 중국, 한국, 일본에서는 삼의 중에서 하의를 긴 헝겊 한 장과 짧은 헝겊 한 장을 1조로 하여 다섯 조를 합해 5조 가사라고 합니다.

가사는 청·화·적·백·흑 등 ‘정색’이 아닌 ‘괴색’으로 물들이게 됩니다. 불교의 계율을 담은 ‘율장’에는 가사색을 ‘모란색’ ‘니색’ ‘천색’ 등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오늘날 남방불교 비구의 옷은 황색인데, 이는 색천의 색 중 천색 계통으로 추측됩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