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수익여신 비중 0.22%로 상승
기업 ‘깡통대출’ 1년 새 29%↑
경기둔화에 파산 64.4% 증가
기업 부채 증가 속도 세계 2위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25일 서울 한 시중은행 은행창구 모습 ⓒ천지일보DB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25일 서울 한 시중은행 은행창구 모습 ⓒ천지일보DB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시중은행에서 돈을 빌리고 이자조차 내지 못하는 가계와 기업들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침체, 고금리 등 이중고 속에서 원자재 가격의 상승과 소비 위축까지 이어지면서다. 특히 최종 부도 처리되거나 파산·청산 절차에 돌입한 기업들의 ‘깡통 대출’이 잇따라 속출하고 있다.

20일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국내 4개 시중은행이 공시한 3분기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은행의 무수익여신 잔액은 지난해 말 2조 2772억원에서 올해 9월 말 2조 8988억원으로 27.3% 급증했다.

같은 기간 4대 은행 총여신은 3.0%(1295조 7838억원→1334조 2666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에 따라 총여신에서 무수익여신이 차지하는 비율은 0.18%에서 0.22%로 높아졌다.

무수익여신이란 부실대출금과 부실지급보증금을 합친 개념이다. 3개월 이상 연체된 여신과 채권재조정, 법정관리·화의 등으로 이자 수입이 전혀 들어오지 않는 여신처럼 금융기관이 빌려준 돈을 회수할 가능성이 없거나 어렵게 된 여신이 이에 해당한다.

은행들은 3개월 이상 원금 상환이 연체된 여신에 이자 미계상 여신을 추가 반영해 무수익여신 잔액을 산정하며, 고정이하여신(NPL)보다 더 악성으로 취급한다.

무수익여신의 심각성은 가계보다 기업 대출에서 더 분명하게 나타났다.

이들 은행의 기업대출 부문 무수익여신은 지난해 말 1조 5310억원에서 올해 3분기 말 1조 9754억원으로 29.0% 증가했다. 일부 은행의 경우 기업대출 부문 무수익여신 잔액이 50% 가까이 늘어나기도 했다. 반면 가계대출 부문 무수익여신은 7462억원에서 9234억원으로 23.7%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 같은 현상은 고금리·고물가와 함께 경기둔화가 겹치며 벼랑 끝에 몰린 기업들이 늘어난 데 영향을 받았다.

법원통계월보 등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기준 전국 법원이 접수한 법인 파산 사건은 1213건이었다. 작년 동기(738건)보다 64.4% 늘었다. 같은 기간 개인 파산 접수는 3만 112건으로 1년 전(3만 1026건)보다 거의 비슷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누적 전국 어음 부도액은 4조 156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조 3202억원)보다 214.9% 급증했다. 1∼9월 월평균 전국 어음 부도율도 지난해 0.08%에서 올해 0.25%로 뛰었다.

우리나라 기업의 빚은 국가 경제 규모를 고려해도 빠르게 늘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국제금융협회(IIF)는 지난 16일 34개국(유로 지역은 단일 통계)을 대상으로 한 ‘세계 부채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지난 3분기 국내총생산(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이 126.1%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홍콩(267.9%), 중국(166.9%)에 이어 가장 높은 수준이다.

기업 부도 증가율도 높았다. 한국 기업들의 부도는 지난해 1∼10월보다 올해 같은 기간 약 40% 증가해 주요 17개국 중 2위를 기록했다.

문제는 가계와 기업 대출 증가세가 꺾일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16일 기준 NH농협은행을 포함한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689조 5581억원으로 10월 말(686조 119억원)과 비교해 약 보름 만에 3조 5462억원 늘었다.

이 중 주택담보대출은 3조 4175억원(521조 2264억원→524조 6439억원) 늘었고, 신용대출은 3106억원(107조 9424억원→108조 2531억원) 증가했다.

대기업과 소상공인, 중소기업을 포함한 기업대출 잔액은 766조 3856억원으로 전월 말보다 2조 696억원 늘었다. 작년 말(703조 7268억원)과 비교하면 올해 들어 5대 은행의 기업 대출은 62조 6587억원 급증한 상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