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남승우 기자] 4일 통계청의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7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지난해 동월 대비 0.3% 상승했다. 품목별로 보면 농·축·수산물 가격이 6.4% 상승했다. 장마에 따른 출하 감소 등의 영향으로 채소류가 16.3% 상승하며 농산물 가격이 4.9% 올랐다.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는 모습. ⓒ천지일보 2020.8.4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는 모습. ⓒ천지일보DB

한국은행 2019년 산업연관표 분석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우리나라 경제 구조에서 서비스와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졌고, 대신 공산품과 수출이 비중이 줄었다. 또 대외거래(수출·수입) 의존도도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1일 공개한 ‘2019년 산업연관표’에 따르면 2019년 총산출액 가운데 서비스 비중은 47.6%, 공산품은 41.6%로 집계됐다.

특히 서비스 비중이 전문·과학, 기술서비스, 공공행정, 보건복지 등의 분야를 중심으로 1년 사이 1.4%포인트(p) 커졌다. 부가가치 기준으로도 서비스 비중은 2018년 60.2%에서 2019년 61.7%로 확대됐다.

최종 수요에서는 소비(46.6%→48.1%)와 투자(22.9%→23.0%) 비중이 커진 반면 수출(30.5%→28.9%)은 줄었다. 소비의 경우 민간소비(34.9%→35.6%)와 공공행정·의료보건 등 정부소비(11.7%→12.5%)의 역할이 함께 커졌다.

2019년 한국 경제의 총공급액(수요액)은 5097조 5천억원으로 2018년(5074조 2천억원)보다 약 0.5% 증가했다.

총공급(수요) 가운데 수입과 수출을 더한 ‘대외거래’는 29.3%로, 비중이 2018년(30.2%)보다 감소했다. 이는 반도체 등 수출 물가가 낮아지고 원유·석탄 등 원자재 가격도 떨어진 데 영향을 받은 것으로풀이된다.

부가가치율(부가가치/총산출액)은 43.5%로 0.3%포인트 높아졌다. 원유 가격 하락 등으로 중간 투입 비용이 줄었기 때문이다.

최종 수요에서 소비(46.6%→48.1%)와 투자(22.9%→23.0%) 비중이 커진 반면 수출(30.5%→28.9%)은 줄었다. 소비의 경우 민간소비(34.9%→35.6%)와 공공행정·의료보건 등 정부소비(11.7%→12.5%)의 역할이 함께 커졌다.

2019년 부가가치 유발계수(0.780)는 전년(0.773)보다 올랐다. 부가가치율이 높아진데다 수입의존도(12.7%→12.3%)는 낮아졌기 때문이다.

중간재 국산화율이 높아지면서 생산유발계수(1.790→1.791)도 상승했지만, 수입유발계수(0.227→0.220)는 떨어졌다.

부가가치·생산·수입 유발계수는 국산품 수요가 1단위 발생함에 따라 모든 산업에서 직·간접적으로 유발되는 부가가치·생산·수입의 크기를 말한다.

2019년 기준 전업 환산(FTE: full-time equivalent) 취업자는 2456만명으로 1년새 0.2%(6만 1천명) 늘었다. 전업 환산 취업자는 시간제 근로자의 근무시간을 전일제 근로자의 평균 근로시간 기준으로 환산해서 산출한 취업자로, 임금근로자(상용직+임시·일용직)와 자영업자, 무급 가족종사자를 포함한다.

상용직 근로자가 39만 8천명 늘었지만, 임시일용직(-28만 3천명)과 자영업자 및 무급 가족종사자(-5만 3천명)은 줄었다.

전 산업 취업계수와 고용계수는 각 5.6명, 4.1명으로 2018년과 차이가 없었다. 취업계수는 산출액 10억원 생산에 소요되는 전업환산 취업자 수를, 고용계수는 같은 조건에서 소요되는 임금금로자 수를 뜻한다.

전 산업 취업유발계수(10.1명)와 고용유발계수(7.4명)도 1년 전과 같았다. 취업유발계수는 국산품 수요가 10억원 발생할 경우 전산업에서 직·간접적으로 유발되는 전업환산 취업자 수를, 고용유발계수는 같은 조건에서 유발되는 임금근로자 수를 말한다.

한국은행 본관 ⓒ천지일보 2019.8.29
한국은행 본관 ⓒ천지일보DB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