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작년 2~4분기 가구소득 분석

상위 20% 1.5% 감소 불과

하위 20%는 17% 크게 감소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코로나19 충격에 따른 저소득층의 소득 감소폭이 중·고소득층보다 훨씬 더 커 소득 불평등 현상, 즉 양극화가 더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로 이 계층의 임시·일용직, 자녀를 둔 여성 가구주가 직장을 대거 잃거나 직장을 유지하더라도 소득이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와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취임 4주년 특별연설에서 점차 심화하는 양극화, 청년과 여성 등 피해 계층에 대해 적극적인 조치를 약속했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코로나19가 가구소득 불평등에 미친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2∼4분기 소득 1분위(하위 20%) 가구의 분기 평균 소득 감소율(전년동기대비)은 17.1%로 ▲2분위 5.6% ▲3분위 3.3% ▲4분위 2.7% ▲5분위 1.5%를 크게 웃돌았다.

이번 분석 대상은 가계동향조사 미시자료상 전국 2인 이상 비농림어업가구 중 1만 2138가구였고, 소득에서 재난지원금 등 사회수혜금과 생활비 보조 등 사적 이전소득은 제외됐다. 코로나19가 소득에 미친 영향이 과소평가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중산층·고소득층보다 저소득층의 소득이 급감하면서, 하위 10% 가구 소득 대비 중위(가운데값) 소득의 배율(P50/P10)은 2019년 2∼4분기 평균 5.1배에서 지난해 같은 기간 5.9배까지 뛰었다.

1분위 소득 감소분을 고용과 소득 요인으로 나눠보면 36.2%가 실업 등 고용 충격에, 63.8%가 취업자의 소득 수준 저하 충격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1분위 핵심노동 연령층(가구주·배우자 평균 연령 30∼54세) 가구만 따지면 고용 충격의 기여도가 46.3%까지 높아졌다.

고용충격을 구체적으로 보면, 작년 2∼4분기 소득 1분위 가운데 비취업(실업·비경제활동인구) 가구의 비중은 2019년 같은 기간보다 8.7%포인트(p)나 커졌다. 1분위 핵심노동 연령층에서는 비중 상승 폭이 10.4%포인트에 이르렀다. 이는 그만큼 저소득층이 일자리를 많이 잃었다는 얘기다. 소득충격도 저소득층에 집중됐다. 같은 기간 1분위 취업 가구의 소득 감소율이 15.6%로 2∼4분위(-3.3%), 5분위(-1.3%)보다 월등히 높았다.

이 같은 배경에 한은은 “주로 저소득층에서 가구주·배우자 일자리의 대면접촉 정도가 높은 ‘고(高)대면 일자리 가구’ 가운데 고용 상태가 불안한 임시 일용직, 육아부담이 큰 ‘유자녀 여성가구’ 가구주의 실직과 소득 감소가 뚜렷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지난해 2∼4분기 1분위 임시·일용직 가구의 비중은 2019년 같은 기간보다 5.6%포인트(28.6→23.0%) 떨어졌고, 1분위 핵심노동 연령층 취업가구 중 고대면 일자리 가구이면서 유자녀 여성가구(미성년 자녀가 있는 여성 가구주)의 지난해 2∼4분기 소득 감소율은 23.1%에 이르렀다.

특히 자영업의 추가적 고용조정, 자녀를 둔 여성 가구의 경력 단절 등은 앞으로 소득 불평등을 더 악화시킬 수 있는 만큼 정책적 대응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제공: 한국은행)
(제공: 한국은행)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