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의-맥킨지, 조직건강 진단
韓기업 77% ‘글로벌 하위권’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상습적인 야근과 상명하복식 업무지시, 비합리적인 평가시스템 등 후진적 문화로 국내기업들이 병들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와 맥킨지는 지난해 6월부터 9개월간 국내기업 100개사, 임직원 4만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기업의 조직건강도와 기업문화 종합보고서’를 15일 발표했다.

검진결과, 국내기업의 조직건강은 글로벌기업에 비해 약체였다. 특히 중견기업 대다수가 글로벌기업에 비해 절대 약세인 것으로 드러났다.

조직건강도 진단은 맥킨지 조직건강도 분석기법을 활용했다. 리더십, 업무시스템, 혁신분위기, 책임소재 등 조직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사항을 평가·점수화해 글로벌 1800개사와 비교했다.

조사대상 100개사 중 글로벌기업보다 약체인 기업은 최하위수준 52개사 포함, 77개사에 달했다. 중견기업은 91.3%가 하위수준으로 평가됐다. 반면 상위수준으로 진단을 받은 기업은 최상위 수준 10개사 포함 23개사에 불과했다.

특히 대한상의와 맥킨지는 한국형 기업문화도 심층진단했다. 직장인 4만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 기업문화 실태 진단’에서 직장인들은 ‘습관화된 야근’을 가장 심각한 기업문화로 꼽았다.

야근, 회의, 보고 등 한국 고유의 기업문화에 대한 호감여부를 조사한 결과 ‘습관적 야근’이 31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야근의 단초를 제공하는 ▲비효율적 회의(39점) ▲과도한 보고(41점) ▲소통없는 일방적 업무지시(55점)도 낮은 점수를 받았다.

구체적으로 직장인들은 주 5일 기준 평균 2.3일을 야근했고, 3일 이상 야근하는 비율도 43%나 됐지만, 야근을 안 하는 직장인은 12%밖에 안됐다. 이 같은 야근문화의 근본원인으로 대한상의는 비과학적 업무프로세스와 상명하복의 불통문화를 지목했다.

대한상의는 “실제 조사에서 퇴근 전 갑작스런 업무지시나 불명확한 업무분장으로 한 사람에게 일이 몰리는 경우, 업무지시 과정에서 배경이나 취지에 대한 소통이 부족해 일이 몇 갑절 늘어나 야근하는 사례 등이 수시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