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비수도권 대학 육성을 위해 5년간 1천억원을 지원하는 ‘글로컬대학’을 올해 10곳 선정할 계획인 가운데 개별 대학이 성급하고 불완전한 통합에 나설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정부는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일관된 정책적 접근을 취해야 한다. 각 대학도 글로벌 경쟁력을 위한 혁신에 더 집중해야 한다. 글로컬대학으로 선정되기 위해 무리하게 통합에 나섰다가 되려 개별 대학 운영은 물론 고등교육 시스템에 혼란만 가중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부설 고등교육연구소가 발간한 고등교육 정책 자료 7종 중 ‘대학, 통합의 기로에 서다: 국내 대학 간 통합의 특징과 과제’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대학들은 혁신과 생존 전략으로 대학 간 통합을 주목하고 있다.

2000년 이후 ‘대학 통합’을 다룬 뉴스 기사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총 466건의 보도가 나갔다. 이는 2011년(501건)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이 보고서는 정부가 글로컬대학 사업을 새롭게 추진하면서 대학 통합 필요성과 관련한 논의가 다시 활발히 이뤄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교육부는 3월 22일까지 글로컬대학 예비 지정 신청서를 제출받은 뒤, 4월에 최대 20곳을 예비 지정 대학으로 선정한다. 올해부터는 2개 이상의 대학이 ‘공동 의사결정기구’를 구축해 대학 간 연합 형태로 신청할 수 있도록 유형이 다양해졌다. 대학통합 논의가 활발해진 이유다.

게다가 지난해 강원대·강릉원주대, 부산대·부산교대, 충북대·한국교통대, 안동대·경북도립대 등 통합을 내세운 국‧공립대 위주로 글로컬대학에 선정된 게 기폭제가 되는 분위기다.

실제 충북대‧한국교통대, 국립창원대‧경남도립거창대‧경남도립해남대, 충남대‧국립한밭대, 영남대‧영남이공대, 목포대‧전남도립대, 부경대‧한국해양대 등이 통합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 1월 한국대학교교육협의회 정기총회에 참석한 총장 중 24.5%가 타 대학과의 통합을 추진하거나 모색 중이라고 답하기도 했다. 각 대학은 통합만이 글로컬대학 선정의 주요 기준이 된 것 같은 분위기를 만들기보다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얼마나 과감히 혁신하는지를 보여줘야 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