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시내면세점 현황과 1분기 매출. (제공: 각사, 김정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대기업 시내면세점 현황과 1분기 매출. (제공: 각사, 김정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서울에만 대기업 3곳 추가

부담 커도 경쟁 치열할 듯

[천지일보=이승연 기자] 정부가 총 6개의 새로운 시내면세점 특허권을 추가로 허용하기로 했다. 대기업에 해당하는 특허권만 5개다. 소식이 전해지자 업계는 당혹감을 드러내면서도 추이를 지켜보며 대응하겠다는 분위기다.

기획재정부가 14일 ‘면세점 제도운영위원회’를 열고 ‘2019년도 지역별 시내면세점 특허 수’ 안건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올해 서울 3개, 인천 1개, 광주 1개 등 대기업 시내면세점 특허 5개를 추가 발급하기로 했고 충남에 중소·중견기업 면세점 특허 1개를 부여하기로 했다. 당초 시내면세점 특허권이 나올 것으로 예상됐던 제주와 부산은 빠졌다. 신규특허 발급 요건은 충족했지만 지자체 반발 등을 고려한 결과다.

기재부의 결정에 따라 이달 관세청이 지역별로 특허 신청공고를 내고 심사를 거쳐 오는 11월에 최종사업자가 선정된다. 6개 모두 새 주인이 결정된다면 전국 시내면세점은 현재 26곳(대기업 14곳, 중소·중견 12곳)에서 32곳으로 늘어나게 된다. 2015년 13곳에서 4년 만에 2배 이상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사실상 ‘무한경쟁 시대’에 진입할 것이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기존 면세점들은 대부분 난색을 표하고 있다. 2015년 신규 면세점이 대거 진입한 후 혼돈의 시기를 지나 겨우 시장이 정리되어가는 상황에 다시 5개나 되는 신규업체의 등장은 과도한 경쟁만 부추길 것이란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 같은 부정적 의견의 중심에는 따이궁(보따리상)의 송객수수료가 자리 잡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2015년 5630억원이던 송객 수수료는 2017년 1조 1481억원으로 1조원을 넘어섰고 2018년 1조 3181억원까지 늘었다. 지난해 국내 면세점 총 매출이 18조 9602억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한달치 매출이 송객수수료로 빠져나간 셈이다.

일각에서는 이처럼 기형적인 성장을 하고 있는 면세점 사업에 회의감을 드러내고 있다. 면세업계 한 관계자는 “표면적으로는 따이공 덕에 매출이 매년 고공행진을 하고 있지만 매출을 유지하기 위해 쏟아붓는 비용이 커 울지도 웃지도 못할 상황”이라며 “많게는 제품 가격의 절반을 따이공에게 송객수수료를 돌려주며 경쟁하는 현실이 중국인들의 수입만 높여주는 모양새가 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 역시 면세점에서 거둬들이는 특허수수료로 쉽게 수입을 올리려는 태도를 버려야 한다”며 “관광산업의 장기적 발전을 위해서는 면세점을 추가할 게 아니라 콘텐츠 개발에 더 투자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이번 특허권을 둘러싼 경쟁이 치열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인기 브랜드 유치를 위해서는 ‘규모의 경제’라는 논리가 절실한 업계의 현실을 간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지금도 신규 진입한 대기업 사업자들은 명품 브랜드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상황에 현재 1,2위 사업자들이 추가로 특허권을 가져갈 경우 업계 내 ‘빈익빈 부익부’가 더 심각해질 수 있는 우려다. 특히 지난해 7월 강남점을 오픈한 현대백화점의 경우에는 아직 강북에 거점이 없어 이번 시내면세점 특허권이 절실하다. 지난해 주요 대기업들이 줄줄이 강남에 면세점을 오픈하기는 했지만 국내 면세점 매출의 절반 이상은 강북에서 발생하고 있다. 때문에 ‘강북 진입’이란 꿈을 이뤄줄 이번 기회를 놓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게다가 기존에 면세점 영업권을 빼앗긴 SK나 그 외 대기업들의 도전도 배제할 순 없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