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시장에서 손님을 기다리는 상인들 모습. 2023.4.3 (출처: 연합뉴스)
서울의 한 시장에서 손님을 기다리는 상인들 모습. 2023.4.3 (출처: 연합뉴스)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국내 보험사에서 대출받은 3명 중 1명은 ‘다중채무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석호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7일 ‘국내 보험사 대출채권의 잠재 위험 요인 점검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코리아크레딧뷰로(KCB) 데이터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말 기준 차주 수 기준 보험사의 다중채무자 비중은 32.1%”라고 밝혔다.

다중채무자란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받은 차주를 말한다. 고금리에 부실 가능성이 큰 만큼 한은·금융당국의 집중 감시·관리 대상으로 꼽힌다.

보험사 다중채무자 비중은 저축은행(38.3%), 카드사(33.7%)보다는 낮으나 은행(10.4%), 캐피탈(28.7%), 상호금융(14.8%)의 각각 3.1배, 1.1배, 2.2배 수준이었다.

보험사 다중채무자의 1인당 평균 대출잔액은 약 4300만원으로 제2금융권 중 상호금융(7500만원) 다음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이외에도 은행권 다중채무자의 1인 평균 대출잔액은 5100만원, 저축은행 2천만원, 캐피탈 1600만원, 카드사 1천만원 등이었다.

문제는 다중채무자들이 부실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실제로 보험업권의 채무 불이행자의 신용 회복률은 38.1%로 은행(43.8%), 상호금융(57.7%) 등에 비해 낮았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보험사의 부실채권 금액도 8500억원, 자본총액은 168조원으로 집계됐다. 자본총액 대비 부실채권 비율은 0.5%로, 제2금융권(저축은행 40.93%, 상호금융 29.46%, 여신전문금융사 7.95%)뿐 아니라 은행(4.21%)보다도 낮았다.

보험사의 대출채권 부실에 대한 손실흡수능력인 ‘고정이하여신 대비 대손충당금 적립 비율’은 지난해 9월 말 기준 생명보험사가 158.1%, 손해보험사가 89.2%로 나타났다. 이는 은행(215.3%)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낮고, 특히 일부 중소형 손해보험사의 경우 70%에도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다중채무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부채의 규모가 크고 채무변제 등을 통한 신용 회복률이 낮아 부실 가능성뿐 아니라, 연쇄 부실이 초래될 가능성 역시 크다”고 우려했다.

이어 “보험사의 대출채권 건전성 지표는 아직 양호하나, 안심할 상황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며 “가계대출 차주 중 다중채무자, 저신용등급 층, 저소득층 등 취약 차주 비중이 작지 않은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대내외 경제 금융 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고금리 기조, 부동산 경기 둔화가 이어질 경우 보험사 대출채권의 잠재 위험 요인들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있다”며 “상시로 면밀한 모니터링과 사전적 대비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