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 허용할지 불투명

2012년 북한 평양의 예방 접종. (출처: 연합뉴스)
2012년 북한 평양의 예방 접종. (출처: 연합뉴스)

[천지일보=김성완 기자] 북한이 러시아 관광객의 입국은 허용했으나 국제 구호단체들에는 여전히 빗장을 풀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23일(현지시간) 미국의 북한전문 매체 NK뉴스에 따르면 유엔아동기금(UNICEF·유니세프)은 2월 현재 북한 당국으로부터 입국 시기에 대한 확인을 받지 못한 상태라고 밝혔다.

국제적십자위원회(ICRC)도 북한 적십자사와 연락은 유지하고 있지만 "2020년 이후 당국의 제한 조치로 북한에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국제적십자사회연합(IFRC) 역시 북한 접근이 차단되고 있다.

국제 구호단체 직원들이 대거 북한을 떠난 건 지난 2020년 1월 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이 발단이 됐다. 북한이 코로나19로 국경을 폐쇄했기 때문이다.

2021년을 마지막으로 구호단체 직원이 전원 철수하면서 현재 북한의 인도주의적 상황을 파악하려면 북한 정부가 승인한 현지 인력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하는 형편이다.

지난해부터 북중 간 화물트럭 운행이 재개되며 북한 국경 개방 움직임이 보이고 지난 9일에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러시아 단체 관광객들이 북한에 도착했지만, 여전히 국제 구호단체 직원들은 입국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북한의 외교 상황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은 높지만 언제 이들 국제 구호단체의 입국과 북한 내 활동을 허용할지는 불투명하다.

북한 우방국의 세계식량기구(WFP) 직원들이 가장 먼저 허용될 가능성이 높고 또 다른 국제기구로는 스위스 외교부 산하의 스위스개발협력청(SDC)이 꼽힌다고 NK뉴스는 전했다.

그러나 북한이 국제구호기구 직원들의 복귀를 허용하지 않고 원조만을 원격으로 전달받기를 원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다만 북한 국경 차단이 길어질수록 구호단체와 북한 측에 모두 좋지 않다고 우려가 많다.

최근 유니세프는 북한 9개도, 41개 구역 의료 시설을 방문한 결과 “북한에서 아동 치료용 의약품과 백신, 의료 소모품 공급이 충분하지 않은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