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군사적 긴장감 최고조
군 사진 공개엔 불안감 조성용
감시소 설치‧병력, 중화기 투입
국방부 “즉각 대응책 마련할 것”

(서울=연합뉴스) 북한군이 9·19 남북군사합의로 파괴한 비무장지대(DMZ) 내 최전방 감시초소(GP)에 병력과 장비를 투입하고 감시소를 설치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고 군 당국은 27일 밝혔다. 감시소를 설치 중인 북한군 병력. (국방부 제공) @천지일보 2023.11.27
(서울=연합뉴스) 북한군이 9·19 남북군사합의로 파괴한 비무장지대(DMZ) 내 최전방 감시초소(GP)에 병력과 장비를 투입하고 감시소를 설치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고 군 당국은 27일 밝혔다. 감시소를 설치 중인 북한군 병력. (국방부 제공) @천지일보 2023.11.27

[천지일보=김성완 기자] 북한이 9·19 남북군사합의 파기 선언 직후 전방지역 감시초소(GP)에 감시소를 설치하고 병력과 중화기를 투입하는 등 복원 조치에 들어갔다. 또 해안포 개방도 눈에 띄게 늘어난 것으로도 파악됐다.

군은 즉각 대응책 마련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다만 윤석열 정부의 9.19 합의 일부 효력 정지 당시 이미 예상됐던 일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일각에선 이 같은 움직임을 유도했으면서 호들갑을 떤다는 주장이 나올 정도다.

그래서인지 군이 관련 사진을 즉각 공개한 의도도 세간의 시선을 돌리기 위한 것이라는 일부의 진단도 있다. 국민 불안감 조성용이라는 것인데, 실제 남북이 안보 딜레마에 빠지면서 군사적 긴장감이 최고조로 치닫는 모습이다.

◆군, 감시장비 촬영 사진 공개

북한이 지난 2018년 9.19 합의에 따라 파괴했던 감시초소 자리에 감시소를 다시 설치하는 정황이 군에 포착됐다.

군 당국이 최근 지상 열상 장비 등으로 촬영한 북한군의 동향 사진들을 27일 공개한 건데, 북한군이 경계호를 새로 구축한 모습이 확인됐고 이곳에 중화기, 무반동총을 가지고 들어가는 장면도 나타났다.

이곳에서 북한 장병이 야간 경계근무를 서는 모습도 식별됐고, 후사면 쪽으로는 막사가 세워진 것도 관측됐다.

이처럼 북한군이 감시초소를 복구하는 정황은 9.19 합의를 파기하겠다고 선언한 지난 23일 다음날인 24일부터 포착됐다.

남한 측 9.19 합의 효력정지 방침에 대한 맞대응 차원으로 9.19 합의 파기를 선언한 이후 일련의 수순을 진행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북한군이 9.19 합의 이전 수준으로 설치물을 복원할지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는 게 군의 설명이다.

◆北해안포 개방도 크게 늘은듯

북한의 해안포 개방도 이전보다 크게 늘어난 것으로도 식별됐다. 평소 1개소 정도에서 한두 개 포문을 개방했던 것과 비교해 현재는 두자릿수 이상으로 해안포 개방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군사적 위협 수준이 크게 고조되면서 남북의 우발적 충돌 우려 역시 커지고 있다.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는 것인데, 이는 결국 남측 정부가 유발한 일이라는 해석이 많다. 법을 어기는 사람이 있다고 해서 법을 없애는 말도 안되는 행태를 저지르고 있다는 것이다.

9.19 합의 유지를 위한 외교 공간 활용 가능성도 놓쳤다는 지적이다. 그리고 윤 정부가 명분으로 내세운 북한의 9.19 합의 위반도 부득이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해안포의 경우 녹이 스는 등 장비 보존을 위해서는 개방을 통해 햇볕을 쐬게 하거나 기름칠 등 점검을 해야 한다는 얘기다. 개방 자체 만을 9.19 합의 위반이라고 일일이 다 셌다는 비판이다.

남북 간 대화나 설득은 일체없이 계속해서 빌드업하다가 결정해 버리는 태도를 두고도 군 안팎에서 내년 총선 등 일말의 정치적 이득을 위해서 국민을 안보 위협으로 내모는 건 있어서는 안되는 일이라고 직격하는 이유다. 내년 총선용 안보장사가 아니겠느냐는 평가다.

앞서 남북은 지난 2018년 9.19 합의에 따라 비무장지대(DMZ) 내에서 운영 중이던 각각 11개 감시초소 가운데 10개를 완전 파괴했고, 1개는 병력과 장비만 철수하고 원형은 보존해왔다. 상당한 진전이었다.

이에 따라 비무장지대 내 GP는 북측이 160여개에서 150여개로, 남측은 60여 개에서 50여개로 줄어들었는데, 애초 남북의 GP 숫자가 크게 차이가 나 동수로 줄이도록 한 합의 내용을 놓고 비판의 목소리도 제기됐었다. 국방부는 이와 관련 “대응조치를 즉각적으로 이행할 만반의 준비를 갖춰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