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연례행사가 됐던 대학 입시가 마무리되고 있는 시기다. 아직 정원을 못 채운 일부 대학에서 수험생들의 마지막 전형 등이 남아있기는 하지만 전국의 대학에서는 합격자 등록을 마치고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준비와 입학식 행사 등 학사 준비로 분주하다. 올해 대입시에서 합격한 신입생들은 주변의 축하 속에서 나름대로 대학생활 계획을 준비할 테고, 낙방한 수험생들은 실패를 경험 삼아 재도전을 다짐할 것이다.

대학은 민주시민을 배출하는 고등교육기관으로서 지성의 요람이다. 배움의 시기에 있는 고졸예정자나 고졸자들이 장래에 사회인으로서 갖춰야 할 인격 도야와 자주적 생활 능력 향상을 위해 대학에 입학하고 학업을 연마해야 함은 당연하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국가에서는 국민 특히 배움이 필요한 젊은이들이 능력과 적성에 따라 교육 받을 수 있도록 학습권을 보장해주어야 하고 일자리까지 만들어주는 것은 교육 당국이 해야 할 기본정책들인 것이다.

고등교육기관이 대학원, 대학, 전문대학 등 여러 개 있지만 그중에서도 사회적인 인식 등에서 불리한 전문대학에 대해 지속적이고 실현가능한 정책이 뒤따라야 하는 바, 그 기본은 전문대 졸업 후 일자리와 연계되는 직업교육의 강화라 할 수 있다.

그런 입장에서라면 지난 19일 교육부가 발표한 ‘전문대학 육성사업 시행계획’은 눈여겨볼 만하다. 정부가 올해부터 5년간 1조 5000여억 원을 투입해 기존 전문대의 60%를 일자리 중심의 특성화 전문대로 키운다는 내용인데, 그 이유는 정부의 국정 과제인 ‘고용률 70%’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09년까지만 해도 전문대 졸업생의 취업률은 87%로 일반대(68%)보다 월등히 높았다. 하지만 2010년엔 56%로 급락했고, 그 이후 지난해까지 61%에 머물고 있음은 전문대 출신이 대졸자보다 높게 평가받지 못하는 사회 인식의 결과로 우려스런 현상이다. 때문에 교육부가 밝힌 “전문대 취업률 80% 이상, 매년 15만 명 전문 인력 산업 현장 배출”이라는 정책은 전문성을 갖춘 사회 인재를 배출한다는 전문대 교육에 합당한 내용으로서 시의적절하다. 전문대 육성 방안이 필요하지만 무엇보다 개선돼야 할 것은 비(非)대졸자에 대한 사회제도의 변화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