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이재준 역사연구가․칼럼니스트/ 사진. 글마루

2019년부터 월간 글마루에서 연재하고 있는 ‘남한지역 고구려 유적 답사’ 시리즈를 천지일보 온라인을 통해 선보입니다. 우리의 역사를 알고 더욱 깊이 이해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과거 연재시기와 현재 노출되는 기사의 계절, 시간 상 시점이 다소 다른 점을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image
가평 현리산성. 고구려 축성 형태를 잘 보여주고 있다.

현리산성은 어떤 성인가

현리산성은 가평군 조종면 현리 북쪽 높이 350여m의 산 일대에 구축되어 있다. 남고북저(南高北低) 형태를 보이고 있다. 북성의 입구는 조종천과 맞닿아 있어 평지 읍성 형식을 보인다. 이 성은 항공지도로 보면 이중 내·외성으로 나타난다. 

초축은 아무래도 백제시기로 보이며 고구려가 점유하고는 일부 구간을 석축으로 보축한 것으로 생각된다. 고구려는 백제 영토를 차지한 후 대개 읍성이나 고준한 방어성을 보축하여 이용했다. 글마루 취재반과 한국역사유적연구원 조사단은 현리 마을에서 백제초기 성으로 보이는 토루를 찾는 데 성공했다. 이 토루는 동편의 현리산성 석축성과 연계되어있다. 

조종천이 성을 한 바퀴 감돌아 자연적인 해자(垓子)를 이루고 있는 것도 백제식 성의 구축방식이다. 배후의 현리, 신상리, 신하리, 연하리 등 농경지가 일찍부터 발달한 지대를 포용하고 있다. 석축은 정상과 일부 능선을 따라 구축돼 있다. 조사보고서를 보면 전체 형태는 남북으로 긴 부정형의 성벽이며, 전체 길이는 약 607.93m이다. 비교적 규모가 작은 산 정상부에 축조하였기에 산정식(山頂式. 테메식) 산성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석축 성이면서도 일부 구간은 적들이 공격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삭토(削土) 방법을 사용했다. 이런 성의 형태가 남한 지역 여러 고구려성 구조에서 보이는데 지난 4월호에서 다룬 춘천 봉의산성에서도 엿볼 수 있다. 보고서를 참조하면 산성 서벽 구간에서는 내부 공간을 계단식으로 삭토한 흔적이 발견된다. 글마루 취재반과 한국역사유적연구원 조사단도 정상 부위에서 이를 확인했으며, 매우 특별한 구조를 보여준다. 북벽 구간에서는 능선 외측을 절개하여 성벽을 따라 도는 길을 넓게 구축하고 성벽을 쌓은 흔적이 보인다. 다만 일부 구간에서는 석축 흔적이 보이지 않는데 삭토만으로 구축했는지 여부는 알 수 없다.

북측 정상부 고지와 서측 완만한 경사지의 서문지, 남측 가장 낮은 부분의 너른 평탄지로 크게 구분된다. 산성 내부에서 가장 너른 평탄지를 중심으로 우측은 급경사지로 막혀 있고, 위쪽은 완경사지가 형성되어 있다. 많은 건축물을 지을 수 있으며 사람이 살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다. 이 유지에서도 다수의 고대 와편이 산란하고 있다. 

또 보고서에 따르면 석축은 대체로 내탁식(內托式)으로 축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대개 자연석이나 약간 가공한 석재를 사용하였다고 한다. 석축은 기본적으로 장방형 쌓기이나 후대에 재수축을 하면서 열이 맞지 않는 부분도 관찰된다. 돌 크기는 대체로 가로 30㎝, 두께 15㎝, 큰 돌은 가로 50㎝, 세로 15㎝ 정도이다. 석축 방식을 가장 잘 확인할 수 있는 곳은 서벽과 남벽인데 내외부의 들여쌓기와 보축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성문터는 모두 세 곳에서 조사되었다. 석축이 많이 도괴되어 형태가 확실하지는 않으나 서문 터, 북문 터, 외성 문터에서 와편이 수습되었다. 그리고 건물터로 추정되는 공간은 여러 곳에서 확인된다. 서벽 남단부, 서문 터 내측, 산성 정상부 서측, 북벽 동단 지점, 산성 정상부, 산성 정상부 동측, 동벽 중간의 굴곡부 내측, 남벽 내측 등 8개 지점이다. 특히 정상부 일대 건물터에서 가장 많은 수의 기와편이 수습되어 중요한 시설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현리산성에서 제사 유적 흔적을 2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 곳은 정상부 일대로 토제마(土製馬) 머리와 다리, 많은 도자기 편이 발견되었다. 김포 문수산성 제일 정상의 제사유적에서도 토제, 철제마 유물이 출토되었다. 

또한 주목되는 곳은 북벽 중간 지점에 있는 이북 망향제단비 근방의 큰 바위다. 조사보고서에서도 언급했지만 제사 시설로 추정된다. 이곳은 남향으로 가로 3.3m, 높이 2.6m의 큰 바위가 있고, 전면에 각각 4.4m, 6.1m 크기의 기단 2개가 5m간격을 두고 위아래로 있다. 조사보고서는 석축유구나 축성 방식만으로 정확한 축조 연대와 사용 시기를 판단하기 어렵다고 다음과 같이 해석했다. 

“처음 축조된 시대를 삼국 시대, 백제, 혹은 통일신라 이전으로 추정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한반도 중부 지역은 삼국 시대에 공방이 격렬하게 이루어진 곳이었고, 현재 현리산성 일대를 장악한 국가는 백제였다. 또한 현리산성이 다른 백제 산성들처럼 산릉 외사면을 삭토하여 내환을 만들고 외변에 석축한 점, 작은 산정식 산성이라는 점은 백제 산성으로 볼 수 있는 근거가 된다. 그리고 유물들의 연대도 최대 삼국시대까지 올라가는 것으로 추정되므로 통일신라 이전에 처음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image
중국 요하에 있는 삼송산성 석축 구조. 현리산성 석축과 닮아있다.

고구려 적색 와편 출토

글마루 취재반과 한국역사유적연구원 조사단은 성 전체 구간을 답사하면서 석축 모양을 조사했다. 남쪽을 바라보는 잘 보존된 석축구조는 장방형의 돌을 벽돌처럼 잘 다듬어 들여쌓기로 구축한 것이었다. 상면은 크고 작은 할석을 이용하여 흙으로 다진 판축 형태를 보여준다. 

이 성 석축 가운데 가장 잘 보존된 부분이다. 조사반은 현리산성도 고구려 축성 형태를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이같이 크게 정연하게 쌓은 것은 고구려로 중국 요하에 있는 신빈현의 태자하 삼송산성(衫松山城)의 석축유구를 닮고 있다. 같은 방식은 강원도 영월, 단양 온달산성 그리고 춘천 봉의산성 등 유적을 닮고 있다. 이 곡성(曲城) 형태는 불암산 석성의 형태를 닮고 있다. 

이 유구를 중심으로 여러 곳에서 와편이 산란한 것을 보면 많은 건물이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와편은 백제계 연질과 고구려 적색, 회색의 신라, 회흑색의 고려 와편이 모두 조사된다. 백제, 고구려, 신라의 영유가 차례로 이루어졌음을 알려준다.

이 산성에 대한 학계의 시각도 달라져야 한다. 삼국시대로 한정하여 해석할 필요는 없다. 조종현은 고려시기 이름이지만 고구려 때 심천현 혹은 복사매 등 지명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산성 안의 정연한 석축 방식과 제사 유적 그리고 수많은 적색 와편은 이 성이 백제 복사매에서 심천 고구려 치소로 활용되었음을 알려준다. 고구려 인상이 아주 강하게 남아 있는 것이다.

image
고구려 적색 격자문 와편

아름다운 땅 ‘조종’ 박물관 건립 청신호

가평은 자연이 수려하고 아름다워 시인 묵객들이 사랑한 곳이다. 조선 세종 때 학자 한소재  이맹균(漢蘇齋 李孟畇)은 고려 삼은 중 한 분인 목은 이색의 손자였다. 학문이 깊었으며 중앙의 여러 고위직을 역임했다. 

그가 조종현을 지나면서 시를 남기고 있다. 명리를 버리고 이곳에 집을 짓고 풍월을 벗하며 살고 싶다고 했다. <여지승람> 제11권 가평현 제영조에 아름다운 시가 수록되어 있다. 

일찍이 포천 가는 길에 

굴파를 넘어서 안장을 내리고 조종에서 쉬었다.

어지러운 산 깊은 골을 뚫고 가는데

한가락 길이 꼬불꼬불 굽이도 많다.

비록 말을 꾸짖으며 걷고 건너기 어려워도

이 고을에 이르니 마음이 이미 시원하다.

높다란 화악산이 북쪽에 진좌하니

골에는 눈이 아직도 쌓여 있다.

가닥진 여러 봉우리가 온 고을을 감쌌는데

천 가지 만 가지 형상이 다 기절하다.

시냇물이 일렁거려 햇볕도 푸르고

그 속에는 교룡 굴 있는가 의심된다.

사시로 아침 저녁 훌륭한 정치 그리기도 어렵고 말하기도 어렵다.

내 걸음 곱쳐 묵으며 돌아갈 줄 몰라라

추환(芻豢, 잘 차린 음식을 말함)을 즐기는 것보다 더 즐긴다.

여기 사는 백성도 순박한 줄 알겠다. 

관청에 송사 없이 고요하여라.

바로 명리장(名利場)을 벗어나 

여기에다 살 터 잡고 

평생토록 거닐며 풍월을 즐기고 싶다. 

(하략)

 

가평군이 역사박물관 건립을 추진한다는 소식이 들린다. 2024년 말 개관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군내에는 공립박물관이 전무한 실정으로 조선 시대 명인인 이정구(李廷龜), 이천보(李天輔), 김육(金堉)과 명필 한호(韓濩) 등 전 시대를 아우르는 가평의 역사인물을 알리고 교육 체험할 공간을 마련한다는 것이다.

박물관 부지는 가평읍 읍내리 산 156번지 일원이다. 건축 연면적 2840㎡에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로 박물관 내에는 역사인물 전시실 등이 설치된다. 사업비는 155억여 원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군은 올해 토지매입 및 투자심사, 문화체육관광부 공립박물관 건립 설립 협의 및 사전평가 신청·심의를 거쳐 국비 신청을 완료할 예정이다.

올해는 실시설계 공모를 비롯해 유물수집 등이 이뤄진다. 2023년에 공사를 착공해 2024년까지 2년간 전시실 조성 등 공사를 완료할 방침이다. 군은 그간 2018년부터 박물관 건립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수립 용역에 착수한 바 있다. 2019년 말에는 박물관 건립추진위원회를 발족했으며 건립부지 선정,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수립 용역 준공 등을 실시해 왔다.

계제에 우리 역사인 고구려 전시실도 마련해 봄직하다. 현리산성을 발굴하면 뜻밖에 많은 고구려 유물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현리산성의 성안에서 제사 유적 발굴이 가능하고 많은 신단(神壇) 유구와 유물도 더 찾아질 수 있다. 

지금 우리나라엔 고구려 박물관이 없다. 과거에 경기도 구리시와 서울 광진구청이 추진하였으나 실현되지 못했다. 중국의 동북공정에 정치적으로 위축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역사상 가장 강대한 고구려 역사를 이 시대 우리가 살리지 않으면 안 된다.

image
현리산성 정상에서 내려다 본 가평군 조종면 전경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