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연한 석축 고구려 적색 와편 산재

글. 이재준 역사연구가․칼럼니스트/ 사진. 글마루

2019년부터 월간 글마루에서 연재하고 있는 ‘남한지역 고구려 유적 답사’ 시리즈를 천지일보 온라인을 통해 선보입니다. 우리의 역사를 알고 더욱 깊이 이해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과거 연재시기와 현재 노출되는 기사의 계절, 시간 상 시점이 다소 다른 점을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image
춘천 봉의산성. 고구려 축성 방식을 볼 수 있다.

맥국의 고지·춘천의 역사

강원도 춘천은 고대 맥국(貊国)의 땅이라고 한다. 우리 역사에서 잃어버린 맥국은 실재 존재한 왕국이었을까. 지배자들이 살았던 왕성은 어디일까. 문화는 어떠했을까. 

글마루 취재반과 한국역사유적연구원 조사반은 지난 수년 동안 춘천지역을 여러 차례 답사하며 맥국 역사 찾기 노력을 기울여 왔다. 최근에는 맥국에 대한 춘천시민의 열망이 대단하다는 소식을 접한다. 

춘천에서 가장 오래된 원삼국 시기 토성은 속칭 ‘우두성(牛頭城)’이다. 이 성은 소양강이 흐르는 춘천시 율문리 속칭 우두산에 있다. ‘우두’란 크다는 것을 의미하고 또 지배자와 관련이 있다. 글마루 취재반은 이 성에 대한 답사를 여러 차례 해왔다.

농경지로 둘러싸인 표고 133m의 야산 정상에 쌓은 이 성은 자연지세를 이용한 삼국시대 초기형태의 토성이다. 성안 여러 절개지와 고려시대 우두사(牛頭寺) 절터에서 적색토기를 비롯해 삼국시대 토기, 와편 등이 산란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맥국의 왕성으로는 작은 규모라 서 고대국가의 성지로 보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맥국’을 기록한 문헌을 알아보자. <삼국사기> 지리지에 당나라 가탐(賈耽)이 쓴 <고금군국지(古今郡國志)>를 인용 맥국에 대한 얘기가 나온다.

“고구려의 남동쪽 예(穢)의 서쪽이 옛 맥(貊)의 땅인데 지금 신라의 북쪽이 삭주(朔州, 강원도 춘천)이며, 선덕여왕(善德女王) 6년(637)에 우수주(牛首州)로 삼아 군주(軍主)를 두었다.”

<삼국사기> 권1 신라 유리이사금(儒理尼師今) 17년조와 19년조 그리고 권24 백제 책계왕(責稽王) 13년조와 수서(隋書) 백제전의 기록에도 맥국이 온다. 또한 일연선사가 기록한 <삼국유사>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춘주(春州)는 옛 우두주(牛頭州)로 옛날의 맥국인데 혹 지금의 삭주를 맥국이라 하기도 하고, 혹은 평양성을 맥국이라고 한다.”

<시경(詩經)> <서경(書經)>에는 “중국 고대에 주나라의 동북방에 맥국이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 뒤 북중국의 요동(遼東)·만주지역으로 이동해 고구려·부여 등이 국명(國名)을 가지기 전까지 예와 맥이었다는 것이다. 

중국 사서에는 “맥국은 신화적 국가로 이들은 한수(漢水, 양자강의 지류. 길이는 1532㎞) 동북에 사는 집단”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한족이 동북지방 소수민족을 ‘맥국’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학계에서는 춘천 맥국에 대해 고고학 자료를 이용한 논의도 진행되고 있다. 춘천지역의 지석묘(支石墓)와 적석총(積石塚), 주거지 등의 분석을 통해 춘천 맥국을 청동기시대 말기와 초기철기시대를 거치는 500∼600년간 존속했던 부족국가 내지 성읍국가 단계로 파악하고 있다.

image
춘천 봉의산성 정상에서 바라 본 시가지 풍경

고구려 건국신화와 맥국

중국학자들은 예맥족을 고구려 건국신화와 연결시킨다. 즉 주몽이 부여를 탈출할 때 따라온 오이(烏伊)와 마리(摩離)를 예맥족으로 보는 것이다. 즉 예족(濊族)과 맥족(貊族)을 의인화해 서술한 것이라는 것이다. 

중국 바이두(百度) 백과사전에 기록된 예맥에 관한 자료는 다음과 같다. 고구려 주몽설화에 등장하는 ‘오이’의 원형은 부여국의 조이인(鳥夷人), 마리(摩離)는 맥인(貊人)으로 이들은 평원 생활을 하였으나 흉노에게 쫓기어 청천강에 이르렀고 강원도 춘천까지 확대하여 국가를 건설했다는 주장이다. 

百度資料 / 濊貊族與 高句麗立國神話 相傳高句麗的開國君主 朱蒙在年青時, 與烏伊(有時叫鳥伊)及摩離是好友, 有後世歷史學家認為:「」及「」其實很可能是兩個民族的擬人化描述, 就如故事其後提及的麻衣人, 海藻衣人一樣. 烏伊的原型是扶餘國的鳥夷人, 摩離就是貊人… 貊人最早是在松嫩平原生活, 後受匈奴壓力入鴨綠江, 最遠到朝鮮清川江, 至江原道建立貊國

그런데 춘천에는 새를 상징하는 유적이 남아있다. 춘천 시내에 우뚝 선 봉의산(鳳儀山))이다. ‘봉(鳳)’이 바로 새를 지칭하는 것이다. <동국여지승람> 춘천부 조를 보면 산천조에 ‘봉산(鳳山)’이라는 지명이 나온다. 봉산(鳳山). 부의 북쪽1리에 있는 진산(鎭山)이다.

‘봉(鳳)’자를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 찾아보면 매우 중요한 의미로 해석되고 있다. 봉은 신(神)의 새(鳥)이며 백조중(百鳥中) 왕(王)으로 날개가 미려하고 영웅적 자세를 지칭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동방 군자의 나라에서 날아와 사해를 나는 새로, 천하의 대 안녕을 상징한다고 해석하고 있다(鳳,神鳥也. 凤之象也… 出於東方君子之國,翺翔四海之外...見则天下大安寕). 

봉산은 고대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儀) 산으로 지칭되고도 있다. ‘봉의산(鳳儀山)’이란 이름은 즉 천단을 만들고 의식을 거행한 산이라는 뜻이다. 고구려인들은 높은 산에다 하늘에 제사지내는 신단을 만들었다. 천제의 후예라는 것을 긍지로 여겼기 때문이다. 이 같은 유적은 강화 천제단, 김포 비사성(문수산성) 등에서 조사되었다. 

춘천시 봉의산에는 과연 어떤 고대 유적이 남아있을까. 글마루 취재반과 한국역사유적연구원 조사팀은 3월 18일 춘천 시내에 있는 수수께끼의 봉의산을 답사했다. 

 

맥국은 고구려, 말갈인가

백제 초기 역사에서는 말갈과의 충돌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한성 백제 세력이 침공을 많이 받았던 것으로 기록된다. 온조가 직접 군대를 이끌고 북쪽의 말갈을 정벌했다는 기사도 있다. 그것이 5세기 후반 장수왕의 한성지배로 춘천은 다시 고구려 영토가 되어 경영됐을 것으로 상정된다. 고구려군은 말갈군을 앞세워 전쟁을 했다. 

모두 기병들인 말갈병들은 전투에 능했으며 매우 용감했다. 주몽 당시 1만 명에 달했던 군사력은 호태왕 시에는 4~5만으로 증가, 백제 신라의 국경을 무너뜨리고 파죽지세로 남하하여 영토를 장악했다. 

한규철 교수 등은 “말갈은 종족 명이 아니라 고구려 중앙에서 도성 중심의 시각으로 고구려의 변방인들을 멸시해 부른 비칭이었다”고 주장한다. 왕조시대의 국가관은 주로 수도 중심으로, 신라 주류층이 경주 외에는 전부 변방 촌놈으로 업신여기었듯 고구려 또한 왕도 사람의 입장에서 동쪽 사람들을 말갈로 낮춰 불렀다는 견해이다.

중국 고서에는 말갈을 고구려의 별종(別種)이라고 기록한 예도 있다. 같은 종족으로 본 것이다. 말갈시기에는 언어도 고구려와 동일했다. 그러나 고구려가 망하고 중국에 동화되어 언어를 잃었다. 

말갈이 남하하여 그대로 진주한 유적도 남한지역 여러 곳에서 찾아졌다. 그 대표적인 곳이 포천시에 있는 반월성이다. 이곳에서는 ‘마홀(馬忽)’이라는 명문기와가 발견됐다. 춘천에 진주한 고구려군은 우두성, 봉의산성을 중심 거점으로 세력을 확장하였을 것으로 상정된다. 또한 주변의 여러 성에서도 맥국에 대한 설화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고구려 말갈 세력이 스스로 맥인(貊人)이라 칭하고 후세 사람들이 ‘맥국’으로 부른 것은 아니었을까. 

봉의산성은 시 북쪽 봉의산 7부 능선에 경사 70도의 가파른 지형을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석축을 쌓아 만든 테메식 성이다. 이 성은 초기철기시대 우두성에 정착한 고구려계(말갈) 선대인들의 소축일 수도 있다.

image
1900년대 봉의산성 석축사진. 고구려 축성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둘레 1.24㎞ 봉의산성

<동국여지승람> 고적조에 봉산고성(鳳山古城)이라고 나온다. 둘레가 2463척, 높이가 10척으로 기록되어 있다. 문화재대관 설명에는 성의 길이는 1241.5m, 높이는 5∼6m 내외로 나타나고 있다. 산성의 축성연대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봉의산성은 초축의 판축성에다 석축으로 보축한 성이다. 고구려시기에도 토석축을 다져 쌓은 토대에다 석축으로 보축한 형태의 경우가 많다. 길지 않은 시간 효율적으로 성을 구축하여 활용하는 데는 이 축성방법이 가장 적절하다. 적들의 공격으로부터 취약한 곳은 석축으로 쌓고 높은 곳은 판축 구조로 축성한 것이다. 남한지역에 있는 많은 고구려성들의 축성 형태와 다르지 않다. 

이 성의 축성 방법은 화강암을 장방형으로 벽돌처럼 다듬어 들여쌓기로 축성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 방식은 바로 고구려성에서 자주 볼 수 있다. 현재 남아있는 석축 부분은 높이가 6m에 이르는 데도 있어 매우 고준하게 보인다. 이 성의 축성 형태를 보면 영월 조양산성(朝陽山城, 왕검성)의 웅장함과 비교된다. 밑에서 적들이 성벽을 공격하기가 어렵게 높이 쌓은 것이다. 

그러나 성벽이 많이 훼손되어서 현재 잘 남아있는 원래 성벽 부분은 길이 19m, 높이 6m이며 복원 후 길이는 170m로 기록되고 있다. 성문지 망루지 모두 훼손되었으며 주초석과 보이석재들이 산란하게 흩어져 있다.

글마루 취재반과 한국역사유적연구원은 이 성에서도 일부 구간에서 삼국시대 토기편을 다수 확인하였다. 토기들은 연질, 경질 토기로 천수 백 년 역사를 말해주고 있다. 그런데 답사반의 눈에 매우 주목되는 와편을 수습했다. 바로 적색(赤色)의 사격자문(斜格子紋) 평와편이었다. 태토는 연질이며 문양은 지금 막 구워낸 것처럼 뚜렷하다. 지금까지 고구려 유적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제일 많은 와편이 조사되었다. 와편의 문양은 매우 다양하다.

이 와편과 똑같은 모양은 고양시 고봉산성에서 수습된 바 있다. 고봉산은 고구려 안장왕과 한주미녀의 설화가 내려오는 유적으로 건물지에서 많은 고구려 와편이 수습된 바 있다. 춘천 봉의산성에서 똑같은 사격자문 와편이 수습되다니 한편 놀랍기도 하다. 장수왕대 고구려 영토로 회복된 봉의산성에는 많은 군사들이 상주했던 것으로 상정할 수 있다. 

성의 크기와 성안의 많은 건물지들이 이를 말해준다. 이 건물지들은 발굴하여 정확한 시대 추정과 규모를 파악하는 작업도 필요할 것이다. 조사단은 정상에서 길게 조성한 판축의 유구를 확인했다. 이곳에서도 다수의 와편이 산란한다. 건물지가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더 주요한 것은 정상에 있는 두 개의 암반(70㎝x90㎝)에서 주목되는 명문을 찾은 것이다. 명문은 오래되어 육안으로 확인이 어렵지만 일부 글자는 선명하게 읽을 수 있다. 정연한 예서체로 각자된 글씨(가로, 세로 7㎝)는 종서 3행으로 10여 자가 된다. 고구려 시기 유행한 고딕체의 예서가 틀림없다. 명문 가운데 ‘高句 守’ ‘王’ 등 글자는 선명하게 읽을 수 있다.

高句□ 

城? 五

勾 守

未(?) 尸

 

지금까지 3년여 남한지역 약 36개 고구려유적을 조사하면서 얻은 최대의 수확이었다. 이 명문 기록은 바로 고구려왕이 봉의산성에 행행하여 일시 진주했음을 알려준다. 혹 신단에서 천제를 주재한 것은 아니었을까. 그렇다면 그 주인공은 누구였을까. 장수왕(長壽王) 아니면 그 아들 문자왕(文咨王), 혹은 고양시까지 내려온 안장왕(安臧王)이었을까. 이 문제는 앞으로 더 깊은 연구를 통해 규명했으면 한다. 

image
춘천 봉의산 정상에서 발견된 ‘고구려’ 이름이 새겨진 바위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