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이재준 역사연구가․칼럼니스트/ 사진. 글마루

2019년부터 월간 글마루에서 연재하고 있는 ‘남한지역 고구려 유적 답사’ 시리즈를 천지일보 온라인을 통해 선보입니다. 우리의 역사를 알고 더욱 깊이 이해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과거 연재시기와 현재 노출되는 기사의 계절, 시간 상 시점이 다소 다른 점을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image
불암산성 출토 토기

남양주시에 산재한 고구려 보루성

‘보루성’은 고구려의 전형적인 성인가. 물론 일부 삼국 접경 지역인 백제 영토 내에서도 보루성이 조사된 경우도 있다. 대전광역시 회덕에 있는 계족산 능선에 있는 여러 개의 보루성은 백제 구축으로 봐야 할 것이다. 계족산성을 주성으로 하고 능선을 따라 작은 보루를 쌓아 적들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어했던 시설이었다. 이 같은 보루성의 형태는 신라 성에서는 찾아진 경우가 없다. 

보루성이 부각된 것은 아차산 능선의 여러 보루에서 고구려계 유물이 쏟아져 나왔기 때문이다. 아차산보루는 사방을 조망하기 좋은 낮은 능선 봉우리에 쌓은 소형 석축 산성군이다. 산성에 비해 규모가 작다. 이 유적은 5세기에서 6세기 중반까지 한강유역을 둘러싼 삼국의 정세를 규명하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된다. 

중랑천과 아차산, 용마산 일대에 분포하고 있는 이 유적은 홍련봉 1·2보루와 아차산 1·2·3·4·5보루, 용마산 1·2·3·4·5·6·7보루, 시루봉보루, 수락산보루, 망우산보루 등 17개의 보루로 이루어지고 있다. 

성지 전문가들은 이들 고구려보루가 현재 남한에 집중 분포하는 고구려 관련 유적으로서 당시 고구려 군사시설의 면모를 규명할 수 있는 유적으로 판단하고 있다. 홍련봉 1보루에서 당시 고구려 궁궐 등에 사용된 연화문 기와 등이 나왔고 수락산보루 일대에서는 철제 마구와 고구려 토기조각이 출토되었다. 

보루성으로 또 알려진 곳은 바로 의정부, 남양주시에 있는 천보산(天寶山) 보루군이다. 이 유적은 경기도 의정부시 자일동(自逸洞)과 양주시 만송리(晩松里) 경계에 있다. 화룡골 분지 인근에 있는 보루는 둘레는 약 88m이며 긴 타원형 모양이다. 

부분적으로 성돌이 노출되어 있으나 대부분 무너진 상태이다. 성벽의 높이는 약 3m 정도로 내부는 평탄하다. 내부의 중앙에는 군용 헬기장이 조성되어 있다. 출토 유물로는 회청색 경질의 토기와 회색 연질의 항아리 형태 토기 조각이 출토되었다. 또 회백색 연질의 기와 조각 등 삼국시대 유물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일부학자들은 불암산성이 보루성으로 북쪽으로 천보산 보루군과 연결되고 있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즉 아차산보루에서 장한성-퇴계원 능선-불암산 보루성으로 연결되고 있다는 것이다.

한성을 정복한 고구려 군사들이 한성을 빼앗기면 북상하는 적을 방어하기 구축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해선 아차산 불암산 천보산 보루 유적을 연계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본다. 

image
벽돌처럼 장방형의 돌을 다듬어 들여쌓기로 축성한 곡성(曲城).

정연한 고구려 축성술… 삼국시대 토기편, 와편 산재

글마루 취재반과 한국역사유적연구원 조사팀은 불암산성을 답사하기 위해 불암사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험난한 깔딱고개 방향으로 등정했다. 도중에 한국사를 전공한 황병석씨(전직 국사 교사)의 도움으로 길을 헤매지 않고 산성과 연계된 능선을 탈 수 있었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불암산성-불암산 정상과 연결된 능선에도 판축성의 유구가 확인되고 있다는 점이다. 능선은 군마(軍馬)가 다닐 수 있도록 판판하게 다듬고 성의 외면은 삭토(削土)하여 매우 고준하게 만들었다. 남한지역에 남아 있는 대부분의 고구려성의 축성 형태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본 성은 정상 부위에 테메식으로 돌로 축성하였다. 먼저 잘 남아 있는 부분의 석축부터 조사했다. 석축방식은 강원도 영월 정양산성(正陽山城, 속칭 왕검성)의 석축방식과 흡사했다. 벽돌보다는 긴 장방형의 다듬은 돌을 가지고 위로 올라가면서 들여쌓기로 축조한 모양새를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서편 발굴된 성벽에서 곡성(曲城) 형태를 보이고 있다. 삼국시대 곡성을 즐겨 구축한 나라는 고구려로서 이 같은 사례가 남한지역 평창 노성산성, 음성 망이성, 양구 비봉산성 등에서 찾아진다. 성벽 위까지 석축의 정연함이 남아 있는 부분을 보면 후대 보축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였다. 

장방형의 돌을 다듬어 축성한 사례는 중국 요령에 있는 오녀산성이나 태자산성의 모양을 닮고 있다. 성벽이 무너진 부분을 보면 더욱 닮아 있다. 석축 안쪽으로는 할석으로 된 많은 석재를 집어넣고 견고하게 만든 것은 고구려성에서 보이는 방식이다. 

그리고 오각형 형태는 중국 철령현 최진보향(催陣堡鄕)에 있는 고구려성을 닮고 있다(원종선 저, <고구려 핵심 산성을 가다>, 126p, 출판사 통나무). ‘최진보향성’은 둘레가 5㎞가 넘는 큰 성이나 불암산성은 이를 축소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 성은 그러면 언제 축성된 것일까. 5세기 후반 장수왕 시기 고구려가 위례성을 점령하고 난 후 1백년 서울을 점령했을 때 북상하는 적을 방어하기 위해 구축한 시설로 상정할 수 있다. 당시 주요 교통로에 위치한 아차산-검암산- 불암산-수락산-천보산(의정부)-대전리산성(연천 초성리)을 연결하는 중간성으로 추정되는 것이다. 이 길은 고구려의 남진 루트였지만 나중에는 통일신라가 당나라 연합 대군을 방어하는 주요한 전략도로로 활용되기도 했다. 

조사반은 석축 성 밑을 돌아가며 산란한 와편을 살폈다. 과연 적색 와편이 수습될까. 성안 건물지를 마포로 모두 피폭하여 와편 수습이 어려웠다. 남편 양지바른 건물지에는 고식의 활주초석(活柱礎石)이 지표상에 드러나 있다. 이 초석으로 미루어 건물규모가 상당히 컸음을 알려준다. 석축이 무너진 주변에서 삼국시대 전형적인 연질의 유백색토기편(乳白色土器片), 경질토기편(硬質土器片), 승문토기편(繩紋土器片) 파손된 신라 토기 고배(高杯) 뚜껑과 고려시대 당초문 평와(도판) 등을 수습했다. 굵은 무늬의 당초문 와편은 지난번 가평 함양산성에서 수습한 모양을 닮고 있다. 

image
고식의 활주초석(활주초석)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