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이재준 역사연구가․칼럼니스트/ 사진. 글마루 

2019년부터 월간 글마루에서 연재하고 있는 ‘남한지역 고구려 유적 답사’ 시리즈를 천지일보 온라인을 통해 선보입니다. 우리의 역사를 알고 더욱 깊이 이해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과거 연재시기와 현재 노출되는 기사의 계절, 시간 상 시점이 다소 다른 점을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image
석성산에서 바라본 용인 시내

시인들이 앞다퉈 사랑한 용인

<동국여지승람> 형승조에도 “용인은 왕도(漢陽)와 가까워서 옛부터 빈객들이 모여드는 땅”이라고 했다. 조선 세조 때 문신인 김수녕(金壽寧)이 지은 신정(新亭) 기문에 사통팔달 용인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용인은 작은 고을이다. 왕도와 인접한 까닭으로 밤낮으로 모여드는 대소 빈객이 여기를 경유하지 않는 적이 없는데 이는 대게 남북으로 통하는 길목이기 때문이다.”

용인의 풍광을 사랑한 이는 조선 초기 시인 조위(曺偉)다. 그가 새로 지은 양벽정(漾碧亭)에 올라 멋진 시를 지었다. 

적현(赤縣, 서울의 직할 군)이라 몰려드는 곳

관개(冠蓋, 벼슬아치들이 타던 마차)가 벌집 같이 총총 하구나

선정이 나날이 먼데까지 소문나고

오고가(五袴歌, 정사를 잘하는 고을 수령 칭송하는 노래) 노랫소리 즐겁게 들린다.

 

시냇물 맑은 줄기 끌어 올제

산 언덕을 둘러왔다.

 

고요하게 맑은 것은 

동경을 새로 깐듯하고

너울거리는 녹음이 청정한데

늙은 나무는 가지가 엉켜있다. 

술자리 오래되어 밤기운이 많았고야

나는 이 한적함을 사랑하여 

삼성이 기울 때까지 앉아있노라

 - <동국여지승람> 제10권 신증 양벽정 조 -

image
석성산성

생거진천 사거용인이란

‘생거진천 사거용인’ 사람은 살아서는 진천, 죽으면 용인에 묻힌다는 뜻이다. 이 설화는 용인이 명당 터라는 것을 암시한 것이 아닌가. 죽어서 용인이 묻힌다는 설화를 알아본다. 

옛날 충청북도 진천군에 사는 허 생원이라는 사람의 딸이 경기도 용인시로 가서 남편과 결혼하여 아들을 낳았으나 불행히도 남편이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아울러 남편의 어머니까지 세상을 떠난 후 딸은 다시 충청북도 진천군에 아들을 낳았다. 

결국 아들이 두 명이 되었는데 각각 충청북도 진천군의 아들과 경기도 용인시의 아들이었다. 이후 허 생원의 딸이 개가를 하였는데, 용인에 사는 큰 아들이 진천으로 개가한 어머니를 모시고자 했으나 진천의 작은 아들이 극구 반대했다.

그래서 큰 아들이 하는 수 없이 관아에 소송을 냈다. 관아에서 이렇게 판결했다. “너의 어머니가 살아 있을 동안에는 진천에 의부가 있으니 거기서 살고 죽은 후에는 용인에 모시도록 하라.” 

이 말은 농업이 으뜸이었던 시절에 진천은 들이 넓고 기름지며 가뭄과 큰 물이 들지 않아 농사가 잘 돼 ‘생거진천(살려거든 진천 땅에 살고)’이라 했고, 용인은 사대부들의 유택이 많은 산세가 준수한 땅이어서 ‘사거용인(죽은 후 용인 땅에 묻히라)’이라고 불렀다는 얘기다.(두산백과사전)

용인은 퇴계 이황(退溪 李滉) 선생을 배출한 용인 이씨의 고향이다. 퇴계는 안동에 묻혔지만 고려 말 충신 정몽주(鄭夢周) 선생의 묘소는 처인구 모현읍 능곡로에 묘소가 있다.

선생의 묘는 경기도 개성 풍덕군에 있었다. 1406년 3월 고향인 경북 영천으로 이장하려고 옮기다가 지금의 묘지 자리로 오게 됐다. 수지면 풍덕천리에 이르자 앞에 걸어둔 명정이 바람에 날아가 지금의 묘소 자리에 떨어져 이곳에 안장했다는 것이다. 그때 부인 경주이씨와 합장했다.

고려 사직을 지키려다 이방원에 살해된 충신 정몽주. 학문에도 깊어 대사성(大司成) 이색(李穡)은 정몽주를 높이 여겨 ‘동방 이학(理學)의 시조’라 하였다. 정치적으로도 정몽주는 고려 말의 어려운 시기에 정승의 자리에 올라 아무리 큰 일이 나더라도 조용히 사리에 맞게 처결하였다는 평을 받고 있다.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해 성리학에 대한 조예가 깊었다. 당시 고려의 주자집주(朱子集註)에 대한 정몽주의 강설은 사람의 의표를 찌를 정도로 뛰어났다고 한다. 그러다가 송나라 유학자 호병문(胡炳文)의 <사서통(四書通)>이 전해지면서 그 내용이 정몽주의 강설내용과 서로 맞아떨어지는 것을 보고 모두 탄복하였다고 한다.

정몽주의 시문은 호방하고 준결하며 문집으로 <포은집(圃隱集)>이 전하고 있다. 정몽주를 추모하기 위해 건립된 충렬서원이 정몽주 묘 근처인 모현읍 능원리 118번지에 위치해 있다. 

고구려 기상을 이은 고려의 처인성전투 승리

용인 처인성(處仁城)은 몽고 침입 때 고구려 전사의 용맹을 계승하여 고려군이 승리를 거둔 명적이다. 용인의 고구려 흔적을 조사하면서 빼놓을 수 없는 유적이 바로 처인성. 용인에서 진위로 가는 교통로가 지나가는 곳에 위치해 있다. 고구려는 일반적으로 높은 산에 석성을 구축하고 적의 공격에 대비했지만 평지에도 토성을 쌓아 평화 시에는 치소를 삼았다. 압록강 일대에서 조사된 많은 토성유적은 이런 기능을 한 유적들이다. 

고구려 왕성인 국내성이나 평양 대성산성, 청주 까치내(鵲川) 정방형 토성 등이 고구려의 평지 성이다. 이미 청동기시기에 구축된 토성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고 새로 구축한 것도 있다. 경기도 안성천 일대에서 조사된 고구려 이용 토성은 마한이나 백제 시기 쌓은 유적들이 대부분이다.

처인성은 아곡리 마을 입구 해발 약 71m 정도 구릉의 끝부분에 평면이 마름모꼴 형태인 성벽으로 남아 있다. 현재 성벽 규모는 둘레 약 350m이고 높이 약 5∼6m로 조사되고 있다. 

1232(고종 19)년 승려 김윤후가 처인 부곡의 주민들과 함께 몽골 원수 살리타이(撒禮塔)를 사살한 곳으로 알려져 왔다. 몽골군의 침입을 피하여 진위나 화성에서 급히 피난하기 적절한 곳이었다. 김윤후도 진위 백현원에서 처인성으로 피난하였다가 모여든 백성들과 힘을 합쳐 몽골군과 싸웠다. 주민들은 바로 고구려 용맹을 계승한 용구현 백성들이다.

image
석성산 오르는 길

에필로그

황금빛 명당 용인의 산수는 너무 아름답다. 보개산성의 가을빛은 강원도 설악을 방불케 한다. 중부권에도 이처럼 아름다운 산수가 있을까. 산성으로 오르는 계곡을 덮은 단풍이 장관이다.

백제세력을 축출하고 신라와 백제 군사들의 북상을 저지했던 이 산성에는 고구려의 숨은 역사가 살아 있다. 깊은 땅 속 고분에서는 외로운 영혼들이 1000년이 넘는 한을 안고 영면하지 못할 것이란 생각이 든다. 왜 우리가 고구려의 역사를 잃고 빼앗기면서 분노하지 않는가 하고 슬퍼할지 모른다. 

무너진 석축, 벽돌처럼 다듬은 각고의 정성이 빚은 많은 성돌에서는 고구려인들의 호국 의지를 엿볼 수 있다. 엄청나게 큰 돌을 잘라 흙 주무르듯 벽돌처럼 갈아 만든 의지를 보라. 성을 구축하고 이름하여 기마민족의 심벌인 용구(龍駒), 혹은 구성(駒城)이라고 부른 것이다. 이름 속에는 주몽이 북부여에서 남하하여 옛 구려 땅 환도에다 고구려를 건국한 의지처럼 천하 제패의 기상이 숨어 있는 것이다. 

보개산성 즉 석성산성에 대한 역사적 재평가가 필요하며 아직 발굴하지 못한 건물지와 산재한 고분 등도 조사하여 잃어버린 고구려 역사를 찾아야 할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키워드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