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대기업보다 中企 높아
홍콩증권거래소에 이어 2위

image
(제공: 한국경제연구원) ⓒ천지일보 2022.09.13

[천지일보=김정필 기자] 한계기업 수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보다 23.7% 증가해 ‘기업구조조정 촉진법(기촉법)’과 ‘기업활력 제고를 위한 특별법(기활법)’ 등을 상시화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13일 인천대학교 김윤경 교수에게 의뢰해 작성한 ‘기업구조조정 제도 개선방안’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계기업은 영업활동으로 이자 비용을 감당하지 못하는 재무적 곤경 상태가 지속되는 기업으로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이자비용)이 1 미만인 기업을 말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7∼2021년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의한 법률(외감법)’을 적용받는 비금융기업 2만 2388개사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한계기업은 2823개로 집계됐다. 이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2283개)보다 23.7%(540개) 늘어난 것이다.

한계기업의 종업원 수는 2019년 24만 7000명에서 지난해 31만 4000명으로 26.7% 증가했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중견·대기업이 2019년 389개에서 지난해 449개로 15.4%, 중소기업은 1891개에서 2372개로 25.4% 각각 늘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이 40.4%(1141개)로 가장 많았다. 제조업 중에서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제조업의 한계기업 수가 상대적으로 많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image
(제공: 한국경제연구원) ⓒ천지일보 2022.09.13

2019년 대비 지난해 한계기업 증가율은 항공운송업과 비금속광물 광업(연료용 제외)이 300%로 가장 높았다. 이어 음식점 및 주점업(200%), 음료 제조업(200%), 가구 제조업(100%) 등의 순이었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 및 나스닥(NASDAQ), 일본 도쿄증권거래소(TSE), 홍콩증권거래소(HKSE), 중국 상하이증권거래소(SHSE) 및 선전증권거래소(SZSE), 한국 유가증권 상장사(KOSE) 및 코스닥(KOSDAQ) 등 세계 주요 거래소를 비교 분석한 결과에서는 한국의 지난해 전체 기업 대비 한계기업 비중은 17.1%로 홍콩증권거래소의 28.9%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 비중을 2017년과 비교했을 때 증가세 역시 홍콩증권거래소에 이어 두 번째다.

이에 보고서는 한계기업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경계하면서 부실의 만연화를 우려했다. 때문에 기촉법과 기활법을 개선하고 상시화해 기업의 사업재편과 구조조정 활성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통합도산법이 상시화된 데 비해 부실 징후 기업의 워크아웃을 관할하는 기촉법과 사업재편을 지원하는 기활법은 한시법으로 각각 2023년, 2024년에 일몰될 예정이다.

김윤경 교수는 “기업의 구조조정 속도를 높이고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도록 구조조정 제도를 설계해야 하며 기본 법제 정비도 필요하다”며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업의 적극적 노력도 함께 요구된다”고 말했다.

image
(제공: 한국경제연구원) ⓒ천지일보 2022.09.13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