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준 역사연구가/칼럼니스트

image

조선 왕조 세조와 광해군은 임금 자리를 보위하기 위해 정의(正義)를 팽개친 왕이었다. 세조는 단종을 비호하는 세력을 다 주살하고 임금인 조카까지 귀양을 보낸 다음 시약을 보내 죽였다. 광해는 비록 친모는 아니지만 대비를 폐모하고 어린 이복동생을 불태워 죽였다.

두 임금의 잔인성은 인륜을 최고 가치로 여긴 조선사회의 이반으로 반정의 명문이 된다. 사육신은 세조를 축출하려다 실패했으나 인조반정은 광해를 축출하는 데 성공했다.

세조시기 권력은 그를 임금으로 옹립한 계유, 정난공신 세력이 차지해 국정을 농단했다. 계유정난에 가담해 세조 즉위 후 공신이 된 후 온갖 악행을 저지른 인물 가운데 한 사람은 바로 홍윤성이다.

영의정까지 지낸 홍윤성은 마음대로 사람들을 죽였다. 비정한 인간으로 비판 받았으나 세조는 비호하며 처벌하지 않았고, 벼슬까지 높여줬다.

자신을 왕위에 오르게 한 보답으로 간관들이 벌떼처럼 파직을 외쳐대도 귀를 막고 있었다. 임금이 공신들의 비행을 눈감고 이들에게 계속 벼슬까지 높여 줬으니 기고만장해 보이는 게 없었던 것이다.

그런데 권력을 부리고 살았던 공신들의 집안은 당대는 물론 다음 왕조에 들어 모두 몰락하는 비운을 맞게 된다. 악행에 대한 업보요 하늘의 심판 같은 생각이 든다.

간교한 처신으로 세조에 이어 성종 때까지 딸을 왕비로 출가시키는 등 3대 영화를 누렸던 한명회는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 되는 비극을 당했다. 폭군 연산이 어머니의 억울함을 풀어준다고 단종의 원한을 갚아준 결과가 됐다.

광해군도 공신들을 관리하지 못해 부메랑을 받은 임금이다. 올바른 말로 간언을 하는 원로들을 내치고 공신들의 편에 서다가 임금 자리에서 쫓겨났다.

광해는 임금 자리에 있을 때 이이첨 등 공신들의 비행을 잘 알고 있었다. 매일 아침 산더미처럼 쌓인 상소나 비난한 글을 보고도 외면했다. 마음속으로 못마땅하고 측근들을 내쳐야 하는데 하고는 마음이 약해 실행하지 못한 것이다.

광해 측근들의 무도에 질린 중신들이 퇴직하거나 서울을 떠나도 간신들의 눈치를 보느라 말을 아꼈다. 급기야 이이첨 등은 왕권유지에 걸림돌이 되는 인목대비마저 폐출하라고 주장한다. 권력 보위를 위해 천륜까지 버리라는 간신들의 악행에 동조한 것이 바로 비극의 단초였다.

광해군은 매우 똑똑한 군주였으면서도 근신들의 비행에는 관대했다. 자신을 지켜줄 사람들은 공신밖에 없다고 믿은 것이다.

권력의 중심에선 냉철하지 않으면 안 된다. 임금을 만들어 줬다고 오만하며 호가호위하는 세력은 반드시 패망한다는 것이 역사적 귀결이다.

집권 여당의 혼란을 바라보는 국민들은 권성동 대표와 소위 윤핵관들이 책임을 지고 모두 하차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대통령은 혼자 국민을 위한다고 외치고 있지만 여당수뇌부는 벌써부터 권력다툼으로 국민들은 안중에도 없는 듯한 인상이다.

대통령은 여당의 혼란을 수습하고 국정을 쇄신시킬 책임이 있다. 언제까지 이 같은 혼란을 수수방관할 것인가. 우유부단했던 광해의 전철을 밟지 말고 읍참마속의 결기를 보여야 한다.

야당도 지금 ‘일사부재의’라는 법의 정의나 상식을 모두 깨고 대표를 위한 방탄당으로 변모하고 있다. 대선결과를 아직 인정하지 않는 이들이 어떤 태도로 새 정부를 공격할지는 미지수다. ‘정의’를 잃으면 언젠가는 망한다는 것을 자각하지 못하고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키워드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