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인구는 42만명 급증
4명이 노인 1명을 부양
0~14세 유소년 17만명↓
인구 절반 수도권 거주
서울서 빠지고 경기서 늘어

image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불볕더위가 이어진 28일 오후 서울 시내에서 한 시민이 부채로 내리쬐는 햇빛을 가리며 이동하고 있다. ⓒ천지일보 2022.07.28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작년 외국인을 포함한 우리나라 총인구는 5173만 8천명으로 1년 전보다 9만 1천명(-0.2%)이 감소해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사상 처음으로 줄었다. 전체 인구는 줄은 반면 노인 인구는 한 해 동안만 42만명이 급증해 871만명으로 불어났다. 이는 생산연령인구 4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하는 상황이 된 셈이다. 지방 인구는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향하고, 서울 인구는 비싼 집값을 피해 경기도로 빠져나오는 상황도 이어지고 있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 인구 부문 집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총인구(11월 1일 기준, 등록 센서스 방식)는 5173만 8천명으로 전년보다 9만 1천명이 감소했다. 총인구가 감소한 것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듬해인 1949년 센서스 집계가 시작된 이래 72년 만에 처음이다. 남성 인구는 2585만명, 여성 인구는 2588만 8천명으로 여성이 더 많았다.

인구 성장률은 1960년 3.0%로 정점을 찍은 후 줄곧 하락하면서 1995년부터는 1% 미만으로 떨어졌다. 이후 계속된 저출산으로 인해 결국 지난해는 사상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고 말았다.

통계청 이지연 인구총조사과장은 “인구 자연 감소가 이어지는 가운데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일시 귀국했던 내국인 인구가 다시 유출되고, 외국인 인구도 줄어들면서 지난해 총인구가 감소했다”고 작년 인구감소 배경을 설명했다.

국적별로 보면 내국인 인구가 5008만 8천명으로 4만 5천명(-0.1%) 줄었다. 코로나19의 여파로 외국인 인구(-2.7%)도 2년 연속 감소했다. 여성 100명당 남자의 수를 나타내는 성비는 지난해 99.9로 집계됐는데, 특히 20대 성비(111.8)가 가장 높았다.

연령별로는 15∼64세 생산연령인구(3694만 4천명)가 34만 4천명(-0.9%) 줄었다. 생산연령인구는 2016년 정점을 찍은 후 지난해까지 5년 동안 67만 7천명 감소했다. 0∼14세 유소년 인구(608만 7천명)도 1년 사이에 16만 7천명(-2.7%) 감소했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는 870만 7천명으로 1년 만에 41만 9천명(5.1%)이 늘었다.

이로써 총인구 가운데 고령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6년 13.3%에서 지난해 16.8%로 5년 만에 3.5%포인트 상승했다. 인구 6명 중 1명이 노인이라는 얘기다. 특히 고령층 가운데서도 85세 이상 초고령층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내국인 고령층(862만명) 가운데 85세 이상 초고령층(10.1%)은 지난해 처음으로 10%선을 넘어섰다.

인구를 나이순으로 줄 세웠을 때 중간에 위치하는 중위연령은 44.5세로 작년(43.9세) 대비 0.6세 올라갔다. 동 지역 중위연령(43.4세)과 면 지역 중위연령(55.7세) 간 격차는 12.3세까지 벌어졌다.

image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노인 부양에 따르는 부담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지난해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해야 할 노년 인구 비율을 나타내는 노년부양비는 23.6으로 상승했다.

생산연령인구 4.2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한다는 의미다. 유소년인구 100명에 대한 고령인구 비율을 의미하는 노령화지수는 143.0으로 10.5나 뛰어올랐다. 1년 단위 조사가 시작된 2016년 이후 최대 증가 폭이다.

인구 감소에 따른 고령화는 지역 소멸과 함께 나타나는 모습이다. 지난해 수도권 인구는 작년 대비 0.1% 늘면서 4개 권역 가운데 유일하게 증가했다. 수도권 인구 비율은 2019년에 처음으로 50% 선을 넘어선 뒤 계속 올라가는 추세로, 지난해에도 우리나라 총인구의 절반(50.4%)은 수도권에 거주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중부권·호남권·영남권 등 나머지 권역은 전부 인구가 감소했다.

17개 시도 가운데는 울산(-1.3%) 인구가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고, 세종(3.5%) 인구가 가장 크게 늘었다. 시군구별로는 229개 시군구 가운데 170곳의 인구가 줄고 58곳만 인구가 늘었다. 작년 대비 인구가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시군구는 전북 순창군(-4.2%)이었다. 반면 인구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경기 과천시(13.6%)였다.

권역별 노령화지수는 호남권(165.5)이 가장 높았고, 수도권(126.6)이 가장 낮았다. 노령화지수가 가장 높은 시군구는 경북 군위군(880.1)으로, 경기 화성시(51.2)의 17배에 달했다.

지난해 거주지를 옮긴 인구 이동자는 611만 6천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집값이 크게 오른 서울의 인구 순유출(-9만 8천명)이 가장 많았다. 순유입 인구가 가장 많은 시도는 경기도(13만 3천명)였다. 비싼 집값을 피해 서울을 빠져나간 인구가 경기도로 유입되며 인구가 늘어난 것으로 해석된다.

국내 외국인 인구는 165만명으로 총인구의 3.2%를 차지했다. 국내 상주 외국인은 한국계 중국인(31.7%)이 가장 많았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키워드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