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 물가 역대 세 번째로 70% 넘어
배·복숭아·감·귤·수박 등도 고공행진
올해도 과일 가격 강세 이어질 전망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과일·채소류 가격 상승으로 설 차례상 비용이 역대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26일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에서 사과·감 등 과일이 판매되고 있다. ⓒ천지일보 2024.01.26.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과일·채소류 가격 상승으로 설 차례상 비용이 역대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26일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에서 사과·감 등 과일이 판매되고 있다. ⓒ천지일보 2024.01.26.

[천지일보=황해연 기자] 지난달 과실 물가 상승률과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간 격차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1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과실 물가 상승률은 40.6%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3.1%)보다 37.5%p 높았다.

과실 물가 통계가 잡히기 시작한 1985년 1월 이후 약 40년 만에 가장 컸는데 이는 그만큼 다른 품목에 비해 과실 물가 부담이 컸다는 의미다.

기존 최대 격차는 1991년 5월의 37.2%p였다.

지난달 과실 물가 상승률은 40.6%로 1991년 9월(43.7%) 이후 32년 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면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과의 격차가 크게 나타난 것이다.

과일 중에서 사과 물가 상승률은 71.0%로 1999년 3월(77.6%)과 작년 10월(74.7%)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70%를 넘었다. 사과 물가 상승률과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간 격차는 67.8%p로 역시 역대 세 번째로 컸다.

배는 61.1%로 1999년 9월(65.5%) 이후 24년 5개월 만에 최고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과의 격차는 58.0%p 벌어지면서 1999년 9월(64.7%p) 이후 가장 컸다.

복숭아는 63.2%로 1976년 7월에 기록한 기존 최고치(61.2%)를 넘었으며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격차도 60.1%p로 역대 최대치다.

감은 55.9%로 1994년 8월(69.7%) 이후 29년 6개월 만에, 참외는 37.4%로 2010년 5월(42.9%) 이후 13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귤은 78.1%로 2017년 9월(83.9%) 이후 6년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수박(51.4%), 딸기(23.3%), 체리(28.0%) 등도 고공행진 중이다.

다만 지난해 이상기온으로 수확량이 크게 줄어드는 등 과일 가격 강세는 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사과는 마땅한 대체 상품이 없는 데다 작년 생산량이 줄고 수입도 어려워 당분간 가격 부담이 불가피하다. 특히 오는 2033년까지 사과 재배면적이 연평균 1%가량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는 수입으로 병해충이 유입되면 생산이 줄고 비용이 들어 가격만 올려 결국 소비자 부담을 더 키우는 위험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물량 공급을 확대하고 할인 지원에 나서 서민 장바구니 부담 완화에 나설 방침이다.

농식품부는 올해 설 성수기 장바구니 부담 완화를 위해 690억원을 투입해 농축산물 할인 행사를 지원한 데 이어 이달과 다음달에도 농축산물 납품단가 인하와 할인 지원에 모두 434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올해 농축산물 할인 지원 예산은 1080억원으로 대형마트, 중소형마트, 전통시장 등에서 국산 농축산물을 구입하는 소비자에게 최대 30%, 2만원 한도로 할인을 지원하고 있다.

다만 내달까지 920억원을 쓰고 나면 상반기에 모두 소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는 상황이다.

농식품부는 다음달까지 할인 지원 예산이 700억~800억원 소진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올해 예산의 최대 74.1%가 불과 넉 달 만에 소진되는 것이다.

하반기 추석과 김장철에도 할인 지원이 이뤄질 수 있어 일각에서는 예비비 편성 가능성도 거론하지만 정부는 아직 예비비 검토는 시기상조라고 일축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할인 지원과 함께 할당관세 등을 활용해 수입 과일 공급을 늘려 수요를 분산할 것”이라며 “참외, 수박 등 과일을 대체할 수 있는 과채류가 본격 공급되면 사과, 배 수요가 분산되면서 가격이 어느 정도 하락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지난해와 같은 과일 생산량 급감 피해가 올해 재발하지 않도록 지방자치단체, 생산자 단체 등과 ‘과수 생육관리 협의체’를 조성해 냉해와 병해 예방 조치도 진행 중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