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거래량, 전달比 13%↑
5년 평균치보단 30% 적어
“반등 신호로 보기 어려워”
분양물량은 작년 6배 ‘껑충’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세가 한풀 꺾이는 모습이다. 고금리 장기화 속에 정부의 대출 지원이 축소되고, 집값에 대한 고점 인식이 확산하며 거래량 감소, 실거래가 하락 기류가 뚜렷해진 것이다. 사진은 19일 서울 남산에서 내려본 서울 아파트단지. 2023.11.19. (출처: 연합뉴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세가 한풀 꺾이는 모습이다. 고금리 장기화 속에 정부의 대출 지원이 축소되고, 집값에 대한 고점 인식이 확산하며 거래량 감소, 실거래가 하락 기류가 뚜렷해진 것이다. 사진은 19일 서울 남산에서 내려본 서울 아파트단지. 2023.11.19. (출처: 연합뉴스)

[천지일보=이우혁 기자] 고금리 여파로 부동산시장 침체가 계속되는 가운데 올해 1월 주택 거래량이 전달보다 13% 늘며 5개월만에 반등했다. 다만 최근 5년 평균보다는 여전히 30% 이상 적다. 수도권은 42%, 서울은 45% 적었다.

특히 올해 1월 분양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6배 이상 늘었다. 다만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침체가 심했던 지난해의 기저효과”라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가 29일 발표한 ‘2024년 1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주택 매매거래량(신고일 기준)은 4만 3033건이다. 이는 한달 전인 지난해 12월(3만 836건)보다 13.1%, 지난해 1월(2만 5761건)보다는 67.0% 늘어난 물량이다.

주택 매매거래량은 지난해 8월부터 13월까지 5만 2천건→4만 9천건→4만 7천건→4만 5천건→3만 8천건으로 감소세가 계속됐다. 다만 올해 1월 거래량이 5천여건 늘면서 반등했다.

1월 주택통계. (출처: 국토교통부) ⓒ천지일보 2024.02.29.
1월 주택통계. (출처: 국토교통부) ⓒ천지일보 2024.02.29.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1만 7608건)은 전월보다 16.7% 늘었고, 지방(2만 5425건)은 10.8% 증가했다. 작년 1월과 비교하면 수도권은 71.0%, 지방은 64.4% 증가했다. 서울은 4699건으로 전월(473건)보다 15.4%, 작년 동월(2641건)보다 77.9%씩 늘었다.

다만 수도권과 지방 역시 5년 평균 1월치보다 각각 41.9%, 19.7% 적은 수준이다. 특히 서울은 44.9%나 적다.

유형별로 보면 아파트(3만 2111건)는 전월 대비 19.2% 증가했다. 반면 아파트 외 주택(1만 922건)은 전월보다 1.6% 감소했다.

다만 올해 1월 주택거래량이 반등했지만 최근 5년 평균치보다는 여전히 30.5%가량 낮다.

최근 5년간 1월 전국 주택 거래량을 보면 ▲2020년 10만 1천건 ▲2021년 9만 1천건 ▲2022년 4만 2천건 ▲2023년 2만 6천건 ▲2024년 4만 3천건이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들은 “정부가 ‘스트레스 DSR’ 등 대출에 규제를 걸었고, 고물가로 금리인하 가능성도 줄어든 만큼 이번 반등이 주택경기 회복 신호로 보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매매 시장의 관망세가 계속되면서 지난달 전월세 거래량도 24만 7622건으로 전월(21만 1403건)보다 17.1% 증가했다. 작년 동월(21만 4798건)보다는 15.3% 늘었다.

전월세 거래 중 월세 거래량은 13만 8425건(거래비중 55.9%, 보증부 월세·반전세 포함)이 전세 거래량(10만 9197건)을 앞질렀다. 월세 거래 비중은 ▲지난해 9월 55.6% ▲10월 52.8% ▲11월 54.2% ▲12월 55.4% 등으로 전반적으로 늘고 있다.

1월 주택통계. (출처: 국토교통부) ⓒ천지일보 2024.02.29.
1월 주택통계. (출처: 국토교통부) ⓒ천지일보 2024.02.29.

한편 주택 인허가와 착공, 분양, 준공 등 건설 실적은 작년 동기보다 모두 증가했다.

올해 1월 전체 주택 인허가는 2만 5810가구로, 작년 동기(2만 1425가구)보다 20.5% 증가했다. 착공은 2만 2975가구로 작년 동기보다 47.2%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준공은 3만 6762가구로 작년 동기(1만 6141가구)보다 127.8% 늘었다. 특히 분양은 1만 3830가구로 6배 이상(646.8%) 급증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1월 주택 건설 통계’와 관련해 “지난해 1월의 경우 부동산 시장이 가라앉아 인허가나 착공, 분양 등의 물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라 기저효과가 일부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통상 인허가부터 준공까지는 약 4∼5년, 착공부터 준공까지는 2∼3년이 소요된다는 점 때문에 주택 건설 통계는 향후 주택 공급의 선행 지표로 여겨진다. 

한편 지난 1월에는 미분양도 늘어났다. 전국의 미분양 주택 수는 총 6만 3755가구다. 전월(6만 2489가구)보다 1266가구(2.0%p↑) 증가한 규모다. 특히 악성으로 손꼽히는 준공 후 미분양은 전월(1만 857가구)보다 506가구 증가한 1만 1363가구로 집계됐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