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점수 높아도 제대로 전략 짜지 않으면 실패 가능성
자신에 유리한 지표 활용하는 대학 지원이 합격률 높여
“올 수능 어려워 백분위로만 지원 가능 대학 가늠 어려워”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17일 서울 광진구 세종대학교 대양홀에서 종로학원 주최로 열린 ‘2024수능 결과 및 정시합격점수 예측 설명회’에서 학부모들이 정시모집 배치 참고표를 살펴보고 있다. ⓒ천지일보 2023.11.17.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17일 서울 광진구 세종대학교 대양홀에서 종로학원 주최로 열린 ‘2024수능 결과 및 정시합격점수 예측 설명회’에서 학부모들이 정시모집 배치 참고표를 살펴보고 있다. ⓒ천지일보 2023.11.17.

[천지일보=홍보영 기자]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킬러문항이 없었음에도 ‘불수능’이었다고 불릴 만큼 어려웠다는 평이 다수다. 이 때문에 학생들이 생각보다 낮은 점수를 받아 내년 1월 3일부터 시작되는 정시 지원에 맞춘 지원 전략에 고민 또한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시는 ‘원서영역’이라 불릴 정도로 어떤 전략을 세워 실행하는지에 따라 희비가 갈린다. 즉, 수능 점수가 아무리 높아도 제대로 전략을 짜지 않는다면 실패할 수 있다는 것. 이렇듯 같은 수능 성적이라고 하더라도 대학의 수능 영역별 반영 비율, 반영 영역에 따라 자신에게 유리한 대학과 불리한 대학이 달라진다. 수학 점수가 높은 학생에게는 당연히 수학 반영 비율이 높은 대학이 유리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대학이 어떤 수능 지표를 활용하는지’, ‘이를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미처 고려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표준점수, 백분위 용어 이해

수능 성적표가 배부됐다. 수능 성적표는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 3가지 지표로 나타나는데 이 지표를 활용해 각 대학별 모집요강에 맞게 지원해야 한다. 국어, 수학, 탐구 영역은 3가지 지표 모두가 제공되며, 절대평가로 치르는 영어와 한국사,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등급’만 제공한다. 모든 대학이 같은 지표로 학생을 선발하는 것이 아니고, 이마저도 대학마다 다르기 때문에 나에게 유리한 지표를 활용하는 대학에 지원하는 것이 합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표준점수’는 원점수, 평균, 표준편차를 활용해 원점수만으로는 확인할 수 없는, 시험이나 과목 간의 난이도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쉽게 이야기해서 평균이 50점인 시험에서 80점을 받은 수험생과 평균이 70점인 시험에서 80점을 받은 학생을 변별하기 위해 도입된 점수 체계다. 시험마다 평균이나 표준편차 등이 다르기 때문에 원점수에 따른 표준점수는 변할 수밖에 없다. 올해 국어 영역의 표준점수 최고점은 150점이지만, 전년도인 2023학년도의 경우 134점이었다.

‘백분위’는 자신보다 낮은 표준점수를 가진 수험생들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100명이 치른 시험에서 내 등수가 7등이라면 백분위로는 ‘93’으로 표현된다. 점수가 아닌 비율이라는 점에서 다소 모호한 경계가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상위 누적 인원에 따라 표준점수는 다르지만 동일한 백분위에 속할 수 있고, 동점자가 많은 경우에는 백분위 편차가 표준점수 차이에 비해 더 커지기도 한다.

◆국어, 수학 최상위권 표준점수 차이 커

넓게 분포해 백분위가 100인 수험생들의 표준점수는 8점까지 차이가 난다. 때문에 국어 표준점수를 만점 가까이 받은 학생들은 표준점수 반영 대학이 더욱 유리할 것이고, 142점이나 143점을 받은 학생은 백분위 반영 대학 지원 시 이득을 보게 될 것이다. 수학이라면 표준점수 148점의 학생은 표준점수 반영 대학을, 143점의 학생은 백분위 대학을 더 선호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의대를 지원하고자 하는 두 수험생의 국어와 수학 표준점수가 수험생 A는 국어 141점, 수학 142점이고 수험생 B는 국어 142점, 수학 138점이라고 하자. 표준점수로만 계산하면 A의 점수가 더 높다. 특히 수학 반영 비율이 높은 것을 감안하면 두 학생의 점수 차는 의미 있게 벌어진다. 하지만 백분위를 적용하는 곳에서는 상황이 달라진다. 표준점수로 B가 1점이 더 높은 국어 영역은 백분위도 1점이 높지만, A가 표준점수 4점이나 높은 수학은 백분위가 동일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백분위를 활용하는 대학에서는 수험생 B가 우위에 있게 된다. 의대에 지원하고자 한다면 B학생은 백분위를 적용하는 가천대, 강원대 등이 유리한 상황인 것이다.

◆탐구 과목에 따른 유·불리

수능 활용 지표에 따른 유·불리는 탐구영역에서도 나타난다. 2024학년도 수능 탐구영역에서 ‘경제’와 ‘정치와 법’ 만점자의 표준점수는 73점이지만, ‘윤리와사상’, ‘세계사’의 만점자 표준점수는 63점이다. 또 ‘지구과학Ⅰ’은 68점이지만 ‘화학Ⅱ’는 80점으로, 동일하게 만점을 받았음에도 과목에 따라 점수 차이가 크다.

이런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일부 대학에서 탐구영역에 대해 백분위를 바탕으로 한 ‘변환표준점수’를 활용한다. 하지만, 표준점수 혹은 백분위를 그대로 활용하는 대학도 있어 이런 경우에는 탐구 영역 선택에 따른 보정이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선택 과목에 따라 유·불리가 생길 수 있다. 이번 수능에서 화학Ⅱ 만점을 받은 학생은 표준점수를 보정 없이 그대로 활용하는 대학에 지원할 경우 상당히 유리하다. 반면 지구과학Ⅰ에서 만점을 받은 학생은 백분위나 백분위 변환표준점수를 활용하는 대학에 지원하는 것이 손해를 덜 보는 길일 수 있다.

◆수도권 주요 대학별 활용 지표

2024학년도 수도권 주요 대학별 수능 활용 지표를 보면 표준점수는 국민대, 서울과학기술대, 서울교대, 서울대, 한국항공대, 홍익대에서 사용한다. 백분위는 가천대, 가톨릭대(의/약/간호 제외), 경기대, 경인교대, 단국대, 덕성여대, 동덕여대, 명지대, 삼육대, 상명대, 서경대, 서울여대, 성신여대, 수원대, 인천대, 한국공학대, 한성대에서 본다. 표준점수+백분위 변환표준점수는 가톨릭대(의/약/간호),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광운대, 동국대, 서강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세종대, 숙명여대, 숭실대, 아주대, 연세대, 이화여대, 인하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 한양대(ERACA)에서 사용한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올해는 특히나 수능이 어렵게 출제돼 상위권에서 표준점수의 분포가 넓게 나타나기 때문에 백분위로만 지원 가능 대학을 가늠하기가 더 어려워졌다”며 “같은 백분위더라도 표준점수에서는 차이가 많을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희망 대학 수능활용지표에 따른 유·불리를 꼼꼼히 따져봐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