社측 “청산형 회생계획안 신청 검토”
협력업체 “조기 파산시켜 매각하자”

쌍용자동차사가 노사 간 협상이 결렬되면서 파산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쌍용차는 70일이 넘는 점거 파업으로 1만 3천여 대의 생산을 하지 못해 3천억 원이 넘는 손실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법정관리 중인 쌍용차가 회생하려면 다음달 15일 이전에 생산이 재개돼야 한다. 만약 노사협상이 재개되지 못하면 쌍용차의 회생은 기대하기 힘들다는 것.

쌍용차의 회생 불가능을 점치고 있는 600여 개 쌍용차 협력업체 채권단은 오는 5일 조기파산요구서를 법원에 제출할 예정이다. 이들은 누적 적자가 더 늘어나기 전에 밀린 납품 대금을 받기 위해서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협력업체 측의 요구가 법원을 통과하면 다음달 15일 전에 법정관리가 중단되고 쌍용차는 파산과 매각의 갈림길에 선다.

파업 전 쌍용차의 존속가치는 청산가치보다 3890억 원이 많은 것으로 평가됐다. 하지만 파업 후 손실액이 3천억 원이 넘어서면서 청산가치와 존속가치를 따지는 것이 무의미해졌다. 만약 법인 청산에 들어갈 경우 쌍용차는 고용 계약 해지와 주식 소각 등이 이뤄진다.

박영태 쌍용차 법정관리인은 3일 ‘청산형 회생계획안’ 신청을 검토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계획안은 쌍용차의 자산 처분과 분배 절차가 끝난 후 회사가 없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협력업체는 쌍용차를 조기 파산시켜 매각하는 방향을 설정했다. 이는 미국 정부가 추진한 GM사의 구조조정 방안과 유사한 것이다. 협력업체 채권단은 “부실 자산을 털어내고 우량 자산만 추려내 ‘굿 쌍용’을 만드는 게 피해를 최소화 시키는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제3자가 쌍용차를 인수하는 것은 기대하기 힘들다는 것이 대세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기계산업팀장은 인수가 어려운 이유로 “쌍용차와 같이 브랜드가 취약하고 차종에 있어서 경쟁력이 떨어진 업체의 조기매각은 어렵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내수시장에서 쌍용차의 점유율은 2%를 차지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지 않다.

만약 새로운 인수자를 찾지 못할 경우 청산은 물론이고 국가 경제손실 규모가 커지게 된다. 협력업체를 포함해 2만 명 이상의 실직자가 생기고 이들의 부양가족까지 합하면 모두 10만 명 이상이 피해를 입게 된다. 또 쌍용차 의존도가 15%나 되는 평택의 지역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법원의 결정에 따라 지원책을 내놓겠다고 전했다. 쌍용차 협력업체들의 생존을 위한 ‘구제 지원책’은 빠른 시일 내에 마련할 방침이다.

지식경제부는 협력업체들이 세계 주요 자동차업체에 납품할 수 있도록 전시 및 상담을 주선하고 해외마케팅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또 국내에서는 다른 납품 대상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