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경남도청의 정문 진주 영남포정사와 진주에 있던 도청의 여러 건물들. ⓒ천지일보 2021.2.9
과거 경남도청의 정문 진주 영남포정사와 진주에 있던 도청의 여러 건물들. ⓒ천지일보 2021.2.9

특례시, 광역시급 재량 부여

“도청-특례시 업무중복발생”

“동서불균형 심각, 대책필요”

“도청있던 진주로 재이전해야”

[천지일보 진주=최혜인 기자]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관심 있는 각계각층의 진주시민들로 구성된 ‘경남도청 진주환원운동 추진본부 준비위원회’가 지난 8일 발족했다.

도청 진주환원 추진본부는 낙후된 서부경남을 발전시키고 잃어버린 역사를 바로 세우자는 기치를 내건 단체로 지역의 원로, 문화예술인, 체육인, 상공인, 사회단체장 등 각계 대표들로 구성돼 있다.

도청 진주환원운동 추진본부 준비위원장으로 뽑힌 배우근 전(前) MBC경남 국장은 “최근 지방자치법 개정으로 창원은 특례시가 돼 독자적 지위를 누리게 됐다”며 “경남 전역의 균형발전을 위해서라도 도청이 창원에 있어야만 할 이유는 없다”고 단언했다.

이어 “경북은 대구가 광역시 승격 후 도청을 안동으로, 전남은 광주가 광역시로 승격되며 무안으로 도청을 옮겼다”며 “경남도청은 원래 있던 진주로 옮겨와 현재 있는 서부청사와 합쳐져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국회는 인구 100만 대도시를 특례시로 지정하는 내용 등을 담은 지방자치법 전부 개정안을 통과시킨 바 있다. 이에 따라 경남 창원시(104만명)를 비롯한 경기 수원(119만명)·고양(107만명)·용인(106만명) 등 전국 4개 도시가 내년에 특례시로 지정될 전망이다.

도에 따르면 경남은 1970~80년대 국가 산업화 정책에 따라 창원, 김해의 동부경남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 그 결과 진주를 중심으로 한 서부경남의 면적은 경남 전체의 60%가 넘지만 인구와 총생산은 1/4~1/5 수준에 불과해 동서 간 불균형이 심각한 상황이다.

경남도는 이러한 불균형 성장을 개선하고 지역을 고루 발전시키기 위해 지난 2015년 12월 진주시에 서부청사를 개청했다. 현재 경남도청 환경산림국 등 3개국을 비롯해 산하기관인 농업기술원, 인재개발원, 보건환경연구원 등이 진주로 이전한 상태다.

준비위는 “‘경남도청 진주환원’은 일본제국이 우리나라의 행정을 짓밟던 것을 원래대로 돌려놓는 ‘역사바로세우기’에 해당한다”며 “일제가 수탈을 위해 강제로 부산으로 이전시킨 도청을 원래 자리인 진주로 되돌려 서부경남 도민들의 100년 염원을 이뤄내야 하지 않겠냐”고 반문했다.

과거 진주시는 1895년부터 30년간 도청소재지였지만 1925년 일제에 의해 수탈을 쉽게 하고자 부산으로 도청을 이전한 바 있다. 이후 부산이 직할시로 승격하면서 도청은 창원으로 재이전했다.

준비위는 “서부경남의 대다수 지자체는 인구소멸의 위기에 봉착했고 진주도 혁신도시 이전에 대한 효과가 미미해 미래를 걱정하는 시민들이 많다”며 “경남도청이 진주로 이전해 경남 전체의 균형발전을 이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에 따르면 민간인 중심의 도청환원운동은 과거에도 진주에서 2차례 있었다.

지난 1964년 부산의 직할시 승격 후 경남도청의 마산 이전계획이 발표되자 250명의 시민대표가 참여한 1차 환원 운동이 펼쳐졌다. 또 1977년 정부의 경남도청 창원이전 계획이 언론 보도되자 46명의 시민들이 진주환원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운동을 펼쳤으나 결국 무산된 바 있다.

이들 단체는 이달 말 지역을 걱정하는 시민들 50여명을 모아 추진본부 출범을 알린 후 대대적인 도청 진주환원 시민운동을 펼쳐나간다는 방침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