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기준금리 인상 설명하는 이창용 한은 총재(왼쪽)와 지난달 27일(현지시간)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의장이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연설하는 모습 (출처: 연합뉴스, AP=연합뉴스) 2022.08.28
25일 기준금리 인상 설명하는 이창용 한은 총재(왼쪽)와 지난달 27일(현지시간)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의장이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연설하는 모습 (출처: 연합뉴스, AP=연합뉴스) 2022.08.28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한국은행이 당분간 기준금리 인하에 나서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정책금리 조기 인하 가능성에 거리를 두는 모습을 보이면서다.

고물가 시기의 마지막 국면에서 너무 일찍 통화정책 완화로 돌아섰다가 물가 안정기 진입 자체가 무산되는 이른바 ‘라스트 마일 리스크’를 경계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연준이 ‘연내 완화’를 공식적으로 언급한 만큼 미국은 이르면 2분기, 한국의 경우 이를 지켜본 뒤 하반기께 금리 인하를 시작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연준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통해 정책금리 목표 범위를 5.25~5.50%로 동결했다. 연준은 앞서 지난해 9월과 11월, 12월에 이어 이날까지 네 차례 연속 금리를 동결했다. 연준이 4번 연속 동결을 선택했지만 여전히 정책금리가 한국(3.50%)보다 2.00%p 높은 상태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FOMC 직후 기자회견에서 “인플레이션 진전에 고무된 것은 사실이지만, 현재 우리는 승리를 선언할 시점이 아니다”면서 “3월을 금리인하 시점으로 선택할 정도의 확신 수준에 도달할 것 같지 않다. 기본 가정이 아닐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3월 조기 인하 기대감을 차단한 셈이다.

파월 의장은 이어 “거의 모든 위원이 금리 인하가 적절하다고 믿으나 금리 인하 시점은 인플레이션 완화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연내 금리를 낮추겠지만, 서두르지는 않겠다’라는 연준의 메시지는 정책결정문에서도 드러났다. 연준은 정책결정문에서 ‘어떤 추가적인 정책 강화(any additional policy firming)’ 문구 대신 ‘어떤 조정(any adjustment)’을 기입하며 긴축적 표현을 중립적 문구로 수정했다.

연준의 네 차례 연속 금리 동결과 파월 발언 등으로 미뤄 오는 22일 한은이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에서 9연속 동결을 결정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난 11일 열린 새해 첫 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금통위원들도 “물가가 2%에 안착한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긴축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미국 연준의 물가상승률 변화에 따른 금리 결정, 유가 안정 여부, 소비가 경기 예측대로 갈지, 무엇보다 물가 경로가 예상대로 갈지 봐야 한다”며 “적어도 6개월 이상 기준금리 인하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연준과 마찬가지로 지난해 11월까지 수 개월간 이어진 ‘추가 긴축’ 언급도 금통위 의사록에서 사라졌다.

올해 중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제기되는 가운데 현재 금융권 안팎에선 한은이 올해 하반기 이후 금리를 내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연준의 동향 등으로 미뤄 미국의 피벗이 일러야 5월 또는 6월에나 가능하고, 한은은 연준의 인하를 확인한 뒤에야 금리를 낮출 것이라는 관측에서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준의 3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한 달 전 80%대에서 이날 35.5%로 쪼그라들었다. 반면 5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95.3%로 치솟았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키워드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