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독교대한감리회 전명구 감독회장의 금권선거 의혹이 터지면서 감리교단이 홍역을 치르고 있다. 감독회장선거무효소송까지 제기돼 혼란은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천지일보(뉴스천지)

기관지, 전명구 감독회장 돈선거 의혹 폭로 후폭풍
“연회·전국 조직 및 평신도까지 관리하면 수십 억대”
선거무효·직무정지 소송 휘말려… 세습 논란도 일어

[천지일보=박준성 기자] 개신교계에서 세 번째로 큰 교세를 갖춘 기독교대한감리회(감리교)가 또다시 불거진 금권선거 논란으로 내홍이 심화되고 있다. 금권선거 의혹의 당사자는 감리교 수장인 전명구 감독회장이다. 또한 전 감독회장이 사역했던 인천대은교회가 지난 2015년 인천 검단지역에 지교회를 설립해 그의 아들에게 담임을 맡겨 ‘부자지교회 세습’ 논란까지 일고 있다.

금권선거 의혹은 전명구 감독회장 취임 1년 만에 2건의 소송으로 이어졌다. 지난해 12월말 성모·박모 목사가 기독교대한감리회를 상대로 ‘감독회장선거무효소송’을 제기한 데 이어 올해 10월 중순 윤동현 목사가 무효소송과 직무집행정지가처분소송을 동시에 제기한 상태다. 2건 모두 전명구 감독회장의 핵심선거참모였던 오철환 장로가 주요 인물로 등장한다.

오 장로는 약 6천만원 상당의 선거비용사용 내역과 전 감독회장의 금권선거 녹취록 등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여기에 감리교 기관지인 ‘기독교타임지’가 감독회장의 금권선거 의혹을 폭로하는 기사를 게재해 파문이 확산하고 있다.

◆“감독회장, 연회·지방 소집책에 현금 전달”

26일 제32회 총회 입법의회를 앞두고 감리교는 교단 수장인 전명구 감독회장의 금권선거 의혹으로 곤욕을 치르고 있다. 더욱이 기관지(기독교타임즈)의 금권선거 폭로는 충격 그 이상이다.

기독교타임즈는 10월 21일자 신문 지면에 전 감독회장의 금권선거 의혹을 자세히 실었다. 이 매체에 따르면 전명구 감독회장 후보캠프의 핵심인사이자 연회 소집책으로 활동한 A씨는 “선거 과정에서 수차례 작은 모임과 큰 모임을 주선한 적이 있다”며 “당시 (전명구 감독회장) 후보는 식사 장소에 모인 30~50명가량의 연회 및 지방 소집책에게 현금을 각각 30만원에서 50만원씩 전달했다”고 폭로했다.

A씨는 식비 영수증과 송금내역 등을 확인시켜줬다. 또 다른 인사 B씨는 “직접 전국을 순회하며 연회와 지방 내의 유력 인사들을 직접 연결해 줬다”고 주장했다. “한 연회의 목사 조직을 운영하기 위해 적게는 2000만원에서 많게는 4000~5000만원가량 그리고 전국으로 가면 규모는 최소 3억원에서 최대 6억원 규모로 커진다. 여기에 평신도 조직을 추가하면 단위는 십억대로 불어난다. 그러나 실제 규모는 이를 상회했을 것이라는 것이 당시 관계자들의 얘기다”라고 이 매체는 전했다.

국내 11개 연회로 구성된 감리교단은 감독 선거의 영향으로 목사 그룹과 장로 그룹으로 나뉘어 최소 4개 그룹이 구성돼 있다. 전국적으로 선거인단의 표를 관리하는 그룹이 40여개가 암암리에 형성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천에서 수십억 드는 현행 선거법 개정해야”

감독회장 금권선거 논란은 이번만이 아니다. 이와 비슷한 사례가 지난 2013년 제27대 감독회장 선거에서도 폭로된 바 있다. 당시 감독회장 후보로 직접 나섰던 강문호 목사는 “감독회장 선거에 뛰어든 것을 후회한다”며 감리교 총회특별재판위원회(총특위)에서 자신의 겪었던 부정선거 사례를 낱낱이 증언했다. 그는 감독회장 선거운동 기간 감리교의 40여개 (로비)그룹들로부터 적게는 4000만원, 보통 1억원에서 많게는 8억원까지 금품을 요구받았다고 폭로해 충격을 안겼다.

강 목사는 “감독회장 선거에 뛰어들어 선거운동을 펼쳐보니 지금의 선거법이 금권선거법이더라”면서 현행 선거법의 개정이 아닌 완전 폐지 주장까지 했다. 그는 선거 기간 문자메시지 비용만 수천만원이 드는 등 캠프를 운영하면서 들어가는 행정비용이 어마어마하다고 말했다.

후보자들에게 개인적으로 요구하는 비용도 엄청나다. 강 목사는 “명예도 필요 없고, 학연도 필요 없다. 오직 돈이다”면서 교단 내 깊이 뿌리내린 돈 선거 풍토를 적나라하게 지적했다. 심지어 “돈 없으면 나오지 말지, 없으면서 선거에 왜 나왔냐”는 수모까지 겪었다. 강 목사는 중도 하차라는 결단을 내렸다. 그는 금권선거 사례를 설명하며 “하루에도 몇 번씩 선거에 뛰어든 것을 후회했다”고 탄식하기도 했다.

현재 교단 선거법의 폐단을 지적하며 개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입법의회를 앞두고 더욱 커지고 있다.

지난 18일 감리회목회자모임 ‘새물결’은 기자회견 자리를 마련하고 돈 선거 풍토를 뿌리 뽑기 위해선 현행 감독·감독회장 선거법의 문제점을 면밀히 보고 미비한 점을 보완해 개정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20일에는 새물결 상임대표 권종호 목사가 홈페이지에 글을 올려 “감독(회장) 선거에 돈이 오고간다는 것은 공공연한 일이다. 돈은 주어서도 받아서도 안 된다”며 선거법을 개정을 요구했다. 이들은 ‘감독 및 감독회장 선거법’ 등 3개 법안을 감리교 입법의회에 발의할 예정이다.

▲ 전명구 감독회장은 부자지교회 세습논란도 일어 최대 위기에 처해 있다. 사진은 전 감독회장이 담임했던 인천대은교회와 아들 전계일 목사가 담임으로 있는 검단대은교회 전경. ⓒ천지일보(뉴스천지)

◆전명구·전계일 ‘부자지교회 변칙세습’ 논란

150만명을 이끄는 전명구 감독회장의 ‘부자지교회세습’ 논란도 여전히 풀리지 않은 숙제로 남아 있다. 감리교단은 지난 2012년 개신교계 최초로 ‘목회세습방지법’을 총회에서 결의해 뜨거운 관심을 받은 바 있다. 개신교 세습 1위 교단의 불명예를 안고 있었던 감리교단은 이 같은 결단으로 세습 논란이 서서히 사라질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현재까지 그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

감리회세습반대운동연대(감세반연)는 감리회 내에서 진행된 교회 세습을 조사 분석한 결과인 ‘세습 리포트(리스트 포함)’를 지난 22일 페이스북에 공개했다. 감세반연에 따르면 숭의교회 부자세습을 시작으로 2017년 10월 22일 현재까지 감리교에서 이뤄진 세습은 모두 194건으로 조사됐다.

여기에 전 감독회장의 아들 전계일 목사가 담임으로 있는 ‘검단대은교회’ 이름이 올랐다. 검단대은교회는 2015년 3월 인천대은교회에서 독립한 지교회다. 1986년 인천대은교회 3대 목사로 부임한 전명구 목사는 2016년 9월 감독회장에 취임하고, 교회를 부목사 박영준 목사에게 물려줬다. 여기까지는 세습이 아닌 모습으로, 교단 대표로 본이 되는 행보를 보였다.

인천대은교회는 2015년 교회 설립 35주년을 기념해 약 10㎞ 떨어진 검단지역에 ‘검단대은교회’를 개척하면서부터 잡음이 들리기 시작했다. 교회 당회를 거쳐 전 감독회장의 아들 전계일 목사가 검단대은교회의 담임으로 섰다. 총회 세습방지법을 교묘히 피해간 부자지교회세습 논란이 일었다. 인천대은교회와 검단대은교회가 합병할 것이라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아버지는 별다른 반응을 보이고 않고, 아들은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감세반연은 “세습금지법이 통과된 2012년 후에도 세습은 결코 줄어들지 않았다. 기존에 없었던 각종 변칙세습(다양한 교차, 징검다리, 분립·통합 등)이 등장해 세습 1등 교단이라는 불명예는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고 탄식했다.

감리교 총회 입법의회 안건으로 분리 및 통합 세습 방지를 골자로 한 분리통합 금지 법안이 상정됐다. 전명구 감독회장과 감리교단이 이번 총회 입법의회에서 금권선거와 세습 논란 등에 대해 어떤 입장과 결과를 끌어낼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