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군이 5, 6일 이틀 연속 서해 북방한계선(NLL) 일대에서 해안포 사격을 실시했다. 5일 백령도와 연평도 북방 일대에서 해안포 200여발을 발사한 데 이어 6일에도 연평도 북서방 개머리 진지에서 방사포와 야포 등으로 포탄 60여발을 발사했다.

포탄은 모두 NLL 이북 해상 완충구역에 낙하했다는 것이다. 해상 완충구역은 2018년에 체결된 9.19 남북군사합의에 따라 해상 무역충돌 방지를 위해 서해 및 동해 NLL 일대에서 설정됐다.

5일 해병대 예하 백령부대와 연평부대가 해상 대응 사격 훈련을 했던 우리 군은 6일 북한의 포격 도발에 대응하는 해상사격을 하지 않았다. 군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주민들에게 대피령을 내렸다.

일상생활을 접고 가까운 대피소로 이동한 도서 주민들은 물론이고 북한의 포사격 소식을 접한 많은 국민들은 서해 상황에 촉각을 세웠다.

북한의 이번 사격 훈련은 포탄의 낙하지점이 NLL 북방이긴 했지만 해상 완충구역이라는 점에서 명백한 군사 도발에 해당한다.

정부는 지난해 11월 북한이 정찰위성을 발사하자 맞대응 차원에서 9.19 군사합의 중 군사분계선(MDL) 주변 비행을 금지하는 조항의 효력만 정지시켰다. 그런데도 북한은 이를 빌미로 지상·해상·공중에서 중지했던 모든 군사적 조치를 회복한다며 사실상 9.19 합의 전면파기를 선언했다.

북한의 서해 해안포 사격은 새해 벽두부터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을 한껏 끌어올리려는 의도성이 엿보인다. 북한은 최근들어 비무장지대(DMZ) 내 최전방 감시초소(GP) 복원 작업에 착수해 최근 일부 GP에서 콘크리트 초소가 세워진 것이 식별됐다.

경의·동해선 육로에 지뢰를 매설하는 모습도 포착됐다고 한다. 북한은 앞으로 육상·해상 도발에 이어 공중 도발을 감행할 수도 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지난달 말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남북은 동족이 아닌 ‘교전 중인 두 국가’”라며 “언제든지 무력 충돌이 생길 수 있다”고 위협했다.

김정은은 더 나아가 “전쟁은 추상적 개념이 아니라 현실적 실체로 다가오고 있다”며 “유사시 핵무력을 포함한 모든 수단과 역량을 동원해 남조선 전 영토를 평정하기 위한 대사변 준비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군에 지시했다.

북한의 도발은 오는 4월 국회의원 총선거를 겨냥해 남남 갈등 등 사회 혼란을 야기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 군과 정부는 김정은이 전쟁 불사를 외치며 초강경 대결 노선을 걷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힌 만큼 단단히 대비해야 한다. 통합방위 태세를 면밀히 점검하고, 위기를 관리하는 유연한 대처 능력을 갖춰야 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