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이지솔 기자] 천지일보는 지난 8일 대전 동구에 있는 법화종 총무원 청사에서 총무원장 서리 혜문스님을 만나 종단 정상화 진행 과정에 대해 들을 수 있었다. 사진은 법화종 대웅전에서 본지와 인터뷰를 하고 있는 혜문스님. ⓒ천지일보 2021.11.15
[천지일보=이지솔 기자] 천지일보는 지난 8일 대전 동구에 있는 법화종 총무원 청사에서 총무원장 서리 혜문스님을 만나 종단 정상화 진행 과정에 대해 들을 수 있었다. 사진은 법화종 대웅전에서 본지와 인터뷰를 하고 있는 혜문스님. ⓒ천지일보 2021.11.15

법화종 총무원장 서리 인터뷰
창종 이래 초유의 사태 맞아
‘韓불교계 누 끼쳤다’ 평가도
法으로부터 적법성 인정받아
정상화 수순 후속조치 진행중

스님 학력문제 연이어 논란
“종헌종법 원칙 바로세워야
교구 활성화에 대한 노력도”
“자정 능력 없는데도 무관심”
상황 어려워 호소문 발표도

[천지일보=이지솔 기자] “대한불교법화종 종도라는 게 자랑스러웠던 때가 있었는데, 지금은 종단 위상이 많이 추락했습니다. 현 총무원장 서리 집행부가 바라는 것은 오직 하나, 이권에 욕심 없는 차기 총무원장이 당선될 수 있도록 다리를 놔드리는 것입니다.”

창종한 지 어느덧 75년이 된 대한불교법화종, 법화종 내에서는 2년여 기간 동안 총무원장의 온갖 비리로 종단 수장이 3번이나 바뀌고 갖은 법적 분쟁으로 인해 총무원장의 자리는 공석이 됐다. 총무원장 자격논란으로 총무원장 선거를 진행할 수 없게 되자 종단 안정화를 위해 종단의 정신적 지주인 종정 도선스님이 총무원장을 대신할 총무원장 서리로 혜문스님을 임명했지만, 혜문스님도 자격논란에 휩싸여 법화종은 창종 이래 역사상 초유의 사태를 맞았었다.

이러한 내홍으로 인해 이들은 ‘한국 불교계에 누를 끼쳤다’는 한국불교종단협의회(종단협)의 평가를 받았으며 한국 불교 종단 서열은 4위에서 11위로, 전임 총무원장 스님이 구속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서열은 29위로 바닥까지 추락했다.

그러다 최근 법원이 도선스님과 혜문스님의 적법성을 인정하고 이들에게 제기된 직무집행정지가처분 신청을 모두 기각하면서 법화종은 종단 정상화 수순을 밟기 위한 후속조치를 본격화하고 있다. 현 집행부는 종단 안정화를 위해 어떠한 노력들을 하고 있을까.

천지일보는 지난 8일 대전 동구에 있는 법화종 총무원 청사에서 총무원장 서리 혜문스님을 만나 종단 정상화 진행 과정에 대해 들을 수 있었다. 이 자리에는 현 집행부 사서실장 서안스님과  총무부장 현묵스님, 총무국장 법우스님, 감찰국장 원담스님도 함께했다.

◆“부처님 말세법 보면 종단마다 시끄러워져”

현묵스님은 과거 법화종의 위상이 얼마나 높았는지 설명했다. 현묵스님의 설명에 따르면 법화종은 종단협 창립 멤버로서 1960년대에는 현재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종단인 대한불교조계종이 없어 세력이 강했다고 했다. 이후 조계종이 창립되고 1962년 대처·비구 분규로 조계종의 대처(살림을 차리고 아내와 자식을 거느린 승려) 스님들이 법화종으로 오게 되면서 사찰이 2800개, 승려가 3000명이 넘을 정도로 큰 규모가 됐다. 당시에는 법화종이 재단법인으로서 사찰 증여가 모두 종단 귀속이 돼있던 상황이었으나, 1980대 사단법인으로 바뀌면서 규모가 줄어들기도 하고 한국불교태고종이 생기면서 교세가 잠시 주춤했다.

1990대 이후 종단에 어려운 사건이 연이어 터졌다. 당시 총무원장이 장기 독재를 하면서 반발하는 세력들이 생기고, 반발하는 세력을 잠재우는 과정에서 다수의 폐쇄된 교구가 생겼다. 제일 규모가 컸던 서울·경기권이 폐쇄되다보니 교세가 확 줄어들었고, 분담금도 덜 들어오다 보니 제정은 어려워졌다. 이에 법화종은 서울에 있는 총무원 청사를 정리하고 대전으로 내려오는 지경까지 이르렀다.

신도 수로는 다른 종단에 비해 여전히 법화종이 더 많다. 게다가 종찰은 조계종 다음으로 2번째로 많고, 태고종보다는 훨씬 더 많다. 전통사찰이 많으나, 중앙집권이 잘 안 되다보니 그동안 법화종에서는 이러한 분란이 연이어 이어졌다고 현묵스님은 설명했다.

혜문스님은 총무원장이 왜 계속해서 논란이 되는지에 대해 “부처님 말세법에 보면 중들이 너무 설치면 종단이 시끄럽다고 기록돼있다. 1991년 종헌종법은 ‘종정 중심제도’였고, 이후 ‘총무원장 중심제도’로 바뀌면서 종단마다 시끄러워졌다”고 했다.

◆차기 총무원장 선거 내년 3월 31일 예상

차기 총무원장 선거에 대해 혜문스님은 “기존에 총무원장 당선인이 현재 재판중이기 때문에 재판만 끝나면 빠르게 진행할 계획”이라며 “선거만 잘 치러지면 총무원장 서리직에서 깨끗하게 내려가려고 한다”고 했다.

스님은 차기 총무원장 선출 전까지 종단 정상화를 위해 교구 활성화에 대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종헌종법 원칙을 바로 세우겠다는 강한 의지를 내비쳤다. 혜문스님은 “스님들의 학력문제는 조계종하고 법화종밖에 없다. 1991년까지는 스님들의 학력문제에 대한 논란이 없었는데 종헌종법이 바뀌면서 교육부 의무교육인 중학교 이상으로 수정돼 스님들의 학력이 문제가 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스님이 법납이 중요하지 학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학력 문제는 새로운 총무원장이 당선되면 종헌 종법을 바꾸자고 건의를 하고 싶다”고 했다. 법화종은 총무원장 서리가 종헌종법을 개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총무원장 마음대로 종헌종법을 수정할 수는 없다. 개정 절차는 사회와 같이 의회 격인 중앙종회에서 개정안을 확정지으면 총무원장이 선포·공포하게 된다. 중앙종회에서 반대하는 의견이 나오면 개정할 수 없다.

이러한 법화종의 행정절차에 대해 혜문스님은 1991년도에 법화종과 조계종의 종헌종법이 전면 개정된 일을 문제 삼았다. 스님은 “1991년도 이전의 종헌종법과 1991년도 이후의 종법을 비교해보면 많은 차이가 있다. 1991년 이전의 종법은 ‘종정 중심제도’였고, 그 이후는 ‘총무원장 중심제도’로 바뀌었다”며 “법을 개정할 때 종권을 잡은 스님들이 본인들 입맛에 맞게끔 뜯어고친 내용이 많다. 공백규정도 많고, 자해석대로 할 수 있는 것이 많으니까 자신들에게 유리한대로 해석하니 계속해서 싸움이 벌어진다. 그래서 초심인 1991년도로 돌아가던지, 현대식에 맞게끔 전면 개정을 이루든지 하는 이러한 준비를 하는 과정에 있다”고 설명했다.

◆“해종 세력, ‘승적 박탈’ 중징계 내릴 것”

종정과 총무원장 서리 자격을 문제 삼고 법원에 고소한 비상대책위원회에 대해서는 현묵스님이 설명했다. 스님은 “이들이 단순히 종단개혁을 추구하기보다는 종권을 장악하기 위한 단체였고 무엇보다 총무원장 서리를 임명하는 분은 종정인데 총무원장 서리의 자격 문제를 삼은 것은 종정 존재 자체를 부인한 것이고, 종정을 부인하는 것은 종단 뿌리를 부인하는 것”이라며 이들에게는 중징계가 내려질 것이라고 말했다.

중징계 대상자 3명은 비대위원장, 총무원장 부정선거를 주도했던 안정사 전 주지 승헌스님, 총무원장 당선인이었던 거암스님으로 현재 3차 등원까지 끝났고 1심 징계를 앞두고 있다. 이의신청을 하면 상벌위원회가 소집된다. 중징계는 재적 선을 넘어선 ‘치탈도첩’이다. 이는 종헌종법상 가장 큰 중징계로, 법화종뿐만 아니라 모든 종단에서 승려 직을 하지 못한다. 사회법상으로는 이들은 사문서위조 혐의로 현재 형사 수사 중에 있다.

이에 대해 현묵스님은 “승헌스님은 이미 2013년 해당 징계를 받은 바 있으나, 2015년 상벌위원회에서 참회문을 받아들여 종법상으로는 안되는데도 불구하고 종정 교시로 복권됐다”며 “그러나 선례를 또 남겨서는 안 되고 중징계 대상들이 잘 처리돼야 차기 총무원장 선거가 잘 치러질 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러한 징계 절차를 밟고 있다”고 전했다.

상황이 너무 어려워서 법조계나 언론계에 호소문을 드렸었다. 우리 종단이 이렇게까지 망가졌는데 종도 스님들이 ‘내 절만 안전하면 되지’ ‘내 신도만 안 뺏기면 되지’라는 안일한 생각을 하고 있어서다. 종단에서 절을 팔던지, 나쁜 짓을 하던지, 돈을 받던지 이러한 무관심한 상황이 20년이 진행되다보니 여기까지 왔다. 우리 종도들의 자정이 힘들다면 이것을 누군가는 알려는 줘야 하지 않겠느냐. 도움 좀 달라고 했다. 실상을 말씀드렸다. 그렇게 여기까지 왔다.

끝으로 혜문스님은 “우리는 제정이 넉넉한 사람들도 아니다. 심지어 분담금도 안 들어오고 있는 상황이어서 나는 모내기와 쌀 타작하며 살고, 총무부장은 초하루법회 신도들의 시주로 살고 있다. 총무원 임직원 한명을 제외하고서는 나머지는 무보수로 일을 하고 있다”며 “이렇게까지 하는 이유는 종단의 정상화가 우리의 목적이지 다른 이유는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종단이 안정화가 되지 않는다면 나도 부처님께 죄짓는 것이고, 법화종 종도로서 종단에도 죄짓는 것”이라며 “현 집행부의 몸과 마음이 많이 지쳐있는 상황이다. 그나마 힘이 나는 게 뜻을 내주시는 분들이 모이니까 버티고 하는 것이다. 우리의 목적은 3월 31일까지 무난하게 총무원장 선거를 치러 인수인계를 원활히 해주고 물러나자는 것이다. 현 집행부가 차기 집행부까지 다리를 놔주는 역할을 하겠다”고 포부를 전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