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부터 월간 글마루에서 연재하고 있는 ‘남한지역 고구려 유적 답사’ 시리즈를 천지일보 온라인을 통해 선보입니다. 우리의 역사를 알고 더욱 깊이 이해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과거 연재시기와 현재 노출되는 기사의 계절, 시간 상 시점이 다소 다른 점을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달을성현 산성에는 고구려계 와편 산란

글 이재준 역사연구가·칼럼니스트 사진 글마루  

고봉산
고봉산

고구려 ‘달을성현’

<동국여지승람 고양군의 연혁조>를 보면 “고양군은 본래 고구려 달을성현(達乙省縣)이었다. 신라 경덕왕이 고봉으로 개칭하고 교하군 (지금의 파주)의 속현으로 만들었다”고 되어 있다(高峯縣 本高句麗 達乙省縣 新羅 景德王 改稱 高峯 爲 交河 郡 領縣云云).

고양시의 본래 이름이 ‘달을성’현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達乙’은 무슨 뜻인가. 언어학자들은 ‘달을’이 ‘다라’에서 나왔으며 ‘높다’라는 뜻이라고 해석했다. 고구려 달을성을 신라가 삼국통일 후에 한자식 표기를 수용함으로써 ‘고봉’이라고 불리게 됐다는 것이다.

고양시 일산동구 중산동에 있는 고봉산성은 고구려 안장왕과 백제 태수의 딸 한주(韓珠)의 로맨스가 전설로 내려온다. 이 로망은 고구려 호동왕자와 낙랑공주의 설화를 방불케 하고 있다. 또 우리민족 최고 고전인 춘향전의 스토리 구성과 너무 닮아있다. 호동의 설화는 비극으로 끝나지만 안장왕의 얘기는 춘향전처럼 해피엔딩이다.

그런데 이 설화에는 고려말 포은 정몽주가 지었다는 단심가가 등장하여 이목을 끈다. 백제 태수가 한주를 잡아 옥에 가두고 결혼을 강요하자 그녀는 다음과 같은 노래로 응수 했다는 것이다.

죽어 죽어 일백 번 다시 죽어

백골이 진토되어

넋이야 있던 없던

임 향한 일편 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포은이 지었다는 단심가를 여기에 가탁한 것인지, 예부터 내려오는 고구려 노래를 포은의 작품으로 부회한 것인지는 단정 할 수 없다. 적국의 왕자를 사랑하여 끝까지 정절을 지킨 한씨의 빙설 같은 마음은 백제 도미부인의 설화와도 비슷하다. 왕의 억압에도 불구하고 유랑하는 눈먼 남편을 찾아 천성도(파주)에서 재회한 도미부인이 아닌가.

고구려 달을성현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고봉산성은 지금 어떤 모습일까. 과연 고구려 유적은 존재하는지. 한국역사문화연구회 회원들과 글마루 취재반은 혹한의 2월 초순, 백제 고구려의 한 맺힌 전쟁의 상처가 어린 고봉산성을 답사했다. 그리고 임을 향한 일편단심 백제 한주의 정절을 찾아 나섰다.

고봉산성 성터 흔적
고봉산성 성터 흔적

어떤 내용이 고봉산성에

안장왕과 한씨 미녀의 설화를 기록한 책은 <해상잡록(海上雜錄)>이다. 이 기록은 현재 전해지지 않고 있으나 단재 신채호 선생이 고봉산성의 설화를 <조선상고사>에 인용함으로써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안장왕은 누구인가. 이름은 흥안(興安)이다. 문자왕(文咨王)의 장자로 태어나 498년에 태자로 책봉되어 문자왕 죽은 뒤 왕위에 올랐다.

중국 남조의 양(梁)나라로부터 ‘영동장군도독영평이주제군사고구려왕(寧東將軍都督營平二州諸軍事高句麗王)’에 봉해졌다. 또한 중국 북조의 북위(北魏)로부터도 ‘안동장군영호동이교위요동군개국공고구려왕(安東將軍領護東夷校尉遼東郡開國公高句麗王)’에 봉해졌다.

중국 남북조의 양나라와 북위로부터 지위를 인정받았다. 아울러 양국과 조공(朝貢) 무역관계를 유지하여 전대에 이미 확립되었던 대중국 양면외교정책을 실시하였다. 이는 중국의 분열을 이용하여 대 중국방면의 안정을 추구했던 고구려의 전통적인 외교정책이었으며, 전통적인 고구려의 남진정책이기도 했다. 523년과 529년에는 백제를 침략하였다.

고구려 안장왕은 태자 시절 백제인으로 변장하여 개백현(皆伯縣, 지금의 행주산성)을 돌아다녔다. 고구려군의 용간술(用間術)은 과거 장수왕시기 위례성 공격에도 주효했지만 왕자가 직접 변장하고 백제영토에 잠입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그런데 이 곳 토호인 한씨의 딸인 한주(韓珠)는 절세 미녀였다. 한씨 집에 숨어 있던 안장왕은 한주와 은밀히 정을 통하고 부부의 언약을 맺었다.

“나는 고구려 태자다. 귀국하면 대군을 이끌고 이 땅을 취한 뒤 그대를 맞이하리다.”

한편 한주의 미모를 들은 개백현 태수는 부모에게 결혼할 수 있게 해달라고 부탁했다. 한주는 죽기를 각오하고 거절했다. 그러자 부모의 압박과 태수의 분노가 대단했다. 할 수 없이 한주는 “저는 이미 사랑하는 남자가 있습니다. 남자가 멀리 나가 돌아오지 못했으니, 남자의 생사를 확인한 뒤에 결혼 여부를 말하겠습니다”라고 말했다.

태수는 “그 남자가 누구냐? 어째서 똑바로 말하지 못하느냐? 그가 고구려 첩자이기 때문에 말을 못 하는 게 아니냐? 적국의 간첩과 통했으니, 네 죄는 죽음으로도 갚지 못할 것이다”라고 겁박하고는 한주를 옥에 가두었다.

사형에 처하겠다며 위협하기도 하고 온갖 감언으로 꾀기도 했다. 한주가 옥중에서 노래하기를 ‘죽어 죽어 일백 번 다시 죽어 백골이 진토 되고 넋이야 있든 없든 님 향한 일편단심 가실 줄이 있으랴’라고 하니, 듣는 사람들이 모두 눈물을 흘렸다. 노래를 들은 태수는 한주를 죽이기로 결정했다.

한주가 갇힌 사실을 은밀히 알아낸 안장왕은 장군들을 불러 “만일 개백현을 회복하고 한주를 구하는 사람이 있으면, 금 천금과 만호후(萬戶侯)의 상을 주겠다”고 약속했다.

왕의 여동생 중에 고안학이 있었는데 절세미인이었다. 그는 늘 을밀에게 시집가고 싶어 했다. 을밀도 장가들고 싶어 했지만 왕은 가문이 낮다는 이유로 허락하지 않았다.

왕의 부름을 받고 을밀이 달려왔다. 그는 왕에게 “천금의 상과 만호의 후는 신의 소원이 아닙니다. 신의 소원은 안학과 결혼하는 것뿐입니다. 신이 안학을 사랑하는 것은 대왕이 한주를 사랑하는 것과 같습니다. 만약 대왕께서 신의 소원대로 안학과 결혼하게 해주시면 신도 대왕의 소원대로 한주를 찾아서 올리겠습니다”라고 말했다. 왕이 고안학을 아끼는 마음은 그가 한주를 사랑하는 마음에 미치지 못했다. 드디어 왕은 하늘을 가리켜 맹세하고 을밀의 청을 받아들였다.

을밀은 수군 5천 명을 거느리고 출전했다. 해상으로 떠나기 전에 그는 왕에게 “신이 먼저 개백현을 쳐서 회복하고 한주를 살릴 터이니, 대왕이 대군과 함께 천천히 좇아오시면 불과 며칠 안에 한주를 만나시게 될 겁니다”라고 말했다. 그런 뒤 20명의 결사대를 뽑아 평복 속에 무기를 감추도록 하고, 이들과 함께 개백현에 미리 들어갔다.

이때 개백현 태수는 관리와 친구들을 모아 놓고 생일잔치를 벌였다. 한주의 마음을 돌리고 싶어서 그는 사람을 보내 회유했다. “오늘은 내 생일이다. 오늘 너를 죽일 계획이지만, 네가 마음을 돌리면 살려줄 것이다. 그러면 오늘이 너의 생일이 되지 않겠느냐?”

그러나 한주는 단호하게 대답했다. “태수가 제 뜻을 꺾지 않으면 태수의 생일이 되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태수의 생일이 저의 사망일이 될 겁니다. 만약 저의 생일이 된다면, 태수에게는 사망일이 되겠죠.” 이 말을 듣고 태수는 대노하여 빨리 형을 집행하라고 명령했다.

그때 백성들을 가장해서 연회장에 들어간 을미의 장수들이 칼을 빼어 손님들을 살상했다. 이들이 “고구려 병사 10만 명이 성에 들어왔다”고 외치자 성 안이 크게 동요했다. 이 틈을 타서 을밀은 병사들과 함께 성을 넘어 감옥을 부수고 한주를 풀어주었다.

그리고 안장왕이 오기를 기다리면서, 한강 일대의 고을들을 쳐서 항복을 받아냈다. 이로 인해 백제는 크게 요동했다. 안장왕은 아무런 방해도 받지 않고 백제 고을들을 지나 개백현에 가서 한주를 만났다. 안장왕은 약속대로 고안학을 을밀의 배필로 삼았다.

<삼국사기 잡지(雜志) 지리(地里)>편에 왕봉현(王逢縣)과 달을성현(達乙省縣)에 대한 설명 중에 다시 안장왕 이야기가 아주 짧게 언급되고 있다.

“즉 왕봉현은 개백(皆伯)이라고도 하는데, 한인(漢人·氏) 미녀(美女)가 안장왕을 맞이한 지방이므로 ‘왕봉(王逢)’이라 하였다는 것이다. 그리고 달을성현은 한씨 미녀가 고산(高山) 위에서 봉화(烽火)를 피워 안장왕을 맞이한 곳이므로 후에 고봉(高烽)이라 불렸다고 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