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부터 월간 글마루에서 연재하고 있는 ‘남한지역 고구려 유적 답사’ 시리즈를 천지일보 온라인을 통해 선보입니다. 우리의 역사를 알고 더욱 깊이 이해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과거 연재시기와 현재 노출되는 기사의 계절, 시간 상 시점이 다소 다른 점을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글 이재준 역사연구가·칼럼니스트 사진 글마루  

대미산성 성벽 위에 보이는 판축의 유구
대미산성 성벽 위에 보이는 판축의 유구

오성산성은 백제 치소인가

오성산성은 덕치천(벌력천) 북편에 있는 성지다. 오성산의 자연지세를 이용하여 구축한 장방형의 성이다. 서쪽으로는 홍천강이 흘러 자연적인 해자를 형성하고 있다. 오성산성은 한자 표기로 오성산(五星山)이다. ‘五城’이 아마 이렇게 변했을 가능성이 있다.

5부는 고구려, 백제의 편제다. 고구려는 귀족층인 계루부, 소노부, 절노부, 순노부, 관노부 등이었다가 이후 수도를 다섯 부로 나눈 행정 구역으로 바뀌어 운영했다. 다섯 부 중에 계루부는 내부 또는 황부, 소노부는 서부 또는 우부, 절노부는 북부 또는 후부, 순노부는 동부 또는 좌부, 관노부는 남부 또는 전부로 나뉘었다. 백제도 수도를 다섯 부로 나눈 행정 구역으로 상부, 전부, 중부, 하부, 후부 등으로 나뉘었다. 신라는 삼국을 통일한 후에는 전국을 5소경제로 구획하였다.

성은 장방형의 능선을 따라 판축으로 길게 구축했다. 이렇게 고졸한 방식의 판축은 시대가 올라간다. 즉 고구려 시기 이전 백제시대 축성일 가능성이 크다. 능선은 평지까지 연결되어 있어 치소로 추정된다. 답사반은 덕지천과 접한 유지를 조사했다. 백제 신라 고구려 통일신라 토기 편 등이 산란하고 있다. 유백색의 백제 연질 토기편, 승문 토기편 그리고 통일신라시대 인화문 토기편 등이 산란하다.

주목되는 것은 회색의 화문(花紋) 토기편이다. 작은 조각에 불과하여 전체를 파악할 수 없지만 둥근 자방(子房)에 방사선문대의 꽃 모양을 배치했다. 흡사 고구려 와당무늬를 연상시켜 준다. 답사반은 적색을 띤 고졸한 고구려계 와편도 수습했다.

이곳에 많은 토기편이 산란하고 있는 것은 오랫동안 사람들이 살아왔음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답사반은 일몰로 판축의 성지 조사는 다음 기회로 미루어야 했다.

수타사
수타사

천년 고찰 수타사

공작산이라고 했다. 공작이 알을 품고 있는 형국의 명당자리라고 하여 이 같은 이름을 얻었다. 천년 고찰 수타사(壽陁寺)를 감싸 안은 어머니 같은 산이다. 한국역사문화연구회와 홍천역사문화연구회, 글마루 취재반은 귀로에 명찰 수타사를 방문했다.

필자는 이미 2월 중순에 홍천역사문화연구회 이병규 회장의 안내로 이 절을 1차 답사한 바 있다. 입구에 부도전이 자리 잡고 있다. 석종형(石鐘形)이 주류를 이루어 조선 중기 수타사에서 수도한 고승들의 부도다.

1차 답사 때 수타사 계류는 모두 꽁꽁 얼어붙었다. 일찍이 여러 사찰을 다 보아왔지만 겨울 풍경이 이처럼 아름다운 것을 보지 못했다. 어떤 인연이 있는 것일까. 시상이 떠올라 적어 본다.

고색창연한 수타사 계곡

춘설이 분분한데

청정한 계류는 모두 얼어

청옥으로 빚은

부처의 형상일세

정토세계 무량수명을 비는

수타사 독경소리

퇴색한 단청마저

속되지 않은데

1천여 년 역사의 향

기와조각이 반기네

그윽한 풍경이

초면은 아닌 것 같아

전생에 어떤 인연 있어

마음 사로잡을까

 

이 절은 708(성덕왕 7)년에 무애(無碍) 원효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진다. 1300여 년 긴 역사를 간직한 셈이다. 수타(壽陀)란 정토세계의 무량한 수명을 상징한다고 한다.

천년고찰로 분위기가 잘 남아 있다. 실지로 사찰 주변 경작지에서 통일신라대의 와편이 수습되고 있다. 이병규 회장, 곽계달 교수가 와편을 보고 감동을 받는다. 그냥 이렇게 오랜 역사의 편린이 사찰 공터에 뒹굴다니.

와편은 회백색의 선조문으로 고(古) 신라 때 만들어진 것이다. 선 무늬가 굵은 것은 시대가 많이 올라간다. 한강변 고구려 유적에서도 많이 찾아진다. 또한 적색의 와편도 찾아지고 있으나 고구려 시기의 것인지는 정확하지 않다. 이 같은 와편으로 미루어 수타사의 오랜 역사가 증명되고 있다.

수타사는 처음엔 우적산(牛寂山) 일월사(日月寺)라고 했다. 창건 이후 영서 지방의 명찰로 꼽히다가 1568(선조 2)년에 현 위치로 옮기면서 수타사(水墮寺)라 하였다. 물 ‘水’자가 지금은 목숨 ‘壽’자로 바뀐 것은 무슨 연유일까. 이 절은 임진왜란 시기 완전히 불타버린 뒤 40년 동안 폐허로 남아 있다가 1636(인조 14)년 공잠(工岑)이 법당을 지었다. 지금 남아 있는 아름다운 법당들은 이 시기 지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시간이 없어 더 머물지 못하고 돌아오는 마음이 아쉽다. 마음속으로 다음에 다시 찾을 것을 약속하며 귀로에 올랐다. 홍천은 역사유적도 많을 뿐 아니라 청정한 산수가 더없이 아름다운 곳이다. 동토를 비집고 피어나는 작은 들꽃들이 아름답다.

석축 아래에서 찾아진 고구려계 적색 와편
석축 아래에서 찾아진 고구려계 적색 와편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