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남승우 기자] 만 75세 이상 고령층과 노인시설 입소·종사자를 대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화이자백신 접종이 시작된 1일 오전 서울 성동구청에 마련된 코로나19 예방접종센터에서 한 어르신이 백신 접종을 받고 있다. ⓒ천지일보 2021.4.1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만 75세 이상 고령층과 노인시설 입소·종사자를 대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화이자백신 접종이 시작된 1일 오전 서울 성동구청에 마련된 코로나19 예방접종센터에서 한 어르신이 백신 접종을 받고 있다. ⓒ천지일보 2021.4.1

[천지일보=김빛이나 기자] 사람이 가진 유전자에 따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쉽게 걸리거나 중증으로 악화될 가능성이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강북삼성병원은 국내 의료기관 및 연구기관과 공동으로 참여한 국제협력 연구프로젝트 ‘코로나19 인간 유전체 이니셔티브(COVID-19 HGI)’ 연구에서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고 9일 밝혔다.

연구팀은 먼저 코로나19 환자를 ▲호흡보조기가 필요한 중증 입원환자 ▲호흡 보조는 필요 없으나 다른 감염 증상으로 입원한 환자 ▲무증상부터 경증환자 등 세 그룹으로 분류해 분석했다.

그 결과 ABO와 PPP1R15A 유전자에서의 변이는 코로나19 중증도와 연관이 없었고 감염과 관련이 있었다.

반면 코로나19 중증도와 연관을 보인 유전 변이는 폐암 및 폐 섬유증에 관여하는 DDP9 유전자, 자가 면역 질환에 관련된 TYK2 유전자, 폐암과 관련된 FOXP4 유전자에서 발견됐다. 특히 FOXP4 유전 변이는 유럽인종에서 2~3% 정도인 반면, 동아시아인 또는 남아시아인에서 40% 정도로 나타났다.

유전자 정보를 활용해 인과 관계 여부를 판단하는 통계분석을 한 결과, 흡연과 체질량지수가 코로나19 감염 후 중증으로 악화할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김한나 강북삼성병원 연구지원실 교수는 “유럽인 데이터 중심인 대규모 유전학 연구에서 동아시아인 데이터로 참여해 유전적 다양성을 보여주는 결과를 도출했다”며 향후 코로나19 치료법을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했다.

지난해 3월 결성된 이 프로젝트에는 25개국 61개 연구팀이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약 5만명의 코로나19 환자와 약 200만명의 대조군을 기반으로 대규모 전장 유전체 연관분석(GWAS) 연구를 해왔다.

우리나라에서는 강북삼성병원, 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공동으로 팀을 꾸려 지난해 5월부터 참여하고 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인 '네이처'(Nature)에 게재됐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