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총선의 시작은 ‘코로나19사태’였으며 그 결론도 코로나19사태였다. 21대 총선은 문재인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였다. 그 시기나 과제로 보더라도 중간평가에 딱 맞는 총선이었다. 다만 무엇을, 어떻게 평가하느냐를 놓고 시각이 엇갈릴 뿐이었다. 바로 이 점에서 평가의 기준이 바로 코로나19사태에 집중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코로나19사태에 대한 방역과 관리를 잘 하느냐, 못하느냐가 문재인 정부를 평가하는 기준이 됐다는 뜻이다.

국민은 코로나19사태에 대한 방역과 관련해서 문재인 정부를 신뢰한 것으로 봐야 한다. 아니 더 힘을 실어줘야 한다고 본 것이다. 그것이 이번 총선의 결과다. 비단 우리 국민만이 아니다. 전 세계가 한국의 방역 시스템을 격찬했다. 그리고 이런 와중에서도 총선을 한다는 것이 세계적인 뉴스가 될 정도였다. 잠시 우리는 정부의 긍정적 기능, 훌륭한 정부의 실제를 보고 느낀 것이다. 그것이 총선과 딱 맞물렸을 뿐이다.

국민의 이러한 체감은 직전의 박근혜 정부와 연관되면서 문재인 정부에 더 힘을 실어주는 계기가 됐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과 세월호의 비극을 경험한 우리 국민의 안전에 대한 본능적 판단으로 볼 수도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청와대 권력이 탄핵된 뒤 얼마 전에는 지방권력도 교체됐다. 이제 남은 국회권력도 전면적으로 교체된 것과 다름 아니다. 다시 말하면 탄핵된 박근혜 정부의 마지막 권력마저 전면적으로 재편된 셈이다. 촛불민심의 마지막 탄핵 절차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점에서 21대 총선은 문재인 정부의 ‘국정혁신’에 힘을 실어 줬다고 볼 수 있다. 지난 3년여 동안 국회는 온통 대결과 싸움판으로 변질되고 말았다. 덩달아 길거리에서도 대결과 대치, 저주와 막말이 넘쳤다. 정치가 온전할 수 없었다. ‘정치실종’은 이제 누구에게나 익숙한 말이 되고 말았다. 그러니 국회에서 되는 일이 없었다. 심지어 국회 안에서 폭력사태도 벌어졌다. 국민은 그런 구태 정치를 심판한 것이다. 그리고 그 주범인 미래통합당을 향해 매서운 회초리를 들었다고 볼 수 있다.

21대 총선을 통해 무려 180석 이상의 거대한 여권이 구축됐다. 작심하고 지난 3년여 동안 하지 못했던 국정혁신의 과제들을 힘 있게 추진하라는 것이 국민의 명령이다. 청와대 권력에 이어 지방권력, 그리고 이번에는 국회권력까지 장악함으로써 문재인 정부의 혁신동력은 이 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끝까지 성공한 정부로 남을 것인가, 정권재창출도 성공할 것인가의 문제는 앞으로 남은 2년여의 국정혁신 성과에 달려있다. 좌고우면 하면서 시간을 허비하지 말기를 바랄 뿐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